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권력의 미학 : 18세기 회화부터 퍼포먼스 아트까지 미술로 본 사회, 정치, 여성

  • 청구기호600.13/던87ㄱ;2020
  • 저자명캐롤 던컨 지음 ; 이혜원, 황귀영 옮김
  • 출판사경당
  • 출판년도2020년 12월
  • ISBN9788986377590
  • 가격24,000원

상세정보

미술 작품이 제작되어, 보여지고, 이야기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이 작동하는 정치•사회•문화적 동기와 메커니즘을 다층적으로 분석한 저자의 글을 모았다. ‘미술은 누구의 욕망에 봉사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에 치열하게 싸워온 그를 목전에서 보아온 번역가들의 노고로, 비평이라는 권력을 해부해 권력의 욕망•허위를 파헤치는 글을 명확하게 읽어볼 수 있다.

책소개


예술의 정치, 사회, 문화적 동기와 그 작동 메커니즘을 밝힌 미술비평의 고전

『권력의 미학』은 미술 작품이 제작되고, 보여지고, 이야기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이 작동하는 정치, 사회, 문화적 동기와 그 작동 메커니즘을 다층적으로 분석한 캐롤 던컨의 주요 논문과 비평문을 모은 책이다. 던컨은 1960년대와 70년대의 진보적 운동과 페미니즘의 부활, 그리고 동성애 인권운동에 관한 연구와 1970년대 초반에 일어난 미술사와 비평의 만남 및 좌파와 페미니즘의 조합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작품이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힘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낸 결과물일 뿐 아니라 상호작용의 구성요소이기도 하다는 점을 밝혀냈다. 그리고 그 결과물들, 즉 18~19세기 프랑스 미술에 투영된 가부장제와 이를 통해 생산된 여성 이미지에 대한 글부터 20세기 초반의 유럽과 미국 전위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성적 대상화, 이에 더해 그런 여성의 성적 대상화가 미술관이라는 공간을 통해 일종의 공적 의례가 된 상황을 담은 글까지,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이미 미술사는 물론 미술비평의 고전으로 추앙받고 있다.


“진보를 표방하면서도 여성이 당하는 성적,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은 외면했던 1960~70년대 미국 미술계와 학계 남성들의 이중성에 대한 던컨의 분노를 지금 한국의 젊은 여성들이 느끼는 분노와 연결시켜 생각할 지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던컨의 글은 자본주의 계급관계에 민감한 사람이 성적인 층위에서 타인에 대한 지배에는 얼마나 둔감할 수 있는지, 작가의 성적 권위가 어떻게 상류층으로 전이되는지, ‘진보(아방가르드)’라는 개념이 얼마나 ‘특정 부류’의 시각인지 명료하게 지목한다.”


위 두 인용문은 이 책을 공동 번역한 이혜원 교수와 황귀영 작가의 글이다. 두 사람은 캐롤 던컨의 제자이자 동료로서 “미술은 누구의 욕망에 봉사하고 있는가?”라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어려운 문제에 대해 던컨이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하고 싸워왔는지를 가까이에서 보아온 연구자들이다. 뿐만 아니라 두 사람은 작품 전시와 기획을 하고 있는 현직 미술사가로서 한국 미술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폭력과 차별에 대항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이 책이 던컨이 하고자 했던 이야기를 더없이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생생하게 전할 수 있었던 것은 두 번역자의 이러한 이력과 문제의식 덕분임이 분명하다.


성적 권력 게임,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미술사

예술작품을 역사의 과정을 따라가며, 역사적 문맥을 통해 탐구하는 작업은 시대에 대한 이해는 물론 예술작품과 예술가, 그리고 미술사에 관한 풍성한 이야깃거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 중 어떤 것은 성에 관한 새로운 인식 혹은 발견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이 책 속 글들이 전해주고 있는 ‘성적 권력 게임으로서의 미술사’ 이야기가 바로 그렇다. 던컨은 이 책 곳곳에서 미술사를 페미니즘 관점에서 재조명, 그것을 성적 권력의 게임장 혹은 성적 권력의 게임 과정으로 재구성하였다.

18세기 프랑스 미술은 당시의 관습적인 결혼제도를 비판하는 한편 사회 통념에서 어긋난 사랑을 공공연하게 찬미했다. 하지만 계몽주의의 영향이 강해지자 미술은 가족에 대한 새로운 이상을 받아들이는 한편, 자애로운 부모, 행복한 가정, 부부애와 가족 간의 조화라는 새로운 관념을 그림에 의도적으로 투영하기 시작한다. 디드로의 <살롱>, 그뢰즈의 <행복한 어머니>, 프라고나르의 <귀가> 등은 모두 이러한 ‘계몽주의 캠페인’의 결과물, 즉 계몽주의라는 성적 권력이 행한 게임의 결과물이었는데, 문제는 ‘새로운 이상적 가족’을 하나로 묶는 중심이 늘 ‘그녀’, 즉 아내거나 어머니였다는 점이다.

미술이 새롭게 생산하고, 재생산을 거듭한 ‘그녀’는 남편의 육체적, 정서적 욕구를 채워주는 존재여야 했고, 자녀들에게는 좋은 엄마이자 보모여야 했다. 그리고 그 결과, 남편의 욕구나 자식의 필요보다는 자신의 즐거움을 중시하며 살았던 18세기 귀족 여성은 자연의 법칙을 깨트리는 존재가 되었고, ‘그녀’의 자리에는 이제 가족을 위해 아내와 어머니의 의무를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만족감을 얻도록 교육받은 여성만이 남게 되었다. 즉, 중산층 가정에서 찬미되었던, 만들어진 아내의 이미지와 강요된 모성에 의해 강제된 여성만이 남게 된 것이다.

20세기 초 야수파, 입체파, 독일 표현주의를 비롯한 여타 전위미술가가 그린 수백 점의 누드화 및 여성을 무력하고 성적으로 종속된 존재로 묘사한 그림들은 던컨이 보기에 남성의 성적 지배력을 공공연하게 드러내는 것들이었다. 이들 작품 속에서 여성은 살덩이로 격하된 채 ‘남성 작가’ 앞에 힘없이 눕거나 서 있고, 육체는 ‘남성 작가’의 욕망에 따라 왜곡된다. 심지어는 ‘남성’ 작가의 공포를 이야기하는 데도 이용되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저 유명한 <아비뇽의 아가씨들>이 있다.

드 쿠닝의 괴물 같은 여성 이미지 또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열등감과 공포가 투영된 것이다. 피카소, 마티스 등 모더니즘의 ‘대가’로 추앙받는 수많은 전위미술가들은 이후 20세기 미술에서 중시된 모든 것들의 기초가 되는 새로운 언어와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냈지만, 그들 작품 깊숙한 곳에는 고대 신화로까지 거슬러 가는 남성들의 거세 공포증이 투영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전위미술가들의 이런 작품들은 남성의 성적 권력과 비록 무의식의 차원이긴 하지만 여성의 성적 권력이 동시에 벌이는 게임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을까?


정치, 사회, 문화 권력을 작동시키는 미술이라는 권력

미술사의 대상인 미술 혹은 미술비평은 정치, 사회, 문화 권력을 작동시키는 또 다른 권력이 되기도 하는데, 그중 첫째가 18세기 후반, 프랑스 살롱 회화다. 프랑스혁명은 군주제뿐 아니라 가족 내에서 절대적 권력을 행사하던 아버지의 권위마저도 무너뜨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가부장적 권위의 몰락에 대한 미술의 반응은 18세기 후반, 프랑스 살롱 회화에서 잘 드러난다. 왕실의 지원을 받아 살롱에서 선보인 이들 그림들은 양가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예를 들어 그뢰즈와 디드로의 풍속화 속에서, 그리고 오이디푸스와 벨리사리우스 같은 인물을 내세운 역사화 속에서 타도된 왕과 추락한 아버지는 힘없고 어리석은 노인 이미지로 전락한 채 묘사된다. 이에 더해 가부장적 권위에 대한 암묵적 적대감을 드러내는 레뇨의 작품은 구질서에 대한 분명한 비판을 전해주며, 다비드의 작품에 보이는 새로운 국가에 대한 기대는 혁명에 대한 묵시적 동의로 읽힌다. 즉 새로운 권력을 작동하는 추동력이 되려 했던 것이다. 반면, 앵그르의 <루이 13세의 서약>은 왕정복고를 통해 프랑스혁명 이전 시대로 되돌아가고자 했던 이들의 정치적, 이념적 지향을 충실히 반영한 작품으로, 즉 과거 권력을 추동하려 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비평 권력의 독점이 있다. 근대 이후 미술비평은 부르주아 계급을 위해 봉사해왔다. 그리고 모건, 록펠러 가문에 이어 IBM, 엑손, 모빌 등 대기업에 의해 좌지우지되어온 미술 시장과 아카데미 미술에서 미술비평은 오늘날 독점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권력의 불균형 혹은 권력의 부당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던컨은 변화무쌍한 공간들을 찾아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노동자들이 주체가 되어 진행된 《노동의 이미지》 전시와 베트남전 참전군인 출신들로 구성된 작가들이 벌인 《베트남의 경험》전 등을 일례로 제시하면서, 이에 더해 미술 권력의 절대 공간으로 존재하는 뉴욕 현대미술관이 포르노적 요소를 구성 테마로 삼고 있다는 점을 통해 그것이 우리 사회가 전통적으로 남성들에게만 부여해온 권력을 여전히 드러내고 있는 예라는 사실을 치밀하게 분석해 보여줌으로써 말이다.


권력의 해부, 그리고 오늘날의 한국 비평이 나아가야 할 길

『권력의 미학』에 수록된 여러 글들은 또한 미술비평을 통해 비평이라는 권력을 해부, 비평이라는 권력의 욕망과 허위를 파헤쳐 보여준다. 「위대함이 위티스 시리얼 상자일 때」는 이런 측면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글이다. 여성주의 운동을 악용한 신디 넴저의 『아트 토크』를 신랄하게 비판한 이 글에서 던컨은 무한 경쟁에 내몰린 여성 작가들이 상품화의 위험 속에서 작업하고 있다는 점, 따라서 이 모순적 상황을 직시하되 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좀 더 비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역설한다.

미술비평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이어지는 PART 3에서 더욱 본격적으로 제기되는데, 던컨은 이 비판을 교육자로서 자신의 경험에 바탕을 둔 학문적 질문을 통해, 그리고 베트남전 참전군인들이 기획한 전시나 자동차노조가 제작한 미술 달력 등 소위 비주류 미술에 대한 주류 미술비평의 무지 혹은 오독(誤讀)을 통해 전개한다. 그리고 그 결과는 비평과 현실 간의 괴리에 대한 고발과 그럼에도 ‘주류’라는 권력에 안주하려 하는 비평의 욕망에 대한 자기반성적 비판이다. 한편, 던컨은 자신이 만들어낸 가상의 평론가 셰릴 번스타인의 이름으로 발표된 두 편의 글이 실제 미술계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게 되는 아이러니한 과정을 통해 이러한 고발과 비판을 더욱 극적으로 보여준다. 이 일종의 의도된 해프닝을 통해 그녀는 담론에 경도된 현대 미술비평의 문제점, 또는 한계를 더 없이 구체적이고 선명하게 부각하고 있는 것이다.

『권력의 미학』에 수록된 모든 글을 관통하고 있는 던컨의 관점과 사유는 미술과 미술비평이, 나아가 비평이라는 행위가 사회 현실의 일부로 기능하는 것이라는 점, 이에 더해 한 사회의 갈등과 두려움과 욕망을 이해할 수 있는 비판적 대상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는, 비록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이 던컨이 활발한 저술 활동을 벌였던 1970년대 것들임에도 오늘날 한국 예술비평과 미술비평, 나아가 비평 행위 그 자체가 나아가야 할 길이 무엇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이유다. 캐롤 던컨이 전하는 미학적 엘리트주의라는 이데올로기에 침잠된 미술비평에 대한 회의와 기득권적 비평과 담론을 극복하고 문화적 민주화를 위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식이 2020년 지금의 한국에도 여전히, 아니 더욱 유효한 것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지은이 | 캐롤 던컨 (Carol Duncan)

1936년생. 1970년대에 대두된 사회적, 정치적, 여성주의적 미술비평의 새로운 흐름을 대표하는 미술사가로 뉴저지 라마포 대학에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치다 퇴직했고, 현재 뉴욕에 거주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어로 번역된 『권력의 미학: 18세기 회화부터 퍼포먼스 아트까지 미술로 본 사회, 정치, 여성』(1993)과 『미술관이라는 환상: 문명화의 의례와 권력의 공간』(1995) 그리고 아직 번역되지 않은 A Matter of Class: John Cotton Dana, Progressive Reform, and the Newark Museum(2009)이 있다.

옮긴이 | 이혜원

1961년생. 대학에서 심리학을 공부했고, 미술사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진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지속적인 공부와 사회적인 실천의 일환으로 전시를 기획한다. '서울환경미화도'(2008), '여의도 비행장에서 인천공항까지'(2011), '물의 정치학'(2014), '그만의 방'(2015), '준비족 연대기'(2016), 2017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식량도시' 등을 기획했고, 현재 '기후시민3.5'와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한국관의 '런치캐어' 프로젝트를 기획 중이다.

옮긴이 | 황귀영

1983년생. 서울대학교 조소과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예술대학(CalArts)에서 미술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에 거주하며 작가로 활동한다. 'Here: A Bit of Everywhere and Everyone They've Been'(2019, 뉴욕), '협상 불가능한 관계들: 공덕동의 미확인 표식들'(2018, 서울) 등의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했다.

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PART 1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군주

1. 18세기 프랑스 미술의 행복한 어머니와 그 외 새로운 생각들

2. 추락한 아버지: 혁명 전 프랑스 미술과 권위의 이미지

3. 앵그르의 <루이13세의 서약>과 왕정복고의 정치학


PART 2 근대 미술과 성별 간의 사회적 관계

4. 20세기 초의 전위회화에 나타난 남성의 정력과 지배력

5. 근대 에로틱 미술과 권력의 미학

6. 위대함이 위티스 시리얼 상자일 때


PART 3 미술에 대해 가르치고, 이야기하고, 전시하기

7. 부자를 가르치는 일

8. 혁명의 시대를 중성화시키다

9. 노동의 미술 만들기

10. 군인의 눈으로

11. 누가 미술계를 지배하는가?

12. MoMA의 핫마마


PART 4 셰릴 번스타인의 삶과 작업

13. 서문_캐롤 던컨

14. 가짜 이상의 가짜_셰릴 번스타인

15. 뉴스로서의 퍼포먼스: 인터미디어 게릴라 미술 그룹에 대한 소고_셰릴 번스타인


역자 후기를 대신하여

찾아보기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