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최범의 서양 디자인사

  • 청구기호658.092/최44ㅊ;2018
  • 저자명최범 지음, 권민호 그림
  • 출판사안그라픽스
  • 출판년도2018년 7월
  • ISBN9788970599618
  • 가격15,000원

상세정보

한국인으로서 처음 쓴 서양 디자인사이다. 우리 자신과 세계의 이해를 위해 서양 디자인사를 타자화ㆍ상대화할 필요성을 이야기하며, 르네상스의 디세뇨에서 포스트모던 디자인까지 정리했다. 디자인사와 서양 디자인사 그리고 한국 디자인사를 바라보는 시각의 정리로 끝맺고 있으며, 사진 대신 쓰인 사실적 연필 삽화가 인상적이다.

책소개

서양 디자인사는 보편사가 아니다 

오랫동안 한국 디자인에 대해 날카롭게 질문하며 담론의 장을 형성해온 디자인 평론가 최범. 이 책은 최범이 한국인으로서 처음 쓴 서양 디자인사이다. 지은이는 디자인사를 다룬 기출간 도서 대부분이 서양인이나 일본인이 쓴 책의 번역본임을 지적한다. 또한 그 내용은 모두 서양 디자인사지만 “디자인사”라는 이름을 달고 있음을 강조한다. 『최범의 서양 디자인사』는 바로 여기서 논의를 출발한다. 우리가 서양의 디자인사를 절대적 보편으로 받아들였기에 이제 서양 디자인사를 타자화하고 상대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서양 디자인사가 한국 디자인사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 서로의 역사와 현실이 많이 다르기에 더 이상 서양 디자인사만으로 우리의 것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무가 아닌 숲을 보여주는 책

『최범의 서양 디자인사』는 역사적 사건을 나열하는 데 집중하지 않는다. 대신 서양 디자인사의 전반적인 흐름과 특성을 개념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취한다. 개관과 보론 그리고 열 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독자가 서양 디자인사의 흐름을 고르게 따라가도록, 나무가 아닌 숲을 조망할 수 있게 안내한다. 책은 서구 근대 디자인의 의미를 르네상스의 디세뇨 개념에서 찾기 시작해 20세기 후반까지 디자인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조명한다. 19세기에 발전한 모순된 두 양식인 역사주의와 원기능주의, 윌리엄 모리스라는 인물과 아르누보의 특성을 살펴보며 모던 디자인을 예고한다. 20세기에는 수공예와 장식미학이 모던 디자인으로 바뀌는 과정, 바우하우스, 러시아 아방가르드 디자인, 아르데코를 살펴본다. 대량생산체제가 낳은 미국의 기능주의와 산업 디자인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는 디자인의 직접적 원형을 추적하기도 한다. 20세기 후반 대중소비사회에서 모던 디자인이 대중화되고 상업화되는 과정과 모던 디자인에서 벗어나려는 다양한 경향을 분석하기도 한다. 마지막은 우리가 서양 디자인사를 보는 관점을 이야기한다. 서양 디자인사를 타자의 역사로 봄으로써, 그리고 한국 디자인사를 세계 디자인사의 지형에 위치시킴으로써, 우리 자신과 세계를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필로 그려낸 건축적 역사화

『최범의 서양 디자인사』가 더욱 특별한 이유는 일러스트레이션에 있다. 역사책에는 사실을 증명하는 시각적 증거물인 사진이 들어가곤 한다. 하지만 이 책에는 서양 디자인사 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구도의 사진이 없다. 대신 사진 이상의 사실성으로 역사를 뒷받침하는 연필 드로잉 일러스트레이션이 있다. 드로잉과 뉴미디어를 기반으로 일러스트레이션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권민호가 작업에 참여했다. 그는 각 장을 대표하는 인물과 작업 그리고 주제를 해석하여 역사적 맥락 위에 배치한다. 장에서 대비를 이루는 내용은 과감하게 전면에 드러냈고 펼친 지면의 특성을 활용해 그리기도 했다. 지은이 최범은 그의 일러스트레이션을 가리켜 “건축적 역사화”라고 하며 “역사적 순간을 포착하는 사진과 시간의 흐름을 담고 있는 영화의 특성을 하나의 화면에 엮어내는 그의 작업은 역사의 중층적 의미를 잘 드러내는 도큐먼트”라고 표했다.


우리 삶에 맞는, 우리의 디자인을 위하여

시각 디자인, 공공 디자인, 헤어 디자인, 라이프 디자인, 소셜 디자인 등 디자인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많이 쓰이는 시대이다. 과잉 담론화라고 할 만큼 디자인이 증폭된 오늘날 우리는 삶에 들어맞는 디자인을 찾았을까? 우리 삶 가까이에 디자인이 있는가? 디자인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가? 최범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서양에서 들어온 디자인이 한국화되지 못한 채 근대의 식민지성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금 서양 디자인사를 읽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서구 디자인을 무조건 숭배하거나 반대로 국수주의적인 폐쇄성에 갇히지 않으려면 더 늦기 전에 서양 디자인사를 서양 디자인사, 즉 타자의 역사로 봐야 한다. 이 책은 얇고 압축적이지만 어렵지 않게 쓰여 디자인 연구자뿐 아니라 디자인과 예술서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까지 아우를 수 있다. 또한 한국 디자인사 연구의 필요성을 촉진하고, 한국 디자인사를 세계 디자인사의 지형에 위치시켜 자신과 세계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지은이 | 최범

디자인 평론가.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과와 동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월간 디자인≫ 편집장을 역임했다. 여러 대학에서 디자인 이론을 강의하는 한편 출판, 전시, 공공 부문 등에서 활동해왔다. 현재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PaTI) 디자인인문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디자인 비평 전문지 ≪디자인 평론≫의 편집인이기도 하다. 디자인을 통해 한국 사회를 비판적으로 읽어내는 데 관심이 있으며, 평론집으로 『공예를 생각한다』 『한국 디자인의 문명과 야만』 『한국 디자인 신화를 넘어서』 『한국 디자인 어디로 가는가』 『한국 디자인을 보는 눈』을, 디자인 인문서로 『그때 그 책을 읽었더라면』을 펴냈다. 2017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을 수상했다.

그림 | 권민호

일러스트레이터. 영국 센트럴세인트마틴스(Central Saint Martins)와 왕립예술대학(RCA) 대학원에서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공부했다. 드로잉과 뉴미디어를 기반으로 일러스트레이션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들며 작업하고 있다. 전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PaTI) 스승이었고, 2018년 현재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www.panzisangza.com



목차

개관: 디세뇨에서 포스트모던까지


역사주의와 원기능주의

월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

세기말의 양식, 아르누보

기계 미학과 모던 디자인의 선구자들

바우하우스의 이념과 실천

러시아혁명기의 아방가르드 디자인

모더니즘과 장식미술의 만남, 아르데코

미국 산업 디자인의 발달

모더니즘의 산업화와 대중화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양상


보론: 서양 디자인사를 보는 눈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