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The Seoul, 예술이 말하는 도시미시사

  • 청구기호600.13/김74ㅇ;2016
  • 저자명김정은, 서정임, 정이삭 엮음
  • 출판사이안북스
  • 출판년도2016년 12월
  • ISBN9791185374130
  • 가격15,000원

상세정보

건축가ㆍ미술가ㆍ기계비평가ㆍ사진연구원ㆍ미술평론가ㆍ큐레이터 등 15인이 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해 추적한다. 서울의 중심이 아닌 주변 지역이 지닌 작은 것의 역사를, 직접 겪거나 연구했던 것들을 정리하고 ‘기획자의 추적’, ‘비평가의 추적’, ‘예술가의 추적’으로 나누어 탐색했다.


책소개

여기 서울이란 도시에 대해 이야기하는 15명의 사람들이 있다. 건축가부터 미술가, 기계비평가, 사진연구원, 미술평론가, 큐레이터까지. 각기 다른 직종의 사람들이 모였다. 그들이 말하는 서울은 흔히 근현대화 속 도시 계획이라던가, 개발주의, 정치사, 문화사 등 그동안 수차례 발표됐던 역사적 큰 흐름이 아니다. 오히려 서울이란 도시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역사의 큰 줄기 속에서 작은 삶을 누리고 있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담담하게 풀어낸 별것 아닌, 사소한 이야기들이다. 그러나 그들이 들춰낸 개인적이고, 주변적이고 사소한 서울의 역사는 그저 흘려 들을 것들이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 주변에서, 나의 삶에서 겪었거나 지켜봤던 주목되지 않은 흔한 일들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나지막이 속삭이는 우리가 눈치 채지 못했던 서울의 이야기들에 귀 기울여보자.

서울의 ‘나머지’ 기록들을 모은 『The Seoul, 예술이 말하는 도시 미시사』는 엮은이(김정은, 서정임, 정이삭)들의 “서울의 중심이 아닌 주변, 즉 서울의 ‘나머지’ 지역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함께, 도시의 사소한 영역을 시각예술의 언어로 추적하려는 관점에서 출발한 책이다. 엮은이들은 그동안 서울이란 도시에 대한 예술 연구과 도시의 주변성을 담은 시각예술 작품들이 다양한 시선으로 생산되어 왔음에도, 그러한 흐름을 짚어내려는 노력은 작가 개인의 작품에 대한 비평으로만 소급되어 논의되었을 뿐, 비평적으로 짚어보려는 시도가 많지 않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도시의 역사를 추적하고 어떤 시각적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전시 또는 공공미술 프로젝트, 아카이브 전시들이 종종 기획되어 왔지만, 그것들의 목적은 도시 주변부를 탐색하는데 중점을 두지 않았기에 도시의 사소한 역사들을 관찰하려는 시각 예술가들의 의도는 간과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엮은이들은 건축가부터 미술가, 기계비평가, 사진연구원, 미술평론가, 큐레이터들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함께 일종의 ‘작은 것의 역사’ 혹은 ‘작은 것을 통해 보는 역사’를 연구하는 미시사적 방법으로 서울이란 도시의 ‘나머지’ 공간이 지닌 역사를 탐색하며 기록되지 못한 역사를 발견하고자 했다. 즉, 거시사적 관점에서 엘리트 문화에 의해 작성된 기념비적이고 중심적인 기록이 아닌, 서울이라는 도시 맥락에서 실제 존재하던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을 연구자, 비평가, 예술가들과 추적한 것이다. 그 결과 엮은이들까지 포함해 15명의 사람들이 모였고, 그들의 서울에 관한 작은 기록들을 엮은 것이 바로 『The Seoul, 예술이 말하는 도시 미시사』이다.

『The Seoul, 예술이 말하는 도시 미시사』는 ‘기획자의 추적’, ‘비평가의 추적’, ‘예술가의 추적’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엮은이들에 해당하는 ‘기획자의 추적’은 자신이 살았던 봉천동의 없어진 낡은 집을 통해 시간 여행을 하면서 그것의 역사는 왜 기념될 수 없는가를 자문하는 건축가 정이삭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이어서 미술칼럼니스트 서정임은 자신이 미술전문지 기자로 활동하던 시기에 만났던 참여형 공공미술의 여러 프로젝트들 속에서 서울의 주변적 역사를 작업으로 추적한 이들을 재조명한다. ‘비평가의 추적’은 7편의 이야기로 구성된다. 「타이거마스크의 기원에 대한 학술보고서-김기찬에 의거하여」 글은 기계비평가 이영준과 사진연구원 한금현, 건축가 박철수가 진행한 학술보고서 형식의 공연 내용을 다시 글로 정리한 것이다. 김기찬의 사진을 서울의 도시 발전사와 맞물려 있는 역사적 기록으로 보려는 비평가들의 시도를 살펴볼 수 있다. 홍익대 건축학부 교수 조한은 이제는 없어진 이태원 ‘테이크아웃드로잉’과 미아리 ‘더 텍사스 프로젝트’, 그리고 한강의 ‘노들섬’을 통해 끝없이 중심에서 탈주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꿈꾸는 행위들에 주목한다. 큐레이터이자 미술평론가인 김장언은 서울의 산업화 과정에서 창신동이 어떻게 삶의 공간으로 변화되어 왔는지를 재조명한 전시를 통해 지역과 공동체에 대한 실험을 이야기한다. 이영준은 육조거리에서 관리가 외쳤던 “가가 허느시오!”부터 1929년 노면 전차와 한국전쟁시기 T34의 소리, 세종문화회관의 오케스트라 시대, 80년대 중후반 최루탄의 폭음과 시위대의 외침, 포뮬러1 경주용 차의 엔진 소리, 그리고 최근의 “박근혜 퇴진” 촛불집회까지 광화문에서 광화문 네거리까지의 길이 620미터쯤 되는 거리에서 620년간 일어났던 사운드스케이프를 흥미로운 구성으로 정리한다. 독립큐레이터 심소미는 서울이란 메가시티 속에 존재하는 수많은 마이크로시티의 이야기를 예술가들을 통해 풀어낸다. 독립큐레이터 김해주는 독산동 일대를 중심으로 작업한 권혜원, 이혜인 두 작가의 작업을 통해 구로공단에서 서울 디지털 산업단지로 바뀌어 간 도시 공간 속 내부의 삶을 들여다본다.
마지막 ‘예술가의 추적’에는 5명의 미술가들이 참여했다. 강홍구는 홍대 앞에서 대학을 다니고 놀고 일했던 자신의 시간 속에서 1984년 홍대 앞의 기억을 끄집어낸다. 김소라는 2012년 <한 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작업을 통해 끊임없이 보충되고 반복되는 행위 속에서 계속해서 발명되는 서울역을 현재를 보여준다. 백승우는 ‘사진으로 생각하고 분류하기’를 통해 세운상가-대림상가-삼풍상가-신성상가로 이어지는 서울의 기억을 정리한다. 윤수연은 기념비적으로 틀지어진 역사로 인해 가려져 버린 일상의 역사, 보잘 것 없는 역사를 다른 의미의 기념비적 현장으로 기록한다. 김희천은 일상적인 메일, 블로그 포스팅, 프로텍트 계정에 쓴 트윗 메모들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개인의 사소한 행위가 만들어내는 작은 파장들을 문학적으로 드러낸다.


엮은이 | 김정은

출판인이자 기획자이다. 2007년 예술사진 전문지 《IANN》을 창간했으며 백승우, 오형근, Area Park 등 다수의 사진집을 발간해 왔다. 〈2010 서울사진축제〉 큐레이터, 〈2012 대구사진비엔날레〉 운영 팀장을 지냈으며, 현재 도시/공간에 관한 예술프로젝트 리서치를 기반으로 전시 기획 및 출판에 참여하고 있다.

지은이, 엮은이 | 서정임

에디터이자 미술칼럼니스트이다. 미술전문지 《퍼블릭아트》와 《경향 아티클》의 창간 작업에 참여했으며, 약 9년간 두 매체 모두에서 수석기자로 일했다. 현재 패션지, 문화지 등에 글을 쓰고 있으며, 그 외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미술 관련 프로그램들을 기획하고 있다.

지은이, 엮은이 | 정이삭

2013년부터 에이코랩을 운영하며 다수의 공공 건축 작업과 건축 및 도시 관련 연구 용역을 수행 중이다. 여러 동시대 건축, 도시 관련 전시를 기획하고 참여한 바 있다. 2016년 제15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에서 한국관 공동 큐레이터이자 작가로 참여하였다.

지은이 | 이영준


지은이 | 한금현


지은이 | 박철수


지은이 | 조한


지은이 | 김장언


지은이 | 이영준


지은이 | 심소미


지은이 | 김해주


지은이 | 강홍구


지은이 | 김소라


지은이 | 김정은


지은이 | 백승우


지은이 | 윤수연


지은이 | 김희천



목차

추적의 시작
서울의 ‘나머지’ 역사를 시각예술로 읽기 - 서정임

기획자의 추적
없어진 집 - 정이삭
비공식적 역사를 예술로 기록하기 - 서정임

비평가의 추적
타이거마스크의 기원에 대한 학술보고서 - 이영준/한금현/박철수
우리에게‘ 유예된 시/공간은 허용되지 않는가? - 조한
지역, 공동체, 예술 그리고 이후 - 김장언
광화문의 사운드 스케이프 620년 - 이영준
메가시티에서의 마이크로 도시 개입 - 심소미
침묵과 재현 - 김장언
장소 안에 서기 - 김해주

예술가의 추적
1984,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홍대 앞의 기억 - 강홍구
한 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 김소라
사진으로 생각하고 분류하기 - 김정은/백승우
CAMOUFLAGE 위장 - 윤수연
〈2017.12.3.〉 - 김희천

에필로그
다음 추적을 위한 대화 - 김정은/서정임/정이삭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