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전시 서문 | 매향리의 기억 : 1951~2005 / 풍경의 기억

김종길

풍경의 기억


전쟁의 불꽃이 활화산으로 치달아가던 1951년부터 2005년까지 매향리는 55년을 불의 몸으로 살아야 했다. 섬이 타고 대지가 흔들리는 곳에서 사람들은 삶을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 그곳은 그들의 삶터였으므로. 그곳은 전쟁이 끝나지 않은 곳이어서 매화 꽃 향기조차 피어 올릴 수 없었다. 봄여름가을겨울이 수십 년을 돌아도 날마다 그곳은 겨울일 뿐이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봄을 살았고 여름을 살았고 가을을 살았다. 사람들은 뜨거워서 서로를 보듬었으나 전쟁을 끝낼 수 없었다. 싸움은 불가피했다. 누군가는 전쟁을 끝내야 했다. 풍경은 폭격의 순간들은 물론이요, 사람들의 삶과 투쟁을 지켜보았다. 여기 네 작가의 사진은 그 풍경이 기억하는 장면들을 보여준다.



강용석, 매향리 풍경, 1999


그의 사진은 폭격이 멈춘 뒤의 낡고 오래된 시간의 주검이다. 1999년이니 한 쪽에서는 핏빛으로 꽝꽝 폭격을 해대고 있을 터인데, 다른 한쪽에서는 이렇듯 인류가 사라지고 없는 것 같은 텅 빈 참혹을 쌓고 있다. 시간의 주검이 즐비한 이 빈 참혹의 프레임은 그래서 한 줌 생명조차 찾을 수 없는 어두운 미래이거나, 참혹의 끝에서 새 생명이 시작되는 황홀한 순간들일지 모른다. 어둠과 황홀이 겹치는 ‘녘’의 시간이 이 흑백임으로.


시선은 풍경에 기생하는 낡은 전쟁의 도구에 가 닿았다. 사막을 건너지 못한 한 짐승의 시체가 모래바람에 흩어지듯이 포탄들도 갯벌에 몸을 처박고 부서지고 있다. 그 몸은 불 화산으로 터져서 온갖 생명을 지옥불로 먹어 치웠을 테지만, 그 몸이 남긴 기념비는 작동되지 않는 녹슨 폭력일 따름이다. 녹슨 폭력은 불도 전쟁도 파괴도 그 무엇도 아니다.


그의 풍경은 상처이고 흔적이며 분단이고 충돌이다. 그 풍경의 실체는 거짓 없이 매향리다. 이 ‘매향리 풍경’이라는 주제어의 앞과 뒤에는 그 어떤 미사여구도 필요치 않다. 풍경에 박혀있는 것이 상처와 흔적과 분단과 충돌이니 매향리는 그것으로 우울한 진경일 따름이다. 그는 매향리의 어느 한 곳에 시선을 낮게 코 박고 조용히 응시했다. 프레임을 열어둔 시간은 그러므로 짧지 않을 것이다.


낡은 것들은 영원성을 갖지 않는다. 낡음의 한계지점에서 파괴된 생명들의 불씨가 다시 싹을 틔울 것이다. 쇠가 흙이 되고 바다가 되는 시간은 우주의 찰나이나, 인간의 시간은 그 찰나가 슬픔이다. 그는 찰나의 시간들이 소멸해 가는 과정을 엿본다. 검은 것들이 희고 물컹한 것들 속으로 내려앉는 장면들로 우주를 여는 것이다.   



국수용, 표류하는 섬, 2000


그가 담았던 매향리 27컷에서 전시를 위해 가려낸 컷들은 멀리 있는 ‘추억집’처럼 보인다. 그 ‘멀리’는 그러나 상실된 현실이요, 현실의 바깥으로 사라진 장소일지 모른다. 죽음도 있고 삶도 있었으나 그곳은 한국사회의 국민들에게는 ‘없는 현실’과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표류하는 섬’의 이미지는 그런 인식에서 왔을 것이다. 그는 그렇게 없는 현실 속으로 들어가 ‘있는 현실’의 삶의 표정을 기록했다.


다섯 사진의 장면은 현실의 안쪽과 다르지 않아서, 아니 너무나 일상적이어서 충격적이다. 이 사진 앞에서 고막이 텅텅 부서지는 폭격의 굉음을 들어 보라. 그 굉음이 날마다 600번 터져서 지축이 흔들렸다. 전쟁의 공포가 상상에서 현실로 곤두박질치는 쿠니사격장 옆에서 일상은 그럼에도 지루할 정도로 무던하게 흘러갔다. 포탄이 박힌 갯벌에서도, 전투기가 하늘을 찢는 여름에도, 시나브로 섬의 어깨가 바스러지는 시간에도 삶은 지속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하늘은 대지에 갇혔다. 시선은 앞에 있어서 하늘을 밀어내고 대지를 당긴다. 마치 ‘여기 있다’고 외치는 삶의 순간들을 놓치지 않겠다는 듯이. 그리고 거기에는 어김없이 ‘사람’이 존재했다. 부부가, 노인이, 어린 소년이, 뱃사공이, 그리고 한 어머니가 있다. 그 ‘(살아)있음’이 우리를 슬프게 한다. 그 슬픔의 아픈 가슴이 다시 우리를 굳게 만들 것이다.


그런데 농섬은 수평선에 떠 있고 표류하는 것은 이쪽의 육지다. 바닷물이 밀어내는 것은 뱃사공이요, 화면 바깥에 있는 육지다. 뱃사공은 더 밀리지 않기 위해 닻을 내리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니 표류하는 것은 섬이 아니라 이쪽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더 이상 떠밀리지 않으려는 저항이 쌓여서 매향리의 삶은 ‘있는 현실’로 바뀌었다.



노순택, 고장난 섬, 2000


사진은 시간을 정지시켰다. 그의 사진 속에서 폭격기는 ‘멈춤’이다. 농섬에 터진 불의 파편들이 한 선을 그리며 불꽃을 피우는 순간도 ‘멈춤’이다. 폭력의 순간들을 담는 것은 그 순간을 영원히 정지시키는 것이다. 폭력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진에서 그 ‘멈춤’이라는 정지는 사진이 가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투쟁어일지 모른다.


마찬가지로 철책을 가운데 두고 저항하는 사람들의 맞섬이 있다. 매향리의 들녘을 걷는 사람들도 있다. 철책에 뛰어 오르는 한 사람의 찰나도 ‘멈춤’이다. 신경쇠약에 걸린 대지의 상흔을 따라 걷는 참여자들의 걸음도 ‘멈춤’이다. 그러나 이 ‘멈춤’의 장면들은 증언이다. 그는 ‘헐벗은 섬’이라고 했으나, 그 섬의 투쟁을 보여주는 장면들은 헐벗지 않아서 뜨거운 몸살이요, 물러서지 않는 함성이며, 초현실과 비현실의 순간을 오롯이 ‘현실’로 바꾸는 생채기였다. 생채기를 숨길 수 없을 때는 앓아야 한다. 몸 깊이 앓아야 살 수 있다.


하루 600회, 농섬은 날마다 ‘적’이 되는 표적이어서 적을 부수는 판타지의 불꽃 쇼를 피어 올렸다. 수십 년을 불로 산 섬은 지구에 박힌 불의 혹성이 되었다. 불의 광야가 되었다. 그것은 어쩌면 불의 종말이 초래할 미래 인류의 풍경일지 모른다. 그러니 불꽃 쇼는 죽음의 쇼일 뿐이다. 전쟁놀이를 즐기려는 자들의 욕망일 뿐이다. 우리 삶을 에두른 나쁜 제국주의의 민낯일 뿐이다.


그 폭력의 불꽃이 매향리에 난무했다. 그는 그 난무의 순간을 정지시켰다. 시치미 뗄 수 없는 순간들을 시대의 증거로 박았다. 그러므로 그의 사진들은 한 장 한 장이 역사일 것이다. 뚜렷한, 삶의 지속을 위한 상징투쟁의 징표일 것이다.



노기훈의 매향리 인터뷰


영상은 매향리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서울 사람들의 이야기도 아니고, 가까이는 화성 사람들의 이야기도 아니다. 오롯이 매향리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 이야기는 ‘여기도 사람이 살았다’는 이야기의 출발이자, 그 ‘살았다’는 것의 슬픈 실존에 관한 증언이며, 증언을 이루는 아주 많은 것들의 이야기 세포다. 그 세포를 귀로 들어서 가슴으로 이해해야 하는 순간들은 눈물이 고이는 순간들일지 모르겠다. 말의 하나하나에서 불현 듯 명치에 꽂히는 아픔이 치솟다가, 치솟았던 것이 분노가 되기도 하고 긴 슬픔이 되고 하니까. 시집와서 살고 살아서 겪어야 하는 여성들의 삶은 물론이요, 동물들조차 온전할 수 없는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비참과 참혹과 침묵을 견뎌야 했던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그 이야기는 기억의 풍경이다. 우리가 그 풍경을 보는 것은 기억을 이어가는 ‘전승’이 될 것이기에.


매향리의 기억reminiscence 1951-2005년의 이야기展’
2017.10.31~2018.1.31
화성시 향토박물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