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타계 후 역사가 된 미완의 서양화가 고희동

김달진

타계 후 역사가 된 미완의 서양화가 

고희동(KO HUIDONG / 高羲東 1886-1965)

    



춘곡 고희동은 “살아서는 고전, 죽어서는 역사”은 고희동평전의 부제로 압축된다. 최초의 서양화가로 서화협회, 조선미술협회, 국전 등의 중심인물로 참의원도 지낸 우리 미술사에서 뺄 수없는 작가이다. 고희동은 14세 때 한성법어학교에 들어가 프랑스어를 배운 것이 계기가 되어, 1904년 궁내부 주사로 취직하여 궁중 내의 프랑스어 통역과 문서 번역을 하였다. 이 무렵 을사보호조약이 맺어지자 관리 생활을 버리고 현실 도피책으로 그림을 시작하였다.  


당대의 대가로 알려진 안중식과 조석진 문하에 드나들기 시작한 것이 화가로서의 출발이었다. 그러나 당시 화단은 중국의 화보를 충실히 임모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여기에 환멸을 느낀 그는 궁내부 시절 외국인들과 접촉으로 대할 수 있었던 서양의 그림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1909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미술학교 양화과에 입학하면서 본격적인 서양화 수업에 들어갔다. 이것이 한국인으로는 최초의 서양화 제작이 되었다. 5년간의 수업을 마치고 귀국하자 그는 신미술 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심하였다.  


1918년 당시 서화계의 중진과 대가들을 종용하여 최초의 한국인 서화가들의 모임이자 근대적인 의미의 미술 단체인 서화협회를 결성하였으며 초대회장 안중식, 총무 고희동이었다. 서화협회의 가장 중심적인 활동은 회원 작품전으로, 1921년 중앙고등보통학교 강당에서 제1회 서화협회전이 열렸다. 이것이 대중을 상대로 한 최초의 근대적인 전시회였다. 회원전과 더불어 계몽 사업으로 한국 최초의 미술지인 『서화협회보』를 창간하였다. 1922년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정원에서」라는 제목의 유화 작품을 출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3회전부터는 조선미술전람회를 거부, 그 뒤 줄곧 서화협회만을 이끌었다. 

  

부채를 든 자화상 1915년




정자관을 쓴 자화상 1915년


1939년 일제의 탄압으로 서화협회가 해산되기까지 총무 또는 회장으로 민족진영의 미술가 단합에 정력을 기울였다. 광복이 되자 조선미술건설본부의 위원장으로, 그리고 우익 미술가들의 집결체인 조선미술협회가 창립되자 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오랫동안 심사 위원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부산 피난 시절을 전후하여 한국민주당에 가입, 4·19 혁명 이후 민주당이 집권하자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 한국민족대백과  


최초의 서양화가이지만 현존하는 유화는 1910년대 자화상 3점 뿐이고 1925년 이후는 한국화로 전향한 부분은 아쉬움을 남은 미완이다. 고희동 연구자료는 2005년 한국미술대표작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소장 아카이브(50)에 단행본, 도록, 팸플릿, 기사, 사진, 작품 등이 소개되어 연구자들이 찾고 있으며 작품도 2점 소장하고 있다. 이번 WITH ARTISTS는 고희동의 1958년 12월 서울신문 자전 연재물 6회, 1964년 신미술 인터뷰, 1972년 고희동 자화상 벽장속 발견, 2012년 고희동의 집이 종로구립고희동미술관으로 발전된 스토리를 소개한다 


 갑신접하일화(甲申接夏日畵)  1944년



금강산도 1962년



삼선암도 1947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