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미술자료수집 45년, 지금도 설렌다

김달진

미술자료수집 45년, 지금도 설렌다
  
 
김달진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장
 
나를 부르는 호칭은 몇 가지가 있다. ‘소장님’은 김달진미술연구소소장이기 때문에 부르는 명칭으로 가장 많이 듣는다. ‘관장님’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의 관장이기 때문에 박물관, 미술관 종사자들에게 듣는다. 혹자는 서울아트가이드를 발행하기 때문에 미술잡지사 ‘사장님’으로 부른다. ‘회장님’은 한국아트아카이브협회의 회장이기에 듣게 되었다. ‘아키비스트’ 호칭은 2013년 중학교 도덕교과서②(금성출판사)에 <직업 속 가치탐구> 코너에 나를 「자신의 취미를 직업으로 만들다-김달진」에서 아키비스트란 직업으로 소개되었다. 부연설명에는 그 뜻이 ‘작품 및 작가에대한 기록이나 전시, 미술품에 대한 기록을 관리·감독하는 사람’으로 풀이되어 있다.
 
 
Ⅰ. 수집가
내 고향은 충북 옥천군 이원면 대동리다. 대성초등학교4학년 때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셋째 형님 주선으로 대전으로 와서 충남중학교를 다녔다. 그 무렵 열심히 담뱃갑, 껌상표, 우표 등을 모았다. 우표수집은 기념우표가 나오면 남보다 먼저 우체국창구로 달려가곤 했다. 이 무렵 『주부생활(主婦生活)』, 『여원(女苑)』, 『여상(女象)』 등 여성잡지에 나온세계의 명화를 오려 모은 것이 미술자료 수집의 시작이었다. 서울로 올라와 고등학교를 다니며 헌책방이 많았던 청계천 6, 7, 8가를 돌며 미술교과서, 미술전집 등을 샀다. 그 시절 나는 서점 주인에게 잡지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며 그림 한 장을 뜯어서 팔라고 조르기도 했었다. 지금 생각하면 필요한 부분만 오리고 버리는 것이 아닌 잡지원본을 보존했어야했는데 하는 아쉬움도 있다.

그러던 1972년 고등학교 3학년 여름 경복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열렸던 《한국근대미술 60년전》은 나에게 커다란 사건이었고 인생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동안 인쇄물로 된 서양의 명화만 보다가 우리 근대미술의 주옥같은 작품을 실물로 본다는 게 환희였다. 이 《한국근대미술 60년전》은 1969년 국립현대미술관이 개관하고 1900-60년대까지 우리근대미술작품을 발굴하고 정리한 역사적인 전시다. 그 당시 최초의 도쿄미술학교에 유학한 고희동의 유화가 벽장 속에서 발견되어 보도되기도 했다. 그 전시의 경복궁 입장권이 70원, 60년전 입장권은 50원이었으며, 팸플릿은 200원이었다. 이 입장권들과 팸플릿은 현재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소장하고있으며, 입장권에 적어놓은 가격과 메모로 학생입장료를 알 수 있다. 그 후 인사동 전시장을 돌며 전시회 팸플릿을 수집했고 1978년부터 『월간전시계』근무, 1981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근무하면서 수집활동이 더 용이해졌다.


국립현대미술관 시절, 1995

 
2008년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을 개관하고 맨 처음 코베이경매에서 낙찰 받은 물품이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잡지인 1921, 22년 발간된 『서화협회회보』1, 2호 2권이다. 이 『서화협회회보』를 처음 접한 것은 1983년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근무시절 《한국근대미술자료전》에 서지학자 안춘근의 소장품(장 서인)으로 대여 받아 전시했던 잡지가 경매까지 흘러나온 것이었다. 이 잡지는 1964년 『미술』 창간호 38쪽, 1972년 이구열 저 『한국근대미술산고』 128쪽에 언급된 희귀본이다. 이 코베이경매는 수운회관 6층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데 지금도 참가하고 있다. 그리고 중고서적을 판매하는 온라인서점을 살피는데 1929년 안드레아스 에가르트(Andreas Eckardt) 저 『HISTORY OF KOREAN ART』는 올드북스에서 구입하였다. 이러한 구입 뿐 아니라 수증을 통해서도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내용은 달진닷컴>커뮤니티>알림마당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자료를 기증해주신 대표적인 분으로는 유양옥 유족, 이규일 유족, 김인환 유족, 임범택, 조무하, 김승덕 씨가 있다. 유양옥 유족은 2,000여 권의 도서류를 기증해주었고, 2012년《유양옥선생 기증자료전》을 가졌다. 미술작품은 부산 공간화랑 신옥진 대표가 2009년 박고석의 스케치 작품, 2014년 서양화가 박돈 선생님도 작품 13점 이외에도 작가들의 본인 기증작품도 늘어났다. 2009년 우리 박물관의《한국미술사 + 화가의 초상전》에 출품되었던 작품 몇 점을 구입했다.
 
 
Ⅱ. 기록자
미술자료를 수집정리하며 기록의 중요성을 실감했다. 잡지에 미술연재물의 기록을 시작으로, 미술단체카드, 미술인명카드, 주제별 미술기사 색인카드 등을 정리했다. 1978년에는 신동아의 논픽션 모집에 「한국의근대미술 자료」를 응모한 적도 있다. 전시회일지에는 전시명, 기간, 장소, 주요 출품작가, 해당전시의 언론보도 목록 등을 기록했었다. 『월간 전시계』에근무하며 근대작고미술가인명록, 근대미술단체 및 주요 전시회, 우리의 근대미술과 일본 등을 연재하였다. 이후 1년 동안 전시회 기록들을 『열화당미술연감1984-89년』 6년, 전해년도 한국미술계를 정리하여 『연합연감』 1990, 91, 92, 95, 98년 판에 자료를 제공하였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발행하는 『문예연감』에 2006년부터 매년 미술계 현황분석과 전시회 목록을 제공했다. 월간미술에서 발행하는 『한국미술연감』에도 몇 년간 전시목록을 제공했다. 또한 미술연표, 한 해 동안 미술계 결산을 월간미술, 가나아트, 미술세계 등에 발표했다.
 
특히 미술자료 기록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선미술』1985년 겨울호 「관람객은 속고 있다-정확한 기록과 자료보존을 위한 제언」을 발표했다. 이 글에서 작가의 화력, 팸플릿, 연표, 연보, 연감등에서 오류 또는 오기한 것의 실례를 들어 문제의 심각성을 사회적으로 환기시켰다. 또한 통계도표에서 1983년 전시회 기록이 『한국예술지』에는1,272건, 『문예연감』 1,695건, 『한국미술연감』 1,775건, 『열화당미술연감』 2,005건으로 다름을 밝혔다. 이런 오류·오기 등 잘못된역사적 사실들이 확대, 재생산되는 것들이 안타까웠다. 어느 신문기자는 인터뷰에서 나에게 너무 편집광적으로 잘못된 것들을 밝히는 게 아니냐는 질문을 했었는데 그 부분에 다른 이들보다 관심이 있어 눈에 잡히는 부분이라고 답한 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미술인하면 창작활동을 하는 작가만을 생각하지만 나는 비창작미술인인 미술평론가, 미술사가, 큐레이터, 미술행정가, 작품보존 및 수복전문가 등에 대한 사항도 기록하여 관리했다. 이 내용은 『서울아트가이드』미술계인명록에 2006년부터 2009년까지 30회를 연재했다. 이를 보완하여 2010년『대한민국미술인 인명록Ⅰ』을 발간하여 3부에 이 분야 가장 많은 인명 654명을소개했다. 이 미술인 인명록에는 1850년 이후 태어난 490,9명이 수록되었고 나의 주장은 '일등별만 기억하지 말고 이등별, 삼등별도 기억하여 우리 미술사 연구를 풍부하게 하자'는 것이다. 
 
 
Ⅲ. 연구자
나도 한국근현대미술 연구자의 한 사람이다. 1999년 석사논문으로「국내 미술자료 실태와 관리 개선 방안 연구」를 발표하였으며, 그 후 미술자료실 및 아카이브의 국내실태조사를 여섯 번 발표할 기회가 있었다. 나의연구는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의 아카이브전시를 통해 이루어가고 있다. 단순히 오래된 자료를 모아 진열해놓은 전시보다는 학술도서 발간에 힘을 기울인다.연표작성, 미술평론가 큐레이터 등을 통해 설문조사, 소논문, 구술인터뷰, 세미나 등을 병행하여 학술적인 가치를 높인다. 그동안 『미술정기간행물1921-2008』,『한국현대미술 해외진출 60년』,『외국미술 국내전시 60년』,『한국미술단체 100년』,『한국근현대미술교과서』,『한국미술공모전의 역사』등을 펴냈다. 이런 성과로 2014년 ‘한국미술저작.출판상’을 수상했다. 또한 한국미술 기초자료 구축 및 활성화사업으로『대한민국미술인 인명록Ⅰ』,『한국미술단체자료집 1945-1999』,『한국미술전시자료집 Ⅰ 1945-1969』연구프로젝트들을 수행해나가고 있다.
 
1993년 한국근대미술사학회 창립회원, 2004년 인물미술사학회 창립회원이었다. 그러나 학회를 통해 연구발표는 별다른 활동을 하지 못했다. 한동안 한국큐레이터협회 활동에 가담해 2011-2013년은 한국큐레이터협회 부회장도 지냈다. 2004년 일본아트도큐멘테이션연구회가 주관하는 고베 효고현립미술관에서 열린 ‘동아시아 미술문화재정보네트워크를생각한다’라는 국제 심포지엄에 한국발제자로 참가하여 「한국의 미술 문화재 정보화현상」을 발표했다. 이때 일본은 아트도큐멘테이션연구회가 1989년창립하여 15주년 기념행사로 제3회 아트도큐멘테이션연구포럼을 이 주제로 상정했다. 나는 우리나라에는 이런 성격의 학회가 없는게 아쉬워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2012년 7월부터는 한국아트아카이브협회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포럼을 운영하다, 2013년 11월 동숭동 예술가의집에서 창립식을 가졌고 한국아트아카이브협회 회장직을 맡았다. 현재 협회는 뮤지엄아카이브분과, 학술분과, 전시분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아트아카이브협회는 한국의 시각예술분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예술분야와 기록학 분야 연구자들의 협의체로 정확한 한국예술사 구성을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해나가는 한편, 국내외 아트아카이브 현안을 연구하여 개선해가려는 목표를 지향한다.


도덕교과서 2, 금성출판사, 2013,

<만나고 싶어요> | 직업 속 가치 탐구|에 '자신의 취미를 직업으로 만들다 - 김달진'


 
Ⅳ. 언론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술자료를 열심히 수집하던 시절 동대문도서관에서『월간 전시계』라는 잡지를 보게 되었다. 그 잡지사에 편지를 보내어 사장님과 면담이 이루어졌고, 그 곳에서 일하게 되었다. 지금의 남대문경찰서옆으로 그 당시 서울 중구 양동으로 불리었다. 이곳에서 취재도 나가 기사 작성, 미술자료 기획물을 연재도 하고 편집일을 배우기도 했다. 지금 젊은사람들은 전혀 모를 사진 식자를 오려 부치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언론사 통폐합의 회오리바람 앞에 동양방송, 동아방송, 『뿌리 깊은나무』 등과 함께『월간 전시계』도 폐간되었다.
그 후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이직하였고 근무할 당시 직급은1981-86 임시직, 1987-89 별정직 7급, 1990년부터 기능직 10급이었다. 당시 내가 하는 일만큼 대우를 받을 수 없는 현실에 절망하여 결국 미술관을 나오게 되었다. 가나화랑에서 가나미술문화연구소를 만들면서 자료실장으로 발탁되었다. 이 무렵 많은 글과 자료들을 미술잡지에 발표할 때였는데, 당시 이호재 사장이 나를 채용한 것이다. 그동안 내가 쓴 기사는 미술자료의 중요함 또는 부실함을 강조했으며, 전시회, 미술계 사건, 미술공모전, 미술상, 미술잡지 등을 가지고 통계를 내어 현상을 파악하는 일에 치중했다. 특히 1980년대에서 90년대 중반까지는 잡지에 글을 발표하면서 언론에서 인용보도를 많이 하는 뉴스메이커였다. 언론에 대한 일침으로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언론기관 미술사업, 어제와 오늘’『가나아트』1995.5.6월호, ‘저널리즘: 전문기자 시대는 요원한가’『월간미술』1999년 1월호에 발표했다.

자료실장으로 일했지만『가나아트』잡지 편집회의에 참석하였고,기획물, 인터뷰 기사를 썼다. 그리고 이호재 사장이 프랑스에서 가져온 것을 견본으로 미술전시회 정보를 알려주는 포켓용『화랑 미술관 전시회가이드』를 만들었다. 나중에『서울전시회가이드』로 명칭을 바꾸었다. 이 경험이 바탕이 되어 가나아트센터에서 독립하여 월간『서울아트가이드』를 2001년 12월, 아내 최명자를 발행인으로 나는 편집인으로 하여 정기간행물(서울 다 09145)로 등록하였다. 처음 12쪽 접지로 출발하였지만 그동안 판형 변경과 중철제본을 거쳐 오늘의 잡지로 자리를 잡았다. 처음 몇 년간 화랑, 알고지낸 작가들에게 광고를 의뢰하며 영업을 했다. 몇 년 후『서울아트가이드』가 궤도에 올라섰다. 이후 무가지 미술정보잡지가 여러 종이 발간되어 폐간되기도 했고, 유지되고 있다. 『서울아트가이드』에는 취재기사보다는 외부원고가 많고 한국미술계의 과제, 지금 한국미술의 현장, 스페셜, 외국 통신원을 통해 중동지역까지 일곱 나라의 소식, 미술신간 소개, 다른 매체보기, 월간미술소사 등을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나의 고정 기사인 내가 만난 미술인도 처음 반페이지로 시작했던 것이 확대하여 전면기사로 95명의 미술인 인터뷰기사를 실었다. 그동안 350여 편을 발표했으며 최근년에는 매년 전시공간 변화를 통계내고 있다. 미술기자 간담회에 초청을 받는데 그 기자간담회 상황자체를 기록하기 위해 달진닷컴>커뮤니티>연구소블로그에 올리고 있다.
 
 
Ⅴ. 후반전
나의 지나간 별명 중 하나는 ‘금요일의 사나이’다. 매주 금요일이면 인사동·사간동 일대를 돌며 자료를 수집했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으로, 그 당시 화랑사람들은 자료를 그렇게 열심히 모아 무엇을 하느냐 묻곤하면서도 내 자료수집에 도움을 주었다. 그 현장에서 얻은 인연들이 지금까지 큰 힘이 되어주었다. 이제는 많이 바뀌어 일일이 현장을 다니며 자료를 받아오지 않아도 많은 곳에서 미술관련 자료들을 발송해온다. 더구나 연구소를 통해 발행하고 있는 잡지에 신간소개를 요청하며 미술도서들을 보내주고있다. 이제 더 큰 책임감을 느낀다.
지난 세월동안 자료를 모아 그 내용을 파악하고 미술기초자료로 정리해 미술계 현상을 파악하고자 했으며, 공적가치를 창출해 공유하고자 했다. 그러나 많은 한계들도 느껴왔다. 첫째는 자료보존을 위한 공간과 예산문제이다. 둘째는 시대변화에 따라 다양해진 자료들의 매체와 그만큼 모호해진 분류기준이다. 셋째는 다음 세대를 위한 전문가들을 준비시키는 일이다. 무엇하나 쉬이 될 일은 없지만 이전까지 그래왔듯 여러 사람들의 도움으로 이 일들도 하나씩 이루어질 것이라 믿는다.

“하신 일도 많으시지만 하실 일도 많으십니다.” 2005년 11월, 김영나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현 국립중앙박물관장)가 연구소에 내방하여 방명록에 남겨준 말이다. 앞으로도 소장한 자료들을 정리해 전시로 만들고, 단행본을 발간하는 일을 지속할 것이다. 또한 주요자료는 목록화하여 온라인에서도 검색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SNS시대 자료를 모바일에서 검색을 하게 만드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고 예산이 필요한 지난한 일이다. 국내 미술계가 부닥쳐 있는 한국미술의 정체성 문제, 미술시장 활성화, 위작 시비, 한국미술의 해외진출 등 많은 문제들의 단초(端初)가 오늘 내 가방 안에 들어있는 작은 전시리플릿 한 장, 메모한 줄이라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 “오늘의 정확한 기록이 내일 정확한 역사로 남는다” (졸고- 관람객은 속고 있다. 1985)
아직 할 일이 많다.

- 2015. 3.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홍지동 사옥 개관 <아카이브 스토리: 김달진과 미술자료>에 수록 글을 보완하였다.




Forty-five Years of Collecting and My Heart Still Flutters


Kim Dal-Jin

Kimdaljin Art Archives and Museum

 


Peoplerefer to me by many titles. The one I most often hear is “Resource CenterManager” because I am Director of KimdaljinArt Institute. Museum professionals refer to me as “Museum Director”. Somecall me “President” because I publish <SeoulArt Guide>. Others use “Chairman” because I preside over the Korean Art Archive Institute. A textbookon Ethics published in 2013 referred to me as an “archivist”. In their regularcolumn <The hidden value of aprofession> they told my story under the title <Turning your hobby into a profession - the story of Kim Daljin>.To be more precise they described me as a “curator-manager of art archives andarchival exhibitions”. 


Ⅰ. Resource Center Manager 


Bornin Okcheon-gu, Yiwonmyeon, Daedong-ri, I was in my fourth year at Daesong Elementary School when my motherpassed away. With the help of my older brother I moved to Chungnam Middle School in Daejeon. In those times I used tovigorously collect anything from cigarette boxes to chewing gum wraps, poststamps etc.Whenever a commemorative stamp was released I was first to run tothe post office and buy one. It was in those years that I started cutting outpictures of famous paintings from women’s magazines such as <Housewife Life>, <Lady>,<Women>. Later, when I moved to Seoul to attend high school, I oftenstrolled around the second hand book stores near Cheonggyecheon 6, 7, 8-ga to buy art textbooks and magazines.Sometimes I would haggle with the shop owner to give me only that page of themagazine which I needed. Now that I think about it I feel regretful that I keptonly the cut-outs but not the magazines. 


Themoment that changed my life came one day in the summer of 1972 when I was in my3rd year of high school. The exhibition <SixtyYears of Korean Modern Art> had just opened at the Museum for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and seeing all thosemasterpieces in life-size left a big impression on me. Until then I had onlyseen the Western masterpieces in the magazines. The MMCA had been establishedin 1969 and the exhibition in question was a historical review of Modern artcreated between 1900 and 1960. It was in that same time that the oil paintingsof Go Hee-Dong, the first Korean artist to study at Tokyo Art School, were discovered in a closet. The entry fee forGyeongbokgung Palace was 70 won, for the exhibition itself - 60 won and thebrochure had cost 200 won. Those are currently in Kimdaljin Art Museum and an inscription on the entry ticket let usknow it is a student ticket. After that I began going around the galleries inInsa-dong to collect exhibition pamphlets and later in 1978 started working at<Exhibitions Monthly> magazine.In 1981 I moved to MMCA which made collecting a lot more easier.


Uponthe opening of Kimdaljin Art Archives andMuseum in 2008 the first items sold at KobayAuction were the first two issues of <Bulletin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y Society>, Korea’sfirst ever art magazine which was in print for 22 years starting 1921. I had achance to see the magazine in 1983 when I was working at Deoksugung ,which ispart of MMCA. At that time we were working on an exhibition called <Periodicals of Modern Korean Art> andwe had that magazine on lease from bibliographer Ahn Chun-Geun. Now that samemagazine was sold at auction. This rare book is also mentioned on page 38 ofthe first issue of <Art>magazine in 1964 and on page 128 of <TheBirth of Modern Korean Art> by Lee Gu-Yeol published in 1972. Kobay Auction took place once everymonth on the 6th floor of Sueun AssemblyHouse Building. I also check online used bookstores which is where I foundAndreas Eckardt’s <HISTORY OF KOREANART> from 1929. But direct purchase is not the only way we grow ourcollection. We receive many donations and we publish all of them on ourhomepage Daljin.com>Community>Notices.Regular donors include the families of Yu Yang-Wook, Lee Gyu-Il, Kim In-Hwan,Im Beom-Taek, Jo Mu-Ha, Kim Seung-Deok. The family of Yu Yang-Wook has donatedmore than 2000 books to our archive and in 2012 we organised <Exhibition of Yu Yang-Wook’s Donated Works>.We have received donations from galleries as well. These include a 2009 sketchby Park Gu-Seok and 13 artworks by Park Deon donated by President Shin Wook-Jinof Gonggan Gallery in Busan. Artisthave contributed artworks, too. In 2009 we bought some of the works displayedat our exhibition <History of KoreanArt + Artists’ Portraits>. 


Ⅱ. Archivist 


Collectingprinted materials taught me the importance of keeping records. What started ascataloguing the serial articles in art magazines grew to compiling index cardsof important art groups and individuals. In 1978 we even entered one of ourworks - <Documents on Modern KoreanArt> - in Shin Dong A’snon-fiction competition. We created an <ExhibitionsDiary> where we recorded the name of every exhibition, its opening andclosing dates, location, notable participating artists and the relatedpublicity materials. While working at <ExhibitionsMonthly> we ran series on <DeceasedModern Korean Art Professionals Index>, <Modern Korean Art Groups and Important Exhibitions>, <Japanand Korean Modern Art>. Later we created yearbooks of all exhibitions ofthat year <Youlhwadang Art Yearbook1984-89> and <CombinedYearbook> for 1990, 91, 92, 95, 98. Every year since 2006 we alsoprovide the Korean Culture and ArtAssociation with analyses of the national art scene and an index of theexhibitions for their <Arts andCulture Yearbook>. For several years we gave the exhibition index to<Art Monthly> as well for their<Korean Art Yearbook>.Additionally, we have also published chronological tables, artworld annualreviews etc. in <Art Monthly>,<Gana Art>, <Art World>. 


Toaddress the importance of recording and archiving I wrote an article called<Misleading the Viewer - A Proposalfor Accurate Recording and Document Preservation> for the autumn issueof <Seon Art> in 1985. In it Iexposed the amount of mistaken and inaccurate information in artists’biographies, brochures, timetables, yearbooks etc. We disclosed errors in thestatistics of the exhibition records for 1983 amounting to 1272 cases in <Korean Art Newspaper>, 1695 cases in<Arts and Culture Yearbook>,1775 cases in <Korean ArtYearbook>, and 2005 cases in <YoulhwadangArt Yearbook>. I thought it regretful that such errors are reproducedand become the base for misrecorded history. Once a reporter asked me if I amnot being to pedantic about such inaccuracies. I told him that because I ammore interested in the subject than ordinary people I notice such things moreeasily. 


Generally,when we speak about people of the arts we think of artists but I also gatherand record materials related to art criticism, history, curating,administrati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of the art which are notdirectly related to artwork production. After analysing and systemising thematerials we published an index of all art professionals in 30-part series in<Seoul Art Guide> from 2006 to2009. To supplement this research in 2010 we published the first part of <A Directory of Korean Art Professionals>whose third part included 654 art professionals, more than ever before. Thisdirectory now contains 4909 people born after 1850. My view is that we shouldnot remember only the most famous ones but also those who come in second andthird because they add to the richness of Korean art history.  


Ⅲ. Researcher 


Iam also a researcher of contemporary Korean art. I obtained my master’s thesesin 1999 with a research paper titled <KoreanArt Archives: Current State and Ways to Improve> which I have publiclypresented on six more occasions after that. The results of our ongoinginvestigation reach the world through our archival exhibitions. Rather thansimply gathering and displaying old documents, I prefer to focus on producingacademic materials. We publish timetables, interviews, essays, research papersand seminar books prepared in partnership with critics and curators to increasethe scholarly value of our collection. So far we have published <Long-term Art Publications 1921-2008>,<60 Years of Korean Art on the GlobalScene>, <60 Years of ForeignExhibitions in Korea>, <100Years of Korean Art Groups>, <Textbooko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of Korean Art ContestExhibitions> and more. In 2014 we won the award for “Art Writing andPublishing”. We also run projects that enrich the preliminary database onKorean art such as <Directory ofKorean Art Professionals Ⅰ>, <Korean Art Groups Database 1945-1999>,<Korean Exhibitions Database Ⅰ 1945-1969>. 


Iwas among the founding members of the KoreanContemporary Art Society in 1993 and the Society for Important Figures in Art History in 2004 butunfortunately our work there did not go beyond organising a few conferences andseminars. For a while I was part of the KoreanCurators’ Association and its vice-president between 2011 and 2013. In 2004I represented Korea in the international symposium <Towards East-Asian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Network>organised by Hyogo Prefecture Museum,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apanese Institutefor Art Documentation (JIAD). My presentation was titled <Popularisation of Korean culturalheritage>. That year was the 15th anniversary of JIAD and the symposiumwas part of their third forum, an even without an analogue in Korea. In July2012 we started working on the creation of KoreanArt Archive Association which held its opening ceremony in November 2013 inYesulgaejib in Dongsung-dong and I was appointed as president. Currently the Association consists of Museum Archive Department, Academic Departmentand Exhibition Department andincludes visual art professionals, art researchers and archivists working onthe correct recording of Korean art history, cataloguing, and analysis ofcurrent art issues at home and abroad.  


Ⅳ. Theorist 


Uponcompleting my secondary education and still passionately collecting, I cameacross <Exhibition Monthly> in Dongdaemun Library. I sent a letter tothe magazine requesting a face-to-face meeting with the editor and eventuallyended up working there. The office was located next to Namdemun police stationin an area which is now called Seoul,Jung-gu, Yang-dong. This is the place where I learnt how to find news,write articles, plan periodicals, prepare serial articles and edit. Youngpeople these days will be unable to understand those days spent cutting outphotos and articles from newspapers. Then came the 1980s and the whirlwind ofmedia mergers which led to the closure of many outlets - <Dong-yang Broadcasting>, <Dong-ABroadcasting>, <Deep-rooted tree> - including ours. 


Thisis how I started working at MMCA, first as temporary employee (1981-86), thenas a civil servant 7th rank (1987-89) and from 1990 as a technician 10th rank.I felt that the effort and passion I put into my work were underappreciated andeventually left the museum. I moved to work at Gana gallery where the director Mr. Lee Ho-Jae appointed me asmanager of Gana Art and Culture Institute.In those times I authored numerous articles draw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of art publications, and the lack of reliable record-keeping, various analysesand statistics on exhibitions, specific stories, art contests, prizes andmagazines. My works written throughout the 80s and until the mid-90s were oftenquoted in other publications. Among my most notable works include <Media outlets and the business of art, pastand present: something has to change> published in <Gana Art>’s edition of June 1995 and<Journalism: the era of professionaljournalists is still far off> published in <Art Monthly>‘s edition of January 1999. 


OfficiallyI was manager of Gana’s ResourceCenter but I also attended the editorial meetings of <Gana Art> magazine where I wrote articles and took interviews.Together we made the pocket-sized <Galleryand Museum Exhibition Guide> modeled on a similar booklet director LeeHo-Jae brought from France. Later we changed the name to <Seoul Exhibitions Guide>. In December2001 I left Gana and started <Seoul Art Guide> - my wife became theofficial publisher, I the editor and we registered the company as a periodicalpublication under the name <Seoul Da09145>. In the beginning it was just a 12-page leaflet but later westarted using book size and binding to make it the magazine it is today. In thefirst few years we relied heavily on advertisement from close gallerists andartists. Several years later the circulation increased and even though many artperiodicals came and went we remained. Rather than delivering news we focus onproviding our readers with analytical text on the developments in the artscene, specials, reports from foreign correspondents from seven regionsincluding the Middle East, book reviews, recommended readings, monthly artstories etc. My prologue which started as half a page is now a full page and Ihave interviewed more than 95 art professionals. We have 350 issues and startinga few years ago we also publish an annual survey on the changes in theexhibition spaces. When I receive invitation for a press conference, I recordthe atmosphere of the event atDaljin.com>Community>Institute’s Blog. 


Ⅴ. Later Life 


Oneof my first nicknames was “Friday man” because every Friday I used to go aroundInsa-dong and Sagan-dong to pick up art materials. Gallerists would always askme “what do you collect all these for” and although they couldn't understand methey supported my enterprise. The friends I made in those times still supportmy mission today. Now things have changed and I do not have to take thematerials personally, they send them to me themselves. When someone requeststhat we review their book in our magazine they send us the book free of charge.All that makes me feel even more responsibility. I used to collect and analysematerials for their value as art resources but now I think our collection hasalso a social value that I want to show to the public. In our work we have toconsider many limitations. First of them is the lack of space to house ourarchive and the insufficient funding. Second, the diversification of mediumscoming with digitalisation pos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ow we define theterm “art periodicals”. Third is the need to train the professionals of thenext generation. There is nothing easy but I believe with the support of thepeople who have helped us so far we will be able to accomplish our goals onestep at a time. 


“Youhave achieved a lot, you will achieve even more”. These words were written inour guestbook by Kim Young-Na professor at SeoulNational University’s Antique ArtHistory Department (currently director of National Museum of Korea) in November 2011. We continue to curateexhibitions with materials from our archive and to publish books. We plan tocatalogue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and make them accessible online. In theera of internet making documents easy to search through your smartphone is notas easy as it sounds and it requires a considerable investment. The Korean artworld faces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question of its identity and renewal,forgery scandals, advancement abroad, etc. The clue to addressing these issuesI think lies with the sentence written on a small exhibition brochure in mybag: “Today’s accurate record is tomorrow’s accurate history”. There is stillso much work to be done.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