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서문│오형숙 전 / 감각적 공간으로 되돌리기

김성호

감각적 공간으로 되돌리기


 


김성호 Kim, Sung-Ho (미술평론가)


오형숙의 회화는 ‘텅 빈 공간’의 막막함으로부터 출발하여 ‘채운 듯 비운 공간’의 혼돈으로 전개되어 나간다. 낙서, 물감의 흘림과 덧칠 그리고 스크래치와 사진 콜라주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자신의 회화의 장(場) 안으로 철저한 무작위와 우연을 침투시켜 그녀만의 ‘감각적 공간’을 만들어 간다. 그것을 미술로부터 세계에 대한 인식으로 확장하면서 말이다.



I. 감각 공간 - 무작위의 추상과 우연으로 빚은 순수 형상
오형숙은 자신의 작가 노트에서 다음처럼 말한다: “나는 작업 전 에스키스도 하지 않고, 화면에 / 데생도 하지 않는다. / 그러므로 창작의 결과는 나 자신도 / 예측할 수 없다. / 마티에르를 느낄 수 없도록 바탕에 미리 / 질료를 이용해서 작업한 후에 화면에 우연적인 붓질을 하고, 어떤 부분은 닦아내거나 문지른다. / 그리고 그 위에 물감을 흘리거나 뿌리기도 한다. / 여기 재현할 모델도, 재현해야 할 스토리도 없다. 재현을 포기하고 무엇을 그릴 것인가? / ‘감각’이다.”
이처럼 그녀가 천착해 온 시리즈 작업 〈감각의 공간(The space of sense)〉은 애초부터 재현할 대상을 상정하지 않는 까닭에 무엇보다 추상화처럼 펼쳐진다. 더욱이 이지적으로 환원시킬 순수한 도상이나 그것의 질서의 체계조차 유념하지 않는 까닭에 오형숙의 추상은 다분히 표현주의적 추상화로 전개된다. 그녀의 표현주의적 추상은, 색상이 다른 물감들이 캔버스 위에 드리핑(dripping)과 스트로크(stroke) 기법으로 흩뿌려지거나 스퀴즈(squeeze) 기법으로 뭉개지기도 하면서 서로의 몸을 섞고, 천의 배면으로 침투하는 엷은 물감들이 나이프나 마른 붓에 의해 스크래치(scratch) 기법으로 긁혀 되살아나기도 하면서, 다양한 회화적 변주를 끊임없이 실험한다. 
보라! ‘자발성 혹은 즉발성(spontaneity)'의 즉흥적인 붓질로 한바탕 휘몰이를 마친 캔버스 위에는 혼성의 물감 질료들이 뒤섞인 채 만들어진 성대한 향연이 펼쳐져 있다. 그것은 우연과 무작위의 감성에 몸을 맡긴 작가에 의해서 태어난 얼룩과 흔적들이다. 그것들은 목적의식성(consciousness)의 관점에서 보면, 분명코 버려진 것들이다. 물감의 잔해와 잉여!
그러나 작가는 이내 그것이 ‘어떠한 형상'을 잉태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얼룩과 흔적이라는 잉여의 부산물이 자연발생적으로 만든 ‘특정하기 어려운 어떠한 형상’은 작가의 개입에 의해 ‘유추 가능한 어떠한 형상’으로 자라난다. 마치 테이블에 남긴 커피 자국 속에서 누군가의 얼굴을 떠올리듯이, 그녀는 자신이 우연하게 만든 얼룩과 흔적 속에서 어떤 형상들을 떠올리고 그것을 구체화한다. 길쭉한 얼룩은 마치 서 있는 사람이나 달리는 사슴처럼, 또는 물감이 밀쳐진 빈 공간은 작은 창문 혹은 우주의 공간처럼 변주되기도 하는 것이다. 가히 그녀의 언급처럼 “우연적 물감의 흐름이 비어낸 순수 형상”이라 할 만하다. 감각의 공간으로부터 부지중에 떠올린 순수 형상인 셈이다.
이러한 조형 언어는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automatism)으로부터 발원한 것으로 작가 오형숙만의 독창적인 회화 언어가 아님은 물론이다. 주요한 것은 오토마티즘에 기초한 그녀의 ‘즉발적 회화’가 애초에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를 만들면서 창출하는 상호 순환적인 개념과 효과에 관한 것이다. 즉 비가시적인 것의 가시화를 의도하는 것이며, 비의미의 의미를 묻는 것이다. 우연에 의해 창출된 얼룩과 흔적뿐 아니라, 화면 위에 느닷없이 개입한 사진 콜라주와 판화 기법으로 적힌 텍스트, 넋두리처럼 흘려 쓴 드로잉/텍스트 등 모든 것은 무의미한 것들의 의미 찾기를 시도한다. 그것은 그녀의 말대로, 우리의 의식 속에 있던 “판에 박힌 어떤 이미지들이 모두 무효화되고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사건”이라 할 것이다.
나아가 그녀의 작업은 다음의 작가노트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세계를 대면하는 화가’라는 비유로 확장한다. “결국 나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게 되는 신비한 체험을 하게 된다. / 얼마나 환상적인 일인가? / 끝없이 새로운 것을 ‘생성해 내는 예술! / 사회가 제시하는 ‘질서’, 그 동일한 삶을 탈피하고자 / 나는 오늘도 작업을 한다.”


The space of sense1, 53x45.5cm


The space of sense3, 53x45.5cm


The space of sense6, 72.7x60.6cm


The space of sense8, 72.7x60.6cm




II. 되돌리기 - 숲으로 사냥을 나가는 화가
그렇다. 오형숙의 ‘감각적 공간’은 무작위로 잉태한 질료의 얼룩과 흔적을 숙주로 삼은 ‘순수 형상’이 우연에 자신의 몸을 맡긴 채 스멀스멀 자라나는 미술의 공간이다. 흥미로운 것은 그녀가, 표현주의적 추상 충동과 형상에 대한 감정이입의 충동이 혼재한 미술의 공간을, 세계에 대한 인식의 공간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형숙은 자신의 ‘감각적 공간’을 현대인이 되돌아가야 할 문명 이전의 원시 공간과 동일시한다. 마치 원시의 아프리카 대륙과 같은 ‘되돌릴(되돌려야만 할) 시공간’으로서 말이다. 그녀에게 ‘감각적 공간’은 타락한 현대 문명인이 회귀하려는 원죄 이전의 구원의 시원(始原) 공간임과 동시에 상업주의와 치기로 오염된 현대미술이 되돌아갈 미학의 본원지로 간주된다.
그래서일까? 〈감각의 공간(The space of sense)〉에서도 그러하지만, 그녀의 또 다른 시리즈 작업인 〈되돌리기(Revert)〉에서는 작가가 바라보는 세계에 대한 인식이 도처에 자리한다. 특히 ‘문명 이전의 원시’의 시공간을 ‘원죄 이전의 구원’의 시공간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도드라진다. 그런 차원에서 아프리카 대륙은 그녀의 작품에서 하나의 비유이다.
특히 화면의 어두운 공간 안에서 관자를 응시하면서 떠오르는 검은 얼굴, 아프리카인의 초상은 문명 이전의 시원의 아프리카 대륙을 의미한다. 그것은 대상의 부분이 대상의 전체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제유(提喩, synecdoche)의 조형 전략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마치 빵이란 부분이 음식이라는 전체를 대체하듯이, 그녀의 작품에서 아프리카인의 초상은 아프리카 대륙을 더 나아가 문명 이전의 모든 시원계(始原界)의 담론을 제유한다. 즉 ‘인간=자연=동물’, ‘종교=삶=예술’과 같은 미분화와 평등이라는 시원의 담론을 ‘지금, 여기’에 소환하는 것이다. 인간의 지배와 구속으로부터 탈주하는 자연 그리고 종교의 구속으로부터 탈주하는 예술과 같은 이상적 담론은 오형숙의 회화 도처에서 꿈틀거린다.
오형숙은, 자연을 지배하던 문명이, 예술을 지배하던 시장이 오늘날 논리학의 양도논법(兩刀論法)의 결과처럼 필연적으로 ‘궁지’라는 딜레마에 처해있음을 간파한다. 그래서 그녀는 되돌리자고 외친다. 더 이상 시 속에 존재하지 않는 지구를, 검은 신음을 토해내는 강을, 회색 구름으로 덮여 가는 숲을 되돌리자고 말이다. “정글의 식물들은 수액을 채우고 / 나무 위의 표범은 사냥을 떠나는” 세상뿐만 아니라 시장에 속박되지 않는 자유로운 예술의 세계를 회복하자고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오형숙을 ‘위태로운 문명의 바벨탑’에 안주하기보다 ‘숲으로 사냥을 떠나는 화가’라고 칭할 만하다. 그런 차원에서 그녀의 회화가 담고 있는 본질적 메시지는 현대인들이 인간 본연의 책무를 방기함으로써 진화(進化)의 마무리가 아닌 퇴화(退化)에 이르고 만 현 시대를 되돌리자고 외치는 작가의 ‘소소하지만 결연한 항변(抗辯)’이라고 정의해볼 수 있겠다.   



그런 탓일까? 그녀의 회화는 더러는 아름답다고 하기보다 스산하고 기괴하기조차 하다. 현 시대의 문제의식을 ‘감각적 공간’이라 칭한 자신의 인식의 지평 위에 올려놓고 자유로운 예술 정신을 무모하리만치 실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안다. 그녀의 회화가 동시대가 당면한 사회적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지만, 본질적으로 자유로운 예술의 이상을 곱씹고 성찰함으로써 논리의 겁박과 시장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운 미술을 자유로이 실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다른 예술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오형숙은 그것을 실천해나가겠다는 의지를 갖고 오늘도 자신의 아틀리에에서 부단히 ‘숲으로 사냥을 나가는’ 그녀의 이상을 다듬어 나가고 있다는 것을 말이다. ●



출전/

김성호, '감각적 공간으로 되돌리기', 오형숙 카탈로그 서문 ( 우리가 만든 봄(6인전), 인사아트센터, 2017. 3. 29-4. 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