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주도양 / 응시의 방식과 인식의 경로를 확장해주는 새로운 시각경험

하계훈

응시의 방식과 인식의 경로를 확장해주는 새로운 시각경험



우리는 세상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중력의 방향과 일치하게 서거나 앉은 상태에서 대상을 수평으로 바라보는 데 익숙하다. 그리고 이러한 응시 방법은 사회적 관습이나 규범으로 인해서 바람직한 응시의 방법으로 장려되고 길들여지기도 한다. 어린 시절 아동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바른 자세로 바르게 바라보기를 훈련받으며 훔쳐보거나 흘겨보는 시각의 일탈에 대해 제제를 받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평범하고 바르게 바라보는 데 익숙해져 있으며 그러한 시각에서 얻어지는 이미지에 길들여져 있다. 그래서 일부 실험적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전시공간은 작품들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벽면에 우리의 시선과 나란하게 배열하는 방식으로 관람객들에게 응시의 대상을 제공한다. 일상생활에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누워서 하늘을 보거나 높은 곳에서 발아래 펼쳐진 광경을 내려다보는 기회가 종종 있기도 하지만 우리의 시선은 대부분의 경우 수평적인 시선을 통한 응시에 익숙하게 습관이 들여져 있다.
그런데 주도양은 우리들의 이러한 시선에 충격을 가할만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데 관심을 보여 왔다. 그의 작품은 평범한 사람의 눈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시각으로 주변을 바라보는데, 마치 물고기의 눈이나 새들의 시각이 이러할 것 같은 짐작이 되기도 한다. 그의 작품에서 사물의 형태는 심하게 왜곡되어 있는 반면에 색상은 충실하게 현실을 재현하여 우리들의 사물과 공간 인식이 현실에 머무는 것을 돕고 있다. 사진기를 이용하여 이러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주도양의 시선은 일차적으로 놀랍고, 흥미로우며 다시 우리들의 응시의 방식과 인식의 경로에 대한 확장과 재고의 기회를 갖게 만들어 준다.
주도양의 작품에는 주로 나무와 자연의 사물들이 등장한다. 특히 나무의 모습이 우리의 정상적인 눈높이에서 관찰된 것이 아니어서 재현된 이미지에 담긴 시각이 불안감을 주기도 하지만 묘하게 유희적 즐거움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나무와 사물들의 모습들은 우리들의 일상의 시선이 포착할 수 있는 온전한 이미지가 아니라 구부러지고 기이하게 휘어지거나 변형된 이미지들로서 과장과 강조에 의한 다면원근법적 이미지라고 불리는 기이한 것들이다.
주도양의 이러한 이미지들은 카메라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원래 카메라는 사실적 재현성을 바탕으로 하는 다큐멘터리를 특징적 기능으로 인정받아 왔으나 점차 기술적 진보에 의해 예술성과 변형이 가미되면서 오늘날에는 회화와의 통섭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회화 역시 르네상스 시대 이후로 원근법과 음영의 표현에 의한 일루젼에 의존하여 대상을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사진의 출발과 그 궤도를 공유하는 면이 있지만 사진의 기계성에 비하여 회화는 수공의 결과에 의존하는 특징의 차이를 보인다.
주도양의 사진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원형으로 포착한다. 작가가 최종적으로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사진기를 360도 회전시켜 여러 장의 사진 이미지를 얻은 후 이를 바탕으로 정교하게 조합하고 합성을 해서 하나의 이미지로 만든 사진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작가가 포착한 이미지는 한 순간의 이미지가 아니라 짧은 순간순간의 모습들을 이어놓은 시간상으로 연속적인 이미지가 되는 셈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면은 우리의 생활 속에서 사진기와 같은 특수한 장치의 힘을 빌리기 전에는 맨눈으로 포착할 수 없는 것이며 그만큼 낯설고 신기하며 신선한 충격을 주는 것이다.
원근법이 2차원적 평면에 환영적으로 제공되는 3차원적인 공간을 우리에게 설득하려는 것이었다면 주도양이 사진을 조작하여 다면적인 원근법의 시각으로 만들어낸 사진의 이미지를 통해서 관람객들에게 던져주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아마도 작가는 우리의 시각이 사회적 규범과 경험에 의해 학습된 응시방법의 틀을 탈피하여 새로운 시각경험을 하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우리가 주변 사물과 세상을 바라보고 사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관습 속에 갇힌 사고의 틀을 깨는데 기여하고자 함일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