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기록을 통한 ‘문화지도 그리기’의 힘

윤진섭

기록을 통한 ‘문화지도 그리기’의 힘

                                               윤 진 섭

 얼마 전 묵직한 책 세 권을 받았다. 작년에 경기도미술관이 기획한 [경기천년 도큐페스타]의 아카이브 자료집이다. 2018년 9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경기상상캠퍼스((구)임학임산학관/(구)서울농대캠퍼스)에서 열린 이 전시는 옥상을 포함, 3층 건물 전체를 전시장으로 꾸며 대충 돌아보는데도 한 나절이 걸릴 정도로 시각적 볼거리가 대단했다.
 <경기천년 도큐페스타 경기아카이브 지금,>, <경기천년 도큐페스타 경기도미술관 특별전 경기아카이브 지금,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희귀자료 모음집>, <경기천년 도큐페스타 경기도미술관 특별전 경기아카이브-지금,>(도록)은 각 권이 무려 700-1000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이 전시는 ‘경기(京畿)’라는 이름이 등장한지 천년을 맞이하여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주최하고 경기도미술관이 주관한 행사로 비단 시각예술뿐만 아니라, 문학, 문화재, 축제, 민속, 인류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와 음반, 영상, 조형물 등의 자료를 망라한 것이다. 따라서 비단 창작의 부산물인 기록 자료뿐만 아니라, “‘경기천년’이란 주제에 맞춰 경기문화의 원형을 엿볼 수 있는 굿과 문화재 자료까지 수집“(최은주 경기도미술관 관장)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무려 천년에 달하는 경기도의 축적된 문화지도를 체계적으로 그리는 일은 말이 쉽지 결코 간단한 사업이 아니다. 우선 시공간적으로 범위가 너무 넓다. 고려에서 현재에 이르는 천 년의 역사를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구현한 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닌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취사선택이 가능하고 어떤 전시공학과 방법론이 동원돼야 전시의 기획의도와 목적이 효율적으로 달성될 것인가?  
 이 전시를 총괄 지휘한 김종길(경기도미술관 수석 큐레이터)은, ‘반야용선(般若龍船)’이란 불교적 색채가 짙은 용어로 기획의 변을 대신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현실로부터 피안(彼岸)의 극락정토로 건너갈 때 타고 가는 상상의 배”가 바로 ‘반야용선’이란다. 다시 그의 말을 빌리면 “참 지혜와 깨달음을 얻은 사람들이 세찬 파도를 가르며 건너기 위해서” 타고 갈 배인 것이다. 그것은 또한 정신적으로는 이승에서 저승을 매개하는 하나의 공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공간은 그러한 소망충족과 함께 현실에 대한 승화, 미래에의 원망(願望)이 일종의 문화적 형식으로 구현된 예술작품들이 모인 전시공간으로써 (구)임학임산학관이다. 그 공간의 문화적 의미란 과연 무엇인가? 
 [경기천년 도큐페스타]가 열리는 이 건물에서는 약 두 달 간에 걸쳐 성대한 축제가 벌어졌다. 물론 실제로 굿이 열리기도 했지만, 그 보다는 기획자인 김종길이 “천년의 문학과 예술과 문화와 사람들의 숨결로 화려하게 장엄(莊嚴)하는 순간들”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문화와 예술을 매개로 한 일상공간에서 축제공간으로의 전환은 그것이 ‘반성’의 계기를 가져다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심리적 계기이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국론이 좌우로 분열돼 극심한 이념적 갈등을 겪는 경우, 그러한 갈등을 초월하여 도달할 수 있는 성스러운 정토 혹은 유토피아의 설정은 긴요한 사회적 의제가 된다. 그것이 통일이 됐든 아니면 보다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로의 도약이 됐든, 우리 모두가 의식의 구각(허물)을 벗고 새롭게 태어나야 할 이유인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봤을 때, 59개에 달하는 작은 방들을 가득 채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자료들은 시대의 증언자로서 미래를 향한 이 시대의 외침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예술의 난장이 펼쳐지는 마당이며, 경기문화와 경기인의 꿈을 싣고 미래 천년 경기의 바다를 항해하는 배”(김종길)인 것이다.        
 
                                         <서울아트가이드, 2019. 1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