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마포(麻布)-실재와 환영의 간극에서

윤진섭

마포(麻布)-실재와 환영의 간극에서 

                                               윤진섭(미술평론가)
                     

 70년대를 풍미한 단색파 작가들 중에서 박장년 만큼 특이한 존재도 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작가들이 단색 추상화에 빠져있을 때 유일하게 그는 단색을 사용하여 형상을 그렸다. 생마포 위에 마포의 주름을 그리는 동어반복적인 작업을 했던 것이다. 그 무렵의 한국 현대 화단은 이른바 다원주의가 성행을 했다. 70년대 중반, [앙데팡당], [에꼴 드 서울], [서울현대미술제]와 같은 대규모 전시회가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면 박장년의 마포 작품을 흔히 볼 수 있었다. <마포(麻布)>라는 일관된 명제를 지닌 박장년의 작품은 마치 마포로 이루어진 커튼이 실제로 허공에서 드리워진 것처럼 사실적인 느낌을 주었다. 
 이 무렵의 한국 현대화단은 단색화는 물론 개념미술, 극사실회화, 이벤트, 설치미술, 오브제, 비디오, 실험영화 등등 다양한 경향이 성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박장년 역시 이러한 화단의 추세에 민감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마포 작업에는 극사실회화를 비롯하여 개념미술과 단색화적 경향이 스며있다. 그 중에서도 극사실회화는 가장 큰 비중을 이루고 있으며, 마포 위에 마포를 그린다는 측면에서 보면 동어반복이란 개념적 요소가 감지되고, 단색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단색화와도 일부 연결되는 지점에 서 있다. 따라서 박장년의 작업은 이 세 가지 영역에 걸쳐 있는 바, 이는 그의 작업이 지닌 장점이 될 수도 있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단점이 될 소지도 있다. 가령 요즈음처럼 70년대의 미술을 조명하는 전시가 유행을 할 때, 과연 그의 작업의 범주가 어디에 속하느냐 하는 질문이 나올 수 있는 것이 그것이다. 내가 이 글의 서두에서 박장년을 가리켜 ‘특이한 존재’라고 칭했을 때 염두에 둔 것은 바로 이러한 질문과 관련이 있다. 
 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박장년처럼 경계에 위치해 있는 작가들에 대한 미술사적 조명이 활발히 이루어질 때 한국 현대미술의 내용이 보다 풍부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단색화, 개념미술, 극사실회화 등등 미술의 범주를 지나치게 선명하게 구분하여 전시를 기획할 때, 다원적인 성격을 지닌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비껴지나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관점에서 보자면 이미 세상을 떠난 박장년의 작업에 대한 조명이 아직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부터라도 비평과 전시기획, 미술사 분야에서 그의 작업에 대한 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극사실 기법을 사용하여 커튼을 그리긴 했지만 그의 작업을 딱히 극사실회화의 범주에 넣기가 주저되는 이유는 그가 풍경의 일부로서의 커튼이 아니라 ‘대상의 개념화’에 관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부분이 바로 그의 작업을 개념미술의 연장으로 볼 수 있는 판단의 근거이다. 박장년은 허상이란 시각적 트릭을 부정하는 수단으로 마포라는 소재를 등장시킴으로써 개념의 유희를 즐겼다. 그래서 “당신이 보는 마포의 커튼은 곧 마포이다”라는, 프랭크 스텔라의 “당신이 보는 것이 곧 당신이 보는 것이다(What you see is what you see)”라는 유명한 발언과도 유사한 명제의 도출이 가능하다. 그는 마포 위에 마포라는 직물을 극사실적으로 그림으로써, 그려진 커튼이 실은 마포에 지나지 않는다는 ‘실재’와 ‘환영’ 간의 결코 화해할 수 없는 간극을 문제삼았던 것이다. 
 이 실재와 환영의 문제는 박장년에게 있어서 70-80년대의 긴 시간의 터널을 지나 90년대에 접어들면서 다시 이미지와 실재 사이에 벌어지는 시각적 역설로 다가가게 된다. 이른바 바느질 작업과 오브제의 등장이 그것이다. 박장년은 마포로 된 캔버스 위에 작은 마포천 조각을 붙이고 사방을 실로 꿰매는 작업을 비롯하여 작은 주머니를 부착하고 그 안에 쑥대를 집어넣은 작업, 마포의 캔버스 위와 아래를 실로 연결시키고 마치 주름이 진 것처럼 그림자를 그려넣는 시각적 트릭 등 다양한 실험을 하였다. 
 박장년 회화가 지닌 이러한 주지주의적 성격은 당시 극사실회화가 지닌 장인적 면모를 극복하고 현대회화가 처한 시각적 딜레마를 극복하고자 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러한 노력은 그가 작고할 무렵인 2천년대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아무튼 그가 남긴 적잖은 양의 작품들과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 아닌가 한다.    
                          <박장년초대전 도록 서문, 성곡미술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