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아롱다롱(팀), 군산과 파리

고충환

아롱다롱(팀), 군산과 파리 


아롱다롱은 쌍둥이 팀이다. 그리고 정사면체가 쌍둥이 자아를 상징한다. 펼치면 4개의 정삼각형이 모여 하나의 큰 정삼각형을 이루는, 붙이면 4개의 정삼각형이 4개의 꼭짓점으로 수렴되는 도형이다. 그렇다면 이 도형이 어떻게 쌍둥이 자아를 상징하게 되었을까. 아마도 작은 정삼각형이 모여 하나의 큰 정삼각형을 이룬다는 점에 착안했을 것이다. 다른 정삼각형이 같은 꼭짓점으로 수렴된다는 점에 착안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모든 일들이 같은 정삼각형의 변주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는 사실에 착안했을 것이다. 여기에 정삼각형 안의 외눈이 신을 상징한다는 종교적 도상학도 한몫을 했을 것이다(모든 존재는 저마다 신이다). 상징은 보통 문화현상에 연유한 것이지만, 이처럼 상징이 개인의 자아를 위해, 개인의 정체성을 위해 소환된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일이다. 
작가의 상징을 비교적 상세하게 풀이했는데, 이건 필요한 일이다. 작가의 작업은 자기상징을 변주하고 확대 재생산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여기에 의미가 덧붙여지는 형식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자기상징이 바뀔지도 모를 일이나, 최소한 그전까지는 이런 식의 작업이 계속되리라고 섣부른 전망을 해도 좋다. 작가의 작업에는 이처럼 언제나 어떤 식으로든 자기상징이 매개가 되고 계기가 되고 그 구심점 역할을 한다. 작업과 자아가 일체를 이룬 경우로 볼 수 있겠고, 그런 만큼 작가의 모든 작업은 자아가 전개되면서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어쩜 겉보기와는 다르게(도형적인 자기? 기하학적인 자아?) 자기반성적인 작업의 경향성을, 그 한 전형을 예시해주고 있는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그렇게 작가는 자기상징을 매개로 작업을 풀어낸다. 정사면체는 4개의 정삼각형으로 구성된다. 4개의 정삼각형이 어우러지면서 가능한 형태를 만들고 변주한다. 작가는 그렇게 가능한 형태며 변주된 형태를 판화로 찍어냈다. 그리고 판화 위에 점선으로 바느질하는 방법으로 동떨어진 정삼각형과 정삼각형을 서로 이어주고, 또 다른 가능한 형태를 암시했다. 전개도에서 보이지 않는 선을 점선으로 표현한 것을 생각하면 되겠다. 그렇게 작가의 판화는 흡사 기하학적 도형의 전개도 같다. 여기에 바느질은 관계와 연결을 상징한다. 동떨어진 자아와 자아를 연결시켜 하나의 자아가 되게 한 것이다. 부분자아의 단절된 끈을 이어주어 완전체를 복원한 것이다. 그리고 4개의 정삼각형이 어우러지면서 만들어내는 가능한 형태는 마스킹테이프를 이용한 공간설치작업으로 변주된다. 적재적소의 공간에다 마스킹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으로 정삼각형의 변주를 표현한 것인데, 가능한 관계의 유형을 예시해주고 관계에 대한 형식실험을 예시해준다. 
그리고 자아상징은 입체설치작업으로도 변주된다. 이번에는 절단된 정사면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했는데, 다르면서 같은 자아와 자아의 대면을 상징하고, 닮은 듯 다른 자아의 상황논리를 표상한다. 여기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정사면체는 각각 과거에 군산에서 살았던 자아와 현재 파리에 살고 있는 자아의 대면과 만남을 상징한다. 표면 처리한 거울이 서로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것은 바느질을 통한 관계와 연결의 또 다른 표현으로 볼 수가 있겠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