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광미/ 자기반성적인 경향성이 열어 놓은 존재론적 풍경

고충환

삶, 바라보고 바라보기. 삶, 풍경. 작가 김광미가 자신이 그린 일련의 그림들에 부친 주제이며 제목이기도 한 이 개념은 작가의 그림을 이해하는데 일정한 길잡이 역할을 해줄 것 같다. 작가의 그림을 뒷받침하는 인문학적 배경 정도로 보면 되겠다. 먼저, 바라본다는 것은 일회적 사건이며 태도일 수 있고, 이런 바라보는 행위가 쌓여 일반화되고 관용적이게 될 때 바라보는 행위는 바라보기가 된다. 바라보는 행위가 주체의 적극적인 개입(이를테면 의식적인 관찰)에 방점이 찍힌다면, 바라보기는 이런 주체의 행위가 관조적이게 된 경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삶, 바라보고 바라보기란 주제 혹은 제목은 다르게는 관조적인 삶 정도로 정리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보다 더 중요하고 결정적인 경우로서, 이 주제 혹은 제목은 실존주의적 자의식과 관련된다. 여기서 바라보는 행위는 주체로서 바라보는 시선과 객체로서 바라보는 응시로 분리되면서 통합된다. 이처럼 분리되면서 통합된다는 것은 주체로서 바라보는 행위와 주체로부터 객체로 자리바꿈된 주체가 바라보는 행위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주체가 동시에 주체이면서 객체이기도 한 것이며, 객체(혹은 객체의 응시)를 통해서 주체(혹은 주체의 시선)가 정초되는 차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처럼 시선과 응시가 교차되는 차원 혹은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면서 통합되는 메커니즘 다르게는 시선의 정치학은 자기 속에 타자에 대한 이해에 해당하는 일종의 타자론을 내재화한다. 



김광미, 무제



작가는 이런 차원이며 경지를 풍경이라고 부른다. 작가에게 풍경은 말하자면 관조적인 삶이 전개되는 지평으로 보면 되겠다. 이처럼 작가에게 삶은 관조적인 삶이면서 동시에 풍경으로서 다가온다. 그러나 정작 작가의 그림에서 풍경의 실체에 해당할 만한 경우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작가의 그림은 적어도 재현적인 경우로서의 풍경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관조적인 삶이란 주제의식을 생각하면 문제는 달라진다. 작가의 그림은 말하자면 관조적인 삶의 주제에 걸 맞는 형식 이를테면 반추상화된, 관념적인, 상징적이고 암시적인 경우로서의 풍경을 덧입고 있는 것이다. 이 풍경은 사실은 작가의 자의식이 밀어올린 풍경이며, 그런 만큼 작가에게 삶의 풍경은 동시에 자의식의 풍경이기도 하다. 

여기서 다시, 보는 문제에 초점이 맞춰진 주제의식을 상기할 일이다. 작가에게 본다는 것은 삶을 관조하는 일이며, 동시에 자기 스스로를 관망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작가가 그려놓고 있는 삶의 풍경은 동시에 일종의 내면적 풍경이면서 자기초상의 또 다른 한 형식일 수 있다. 본다는 것(시선의 문제), 산다는 것(삶의 문제), 그리고 그린다는 것(재현의 문제)의 문제가 하나로 합치되는 경우의 그림으로 보면 되겠다. 이로써 작가의 그림은 자기반성적인 경향성을 그려놓고 있는 것이며, 그림을 통해서 자기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려놓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관조적인 풍경이며 삶의 풍경은 어떻게 형식화되는가. 처음에 작가는 MDF합판에 아크릴 채색을 덧칠하는 식으로 그림을 그렸었다. MDF합판은 표면이 코팅돼 있어서 그 위에 덧칠되는 물감자국이며 붓질이 낱낱이 얹히고 기록되는 점이 특징이다. 제어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숙달되면 자기만의 독특한 형식을 얻을 수도 있다. 결과를 보면, 자기변신과 형식실험에 능한 작가에게 오히려 적절한 형식과 함께 긍정적인 계기로서 작용한 것 같다. 

그 세부를 보면, 대개는 어둑한 배경 위로 비정형의 붓질 자국이 여실한 화면이 자기내면이며 무의식을 그려놓은 것 같은, 그런 반추상적인 그림이다. 작가는 이런 회화적인 과정에다 오브제를 도입해 입체적인 효과를 더한다. 흔히 석판 대용으로 쓰이는 알루미늄 판(프린트를 위해 특별히 표면을 미세요철 처리한, 일명 마판이라고도 하는)을 차용하는데, 프린트된 표면 이미지를 지워 부분적인 스크래치를 조성하기도 하고, 리토펜슬로 이미지를 그려 넣거나 한다. 단순한 오브제의 차용을 넘어, 그림 속에 또 다른 그림이 있는, 일종의 이중그림 혹은 액자그림의 형식실험이 시도되고 있는 것이다. 큰 그림과 작은 그림, 겉 그림과 속 그림 간에 내용과 형식이 부합하기도 하고 충돌하기도 하는, 그런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서 서사의 확장 내지는 심화를 꾀하는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그리고 여기에 또 다른 오브제로서 테라코타가 도입되는데, 그 형태가 고치 같기도 하고, 그저 되는대로 주물주물 빗어놓은 알 수 없는 형태 같기도 하다. 하지만 사실을 알고 보면 자기를 표현한 것이고 자아를 표상한 것이라 한다. 실제로도 보기에 따라서 사람 형상이 연상되기도 한다. 한편으로 그 연상의 실체는 근작에서 분명해진다. 사람 형상을 따라 오리고 그려 넣은 알루미늄 조각을 오브제로서 화면에 부착한 것이 그렇다. 그리고 또 다른 흥미로운 경우로서 짚으로 만든 오브제가 주목된다. 짚을 돌돌 말아 마치 새 둥지 같은 형태를 빗었다. 아마도 삶의 둥지며 존재의 처소를 상징할 것이다. 

작가는 그렇게 흡사 인격의 이중성 내지 다중성을 표상한 것 같은 이중그림을, 마치 심연에서 부유하듯 내면의 질감이 감촉돼오는 감각적인 화면을, 그리고 여기에 자기를 표상하고 존재를 표상하는 오브제를 그려놓고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일종의 내면풍경이며 무의식의 풍경을 그려놓고 있었다. 그 풍경은 비록 작가의 개인사를 그린 것이지만, 그 풍경에 연유한 감동만큼은 작가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작가의 경우에서처럼 실존적 자의식에 민감한 감각촉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특수성을 통해 보편성을 획득하고, 개인사를 매개로 보편적으로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는 주제며 형식을 예시해주고 있다고나 할까. 

그리고 근작에서 특징적인 면으로 치자면 풍경적인 요소를 들 수가 있다. 전작에서 풍경이 잠수를 타고 있는 암시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면, 근작에서 풍경은 상대적으로 더 분명해진다. 또한 전작에서 풍경이 삶이며 존재를 대리하는 관념적인 표상의 경우라면, 근작에서 풍경은 문자 그대로 풍경으로 현상한다. 말하자면 산이 있고 하늘이 있는, 달이 있고 구름이 흐르는, 멀리 섬과 봉우리가 점경을 이루고 있는, 그리고 정처 없는 삶처럼 바람을 따라 민들레 홀씨가 풀풀 날리는, 그리고 그렇게 계절의 순리대로 꽃이 피고 지는, 그런 자연풍경이다. 

그렇다면 작가의 관심이 존재의 자기반성적인 경향성을 파고드는 것에서 풍경으로 대리되는 자연예찬으로 옮아온 것일까. 그렇게 봐도 될까. 섣부르게 판단할 일은 아닐 것이다. 외형적으로 풍경처럼 보이지만, 그 풍경은 말 그대로 외형일 뿐, 사실은 그렇지가 않은 것 같다. 무슨 말이냐면 산인 줄 알았는데, 봉우린 줄 알았는데, 사실은 자기며 자아를 표상한 것이라 한다.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화면 위로 우뚝 돌출해 있는 형상이 그렇다. 전작에서의 테라코타 형상과 근작에서의 알루미늄 조각 속에 그려 넣은 사람형상의 또 다른 한 변주라는 말이다. 그렇게 작가의 그림은 사람형상으로 대리되는 존재론적 자의식을 매개로 전작과 근작이 다르면서 하나로 연이어지고 있었다. 

자아를 표상하는 형태가 화면 위로 돌출해 있다고 했다. 그렇게 돌출된 형태가 예사롭지가 않다. 속된 표현대로라면 그저 세상구경 나온 존재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이보다는 좀 더 심각한 의미내용을 탑재하고 있는 것 같다. 말하자면 일종의 정신분석학적인 멘탈리티와 같은. 처음에 존재는 무의식 속에 잠수타고 있었다. 그렇게 세상은 캄캄했다. 그리고 점차 무의식이 의식의 층위로 부각되면서 존재는 비로소 그리고 점차 의식세계에 눈뜨게 됐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리고 그렇게 아직도 의식의 층위보다는 무의식의 지층이 더 깊다고 보는 사람들도 많다. 그림 속의 돌출된 형상은 그렇게 무의식의 지층에서 의식의 층위로 부각되고 부상되는 존재의 꼴을 떠올리게 하지 않는가. 한편으로 돌출된 형상은 정신분석학적으로 남근을 상징한다. 여기서 남근이란 그저 생물학적 정의라기보다는 존재론적 자의식이라는 보편적인 상징에 해당한다. 자기를 실현하려는 욕망과 리비도, 생명력의 무한표출과 코어 곧 에너지의 핵에 대한 보편상징으로 보면 되겠다. 

존재를 찾아 심연 속을 헤매던 작가가 마침내 존재론적 원형에 도달한 것이며, 그리고 그렇게 생명력의 핵으로 표상되는 존재의 실체를 드러낸 경우로 볼 수가 있을까. 아마도 그렇게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드러난 존재(잠수타고 있던 존재, 관념적으로 혹은 암시적으로 표상되던 존재와는 비교되는)가, 마침내 자기의 실체를 드러낸 존재가 향후 열어갈 또 다른 풍경의 지점이 궁금해진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