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변시재 / 자연을 반향하는 문명

이선영

자연을 반향하는 문명

이선영(미술평론가)

세계 곳곳을 다니며 배우고 작업하는 삶을 사는 변시재의 작품들은 발길이 머무는 공간적 범위만큼이나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물론 새로이 속한 장소에서 당장의 새로운 소재를 선택한다기 보다는 지속해왔던 것이 변주되는 스타일이다. 작품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는 자연은 문명(인공)보다 보편적이다. 인공 또한 세계화에 의해 비슷한 스타일로 변모하고 있는 (재)개발 등, 보다 보편적인 문제를 다룬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세포 속 기관인 염색체부터 지형을 바꿀 만큼의 규모로 이루어지는 대형 공사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층위의 공간을 다루어지지만, 어떤 공간이 등장하든 그자체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변시재의 작품에는 시간이라는 축을 통해 변화하는 공간이 두드러진다. 그것은 단지 공간이 아니라 시공간이다. 변시재는 자신의 작품 목록을 ‘치유, 기억, 생물학적, 시간, 삶의 공간’ 등으로 분류하는데, 각각의 항목 아래에도 수많은 하위범주들이 있고, 이 큰 줄기와 작은 줄기들은 서로 얽히고 설켜서 복잡한 관계망을 이루며, 각각의 지류는 지금도 자라나는 중이다. 



2010년 성북동에서의 [오래된 집 재생프로젝트](스페이스 캔)


clock crane/280X200X200cm/mixed media/2011


그 주제들은 반드시 시간적 순서를 가지는 것은 아니고, 일률적 속도에 의해 규정되는 것도 아니며 유기적으로 성장하는 것도 아니다. 다양한 접면을 내장하고 있는 작품들은 기존의 것에 접 붙어서 뿌리줄기 식으로 나아간다. 뿌리줄기의 모델은 나무의 모델보다 견고하지는 않지만, 우연적/필연적으로 맞딱뜨린 상황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한다. 최초의 관념적 설계보다 상황의 논리에 따르는 경향은 자칫 무원칙적이며 따라서 무질서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무질서가 아니라 질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부분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작가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공사장 이미지의 경우 가림 막에 가려져 전체를 볼 수 없는 상황이 깔려 있는데, 그것은 유기체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작품 속 파편은 전체를 담고 있는 파편이며, 이는 유기적 질서가 무너져도 다시 구축될 수 있다는 희망을 담지 한다. 최근 작품에서 염색체나 알의 이미지는 전체가 부분일 수 있는 소재이다. 

전체와 부분의 관계는 안과 밖의 관계에도 적용되어 안이 밖으로 밖이 안으로 연결되는 뫼비우스 띠같은 양상이다. 기관은 몸으로부터 떨어져 그 자체로 존재감을 가진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천개의 고원]에서 기관 없는 몸이라는 비유를 통해 몸체가 ‘이미 밸브, 체, 수문, 주발이나 연통관의 집합’에 불과함을 주장했다. 이러한 몸으로 이루어진 삶은 ‘발전이나 분화의 문제가 아니라 운동과 정지, 빠름과 느림의 문제’(들뢰즈와 가타리)이다. 작품 속에서 부분으로 나타나는 것은 성장 또는 퇴화의 한 국면일 수 있다. 분리불가능한 이 두 국면은 이후에 작가가 장자의 사상을 만나면서 더욱 풍요로운 해석으로 나아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큰 전체는 가정되는데, 그것은 집이라고 생각된다. 2010년에 서울의 오래된 동네의 집과 전시장에서 변시재의 작품을 처음 봤을 때의 작품의 기본 모델이 집이어서인지 몰라도, 그 이전과 이후의 많은 작품들이 그 원형적 공간의 변주처럼 보인다. 



외로움을 소화하다/mixed media/200X250X250cm/2003


demoli-creation/13X5X5m/video installation/2010  


그 때의 집은 그저 물리적인 집이 아니라 자아와 몸의 연장, 더 나아가 자신이 속한 사회를 반영하는 다층적 상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 집은 안과 밖, 그리고 시간적 축에 따른 변화의 가능성에 열려있다. 초등학교 때의 기억이 담긴 공간부터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괴물 생태계의 이미지까지, 변시재의 작품에서 집은 존재라기보다는 관계였다. 그녀의 한 작품이 알려주듯이 외부와 내부의 관계가 원활하다는 가장 직접적 징후는 소화 작용이다. 작품 [외로움을 소화하는 기관]에서 건축적 규모로 확장되곤 하는 설치작품은 인체 내부에 들어온 듯한 느낌을 준다. 급격한 사회관계의 변화는 외로움을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되게 했다. 특히 노마드적인 삶을 살고 있는 작가에게 매번 사회적 관계를 다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 펼쳐지다 보니 외로움의 문제는 더욱 절실했을 것이다. 그녀의 작품에서 외로움을 비롯한 다양한 정서는 구체적인 구축물로 나타난다. 

세포부터 기관까지 심신을 상징적으로 반영하는 작품들은 생물학이나 의학의 모델을 많이 참조하기는 하지만, 그것으로 환원되지 않고 현대미술의 어법으로 말해진다. 기관이 건축적 규모를 가진다면, 건축 또한 생물학적 비유를 가진다. 인공물도 생로병사의 과정을 거친다. 변시재의 작품에서 공사장 풍경으로 대변되는 인공생태계에서의 변화의 바람은 너무 거칠고 맹목적이어서 문명비판의 성격을 강하게 띄고 있다. 현대의 건물은 그것을 만든 사람도 그 안에서 사는 사람도 소외시킨다. 현대사회의 소외는 소비/생산 관계와 밀접하다. 그것을 추동하는 자본은 인간의 심신이 따라갈 수 없는 속도전에 사활을 건다. 소외에 대한 징후로 작가는 건물이 만들어지고 허물어지는 짧은 주기를 강조한다.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 영상들은 시간이 성큼성큼 가고 있다. 기계적 형태들에 내재된 단면들은 부분적 시공간들의 급격한 단절과 연결을 암시한다.


demoli-creation/13X5X5m/video installation/2010
 

We met him in uncomfortable relationship/75X75cm/ink and acrylic on silk/2010


성북동의 오래된 집에 붙어있던 초등학생의 일과표는 작가의 기억을 일깨우며 집 안팎을 를 아우르는 설치작품을 낳았다면, 이제 그런 식으로 기억이 머물고 만날 공간은 더욱 드물어 진다. 지금은 가장 비싼 땅값을 자랑하는 강남에 스케이트장이 있었던 시절을 기억하는 작가에게 한국은 그 자체가 크고 작은 공사장의 압축도로 다가온다. 공사장 가림 막, 포장재, 타워 크래인같은 소재는 거의 자연 법칙화 된 사회의 규칙이 펼쳐지는 장을 지시한다. 인간의 이성보다는 욕망으로 추동되는 이러한 변화를 합리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방식은 없어 보인다. 개발로 나타나는 발전주의는 한번 시동이 걸리면 끝까지 가야하는 어떤 속성이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변시재의 작품 속 인공생태계들은 인간 그자체도 삼켜버릴 듯한 괴물적 양상이 특징적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었던 전통사회와의 단절을 상징하는 근대적 변화가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마샬 버만은 [현대성의 경험]에서 괴테의 파우스트를 비극적이며 영웅적인 개발자와 비교한다. 

마샬 버만은 ‘현대화에 있어서 특유한 집단적이고 비개인적인 충동, 즉 구세계의 모습이나 감정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 균등한 동질의 환경, 전체적으로 현대화된 공간을 창조하고자 하는 충동’을 악마와 계약한 파우스트에서 발견한다. 미래를 향한 장밋빛 청사진을 악마와의 계약과 비유한 것은 발전주의 이데올로기에 내재된 자멸적 경향을 지적한 것이다. 이러한 ‘창조적 파괴’(니이체)는 근대 시기에 발동이 걸린 후 멈춤 없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기계로 간주되곤 하던 근대의 건축은 ‘국제양식’이 되어 재빠르게 전 지구를 잠식해간다. 변시재의 작품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마치 비온 다음 숲에서 왕성하게 솟아나는 죽순이나 버섯같은 이미지로 나타난다. 인공과 자연의 연결망은 인공적 풍경에서도 자연에 바탕 한 철학을 생각하게 했다. 작가는 해외에 오래 체류하게 되면서 동양의 사상에 더 공감을 한 듯하다. 변화에 대한 사유는 장자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고, 자신의 작품과의 접점을 찾게 되었다. 





green & blue wind in construction site/35.5 X28.5 inches each/acrylic and ink on silk/2013


movement of life/36.2x96 inches /acrylic and ink on silk/2016


작가는 2000년대 초반의 작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여러 작품에 등장하는 주제를 ‘바람, 숨(Wind),양극의 조화(coincidence of opposites), 변화(Transformation), 삶과 죽음(Life and Death), 시간(Time)’ 등으로 나누는데, 그것들은 장자의 사상에 등장하는 관념들과 친숙하다. 작품 [외로움을 소화하다](2003)는 모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대형풍선 형태의 작품은 마치 움직이는 기관 같은 느낌이다. 기관에의 비유는 들고나는 흐름이 멈추는 순간 죽음이 야기됨을 암시한다. 작품의 비유에 의하면 소화되지 않는 외로움은 병이 될 것이다. 작가는 외로움이라는 극히 주관적이고도 추상적인 상황은 감각적으로, 그것도 유기체가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정상/이상의 상태로 연출한다. 변시재의 작품에서 입체와 평면은 호환성을 가진다. 그러나 평면이 입체를 위한 설계도에 머무는 것은 아니고, 그자체로도 작품으로 서 있곤 한다.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는 형편이라 평면작업은 연속적인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 대형설치 작품 또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방식이 많다. 접고/펼치기는 유목적 삶에 어울리는 듯하다. 

평면에서 영상이나 입체작품에서와 같은 시간성을 담지 하는 방식은 시리즈를 통해서이다. [바람](2013) 시리즈는 서로 어울릴 수 없는 이질적인 것들이 한데 뭉쳐있는 가운데, 중간을 뻥 뚫어 놓은 형상인데, 삶이든 예술이든 한데 얽혀있는 것들을 하나하나 풀어내고 싶은  바람이 담겨있다. 텅 비워 놓은 여백은 타자와의 접속지점이다. 자기안의 타자를 포함한 타자들은 변화를 일으키는 동인이 될 것이다. 타자와의 만남은 변화를 야기하지만 갈등 또한 야기하며 이때 조화에 대한 갈망이 생겨난다. 남성/여성은 가장 대표적인 이분법적 범주라고 볼 때, 이분법에 의한 폐해는 여성에게 더욱 심각했다.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이분법을 해체하려는 저자 엘리자베스 그로츠는 [뫼비우스 띠로서의 육체]에서 이분법적인 사고는 두 가지 양극화된 용어들을 반드시 서열화 시키고 등급을 매김으로서 하나가 특권적인 용어가 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억압되고 종속적이며 부정적인 상태편이 되게 한다고 비판한다. 


vagina-scope/installation/Tally Beck contemporary/2013 


vagina-scope/installation/Tally Beck contemporary/2013 

그로츠에 의하면 (서양의)철학은 심각한 육체공포증 위에 자신을 정립했다. 몸은 이성의 작용을 방해하는 원천이자 위협으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변시재의 작품에서 몸은 언제나 작품의 몸통으로 자리하면서 감성과 사유가 흘러가는 방향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극의 조화를 추구해왔던 작품이 장자의 사상과 맞아 떨어진다는 작가의 발견에 필자는 동양의 사유와 비슷한 서구 상상력의 한 흐름을 보충하고 싶다. 자연과의 단절이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동서양의 사유가 큰 차이는 없었다고 생각된다. 가령 상징적 상상력이 그것이다. 질베르 뒤랑은 [상징적 상상력]에서 우리는 항상 양극으로 나누어진 상징적 여건들에 이르게 되는데, 모든 인류학자들을 통해서 대립적인 것끼리 서로 균형을 취하는 광활한 체계가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그 안에서 상징적 상상력은 서로 대립하는 것들끼리의 응집력의 체계처럼 보인다고 말한다. 뒤랑에 의하면 상징적 인류학은 그것이 지닌 온갖 대립적인 긴장 속에서 하나의 현현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뒤랑은 대부분의 문화인류학자들은 문화의 유형들이 존재하며, 그 문화의 유형들은 서로 환원될 수 없는 두 개의 커다란 그룹으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지적했다고 한다. 해(낮)/달(밤), 남성/여성의 항이 대표적이다. 두 체제 사이에 결합과 화해가 가정되어 있지만, 전통사회가 근대로 진입한 이래 화해보다는 긴장이 부각되는 것은 사실이다. 현대미술 작품에서 조화는 처음부터 가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루어져야할 목표로서 정해진다. 조화는 쟁취되는 것이고 그 전에는 해결돼야할 갈등이 선명하다. 시간성을 중시하는 변시재의 작품에는 모순과 갈등의 과정이 드러나 있다. 시간성은 서사를 깔고 있지만 확실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는다. 설치작품 안팎의 동영상은 직접적이고, 준 건축적 규모로 커지곤 하는 설치작품 또한 관객의 동 선에 따른 지각의 상황에 따라 이야기가 펼쳐지는 구조이다. 장자를 재발견 하면서 서사는 좀 더 풍부한 해석을 갖추게 되었다. 



man-made chromosome/pencil and acrylic on board/2013   



Moon#3 & #1/47.2X47.2 inches/acrylic and ink on silk/2016


2010년에 한국에서 발표한  설치작품 [demoli-creation]에서는 ‘나누어짐이 있으면 이루어짐이 있고, 이루어짐이 있으면 허물어짐이 있다. 이루어짐과 허물어짐은 따로 없이 모두 통하는 하나이며,
선악, 미추, 고저, 장단 절대 독립적 관계가 아니라 빙글빙글 돌며 어울려 서로 의존하는 상관관계’라는 장자의 말씀과 관련된다. 공사장 자체가 건설되는 것인지 파괴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과정성이 특징이다. 근대는 건설을 위한 파괴가 성행했고, 이 흐름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녹색 포장재로 이루어진 설치작품은 반대항의 조화를 희구한다. 다른 것끼리의 만남은 좋든 아니든 변화를 야기한다. 작가는 도시에서 꿈틀대는 생명을 보듯이, 몸속의 구조를 인식한다. 생물학의 발전은 유기체 또한 구성임을 밝혀냈는데, 작가는 이러한 구성/해체의 과정을 미시/거시 세계 모두에서 발견한다. [Chromosome](2013) 시리즈는 염색체라는 구조를 소재로 앞으로 현실화될 잠재성을 상상한다. 

염색체 드로잉과 함께 설치된 [Vagina Scope](2013)는 여성 생식기를 연상시키는 구조이다. 세포핵을 연상시키는 샹들리에까지 있는 전시장은 이질적인 두 염색체가 만나는 장처럼 연출되었다. 변시재의 작품에서 신체 내부를 탐사하는 방식은 기관을 넘어서 염색체의 차원까지 내려간 것이다. 차이의 만남이 야기하는 미세한 변화들이 축적되어 거대한 진화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생로병사에 내재되어 있는 시간의 흐름은 운명으로 다가온다. 운명을 자각함은 비극적이지만, 작가는 ‘삶과 죽음은 하나이다’라는 장자의 말에 주목한다. 변시재의 작품에서 상반되는 것들이 합치되는 이미지 중의 하나는 식물이다. 최근 작품 [Movement of Life](2016)에서는 지면 아래에 얽힌 뿌리의 형태를 통해 상반되는 것의 연결망을 표현한다. 식물은 지상의 형태를 통해 지하의 형태를 유추할 수 있는 유기체로, 인류의 상상력 속에서 상반되는 것들이 연결되는 통로로 간주되어 왔다. 


wind #7 in jungle/37.5 x50.5 inches/ acrylic and ink on silk/2013


희노애락/44X57 inches/acrylic and ink on silk/2013

하늘을 향하는 나뭇가지는 지하를 향하는 뿌리와 대칭을 이루며, 나뭇가지들의 형태는 잎새에서 다시 반복되곤 한다. 인류의 종교적 관념적 전통에서 나무 아래에서의 깨달음이나 의식의 예는 보편적으로 발견되며, 변시재의 작품 또한 이러한 전통 속에서 죽음을 포함하는 삶에 대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작가가 공감하는 장자의 사상에 의하면 삶과 죽음은 원환처럼 돌고 돈다. 다시 되돌아오는 원환에서 종합과 화해의 이미지를 볼 수도 있지만, 변화 그 자체는 고통일 수도 있다. 초월이란 대개 변화에서 야기 되는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말한다.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성장의 고통이 있다. 작품 [Clock Crane](2011)은 시계 바늘처럼 돌아가는 크레인을 전시공간에 구현한 작품으로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 구별된다. 거기에는 수레바퀴의 중심처럼 움직이는 가운데 움직이지 않는 지점이 있다. 그것은 장자의 사상을 반향하면서도, 변화만이 영원하다는 근대이후의 추세를 극적으로 보여준다. 


시간의 흐름이 더욱 빠르게 느껴진다는 것은 그만큼 죽음과도 가깝다는 의미일 것이다. 날짜별로 크기를 달리하는 천체인 달은 시간의 흐름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그믐날이 되면 달은 죽은 듯이 사라진다. 작품 [Moon series](2016)에서 시간의 흐름은 보다 거시와 미시 세계에 동시적으로 관여한다. 작품 속 보름달의 이미지는 여성의 생리주기와 보다 밀접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둥근 막이 터지면 내부로 접힌 여러 층이 활짝 펼쳐질 것 같은 압축적 형태는 여성으로서의 출산 경험과 관련된다. 우연찮게 둥근 달과 생리주기의 일치를 발견한 작가에게 대우주와 소우주의 조응은 구체적으로 다가왔다. 그것은 추상적 관념이 아니라 자기 몸에서 벌어지고 있는 법칙이었다. 이러한 관계 때문에 동양사상에서는 음과 여성, 달의 연관관계가 언급되어져 왔다. 전기를 통해 밤을 정복하기 이전의 시대에 달은 지금보다 더 큰 위상을 가지고 있었고, 실제로 지금보다 몇 배 컸다는 과학적 연구도 있다. 그렇다면 달의 영향력은 지금보다 더욱 컸을 것이다.


Gravity #1/ink, acrylic and oil on silk/153x122cm/2018


Momentary/layer silk print/600X165cm/ChanHoriContemporary/Singapore/2018


Washington D.C Korean Culture Center/2013


달의 인력이 야기하는 물의 변화, 여성의 생리주기와의 일치 등은 일련의 상상적 연관 고리를 만들었다. 모든 것을 낳는 대지와 여성의 관계는 원시시대부터 있었던 관념이지만, 미시세계를 투명하게 들여다보기 시작한 현대에 더욱 설득력이 있다. 자연 속에 내재한 법칙은 과학적 언어와 기술적 코드를 통해 해석되고 재생산된다. 그렇게 구축된 문명은 반드시 합리적이지만은 않다. 변시재의 작품은 문명이 이성보다는 욕망에 의해 추동되며, 그래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자연과 가깝다는 발견이다. 문명/자연의 구별은 시간의 축 위에서 더욱 흐려진다. 문명의 시계를 보다 빨리 돌려보면 자연으로부터 자율성을 구축했다고 믿는 인간의 신념은 무너진다. 문명은 자연을 그다지 초월하지 못했다. 그것은 누군가에게는 허무이고 불행이겠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순리이며 다행이다. 자연과 문명을 동시에 생각하는 예술만이 균형감각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