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렘브란트의 명암법

노성두

암스테르담의 렘브란트 하우스는 도시 한복판에 있어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렘브란트(1606-1669)는 암스테르담이 교차무역으로 북유럽의 재화를 끌어 모으던 시기에 도시를 대표하는 화가로 이름을 날렸다고 한다. 책방에서 미술책을 사서 보면 흔히 렘브란트는 빛나는 명성에 비해 살림 형편이 무척 빈곤했던 화가로 소개되어 있다. 실력은 하늘을 찔렀지만, 사회적 인정을 받지 못해서 빈곤을 벗 삼아야 했던 불운한 화가였다는 식이다.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천재가 죽고 나서야 명예를 회복한다는 전형적인 예술가 전기의 전형으로 렘브란트를 꼽으면서, 가령 앞선 시기에 활동했던 플랑드르 화가 루벤스의 귀족적인 생애와 비교하곤 한다.

물론 루벤스가 100명이 넘는 화가를 거느린 대형 공방을 운영하고 면세혜택까지 누리면서 풍요로운 삶을 구가했던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루벤스가 잘나갔다고 해서 렘브란트의 삶을 처참하게 여길 필요는 없다.

이것은 가령 옆집에 피카소가 산다고 해서 마티스가 신세한탄을 할 필요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렘브란트가 말년에 가난했던 것은 다분히 제 책임이 컸다. 렘브란트도 한때 누구 부럽지 않게 최고의 명성과 재산을 소유했지만, 그걸 쓸데없는 수집과 취미생활에 다 날려버렸다고 한다. 또 첫 아내 사스키아가 남긴 유산도 만약 렘브란트가 재혼을 하면 집행을 안 한다는 조건이었는데, 타고난 바람기 때문에 만사 헛일이 되고 말았다고 한다. 아내가 죽은 뒤에 이 여자 저 여자 건드리다가, 결혼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헨드리키에를 정신병원에 집어 넣어서 다급한 사태를 무마하기도 했으니, 사실 예술성을 떼어놓고 보면 렘브란트는 구제할 길 없는 ‘나쁜 남자’ 라고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루벤스와 확연히 구분되는 렘브란트의 못생긴 외모가 끝없는 여성 집착의 한 가지 원인이 아니었을까? 폭탄이 얼짱의 행동양식을 흉내 내기란 의외로 쉽지 않은 법이다.





렘브란트는 명암법의 대가로 불린다. 명암법은 도대체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명암법의 첫 걸음을 뗀 것은 르네상스 화가 라파엘로였다. 라파엘로가 바티칸 스탄체에 그린 베드로의 탈옥에는 하나의 벽화 안에 세 개의 다른 장면들이 등장하는데, 제각기 다른 광원을 가지고 있다.

빛과 어둠의 구성으로 시간과 공간을 구회하는 기법을 실험한 것이다. 그 후 카라바조의 유화작품을 베낀 동판화와 프랑크푸르트 출신의 화가 아담 엘스하이머의 야경 그림들이 북유럽에 널리 퍼지면서 명암법의 전제는 무르익는다. 무엇보다 렘브란트의 두 스승 라스트만과 쉬바넨 뷔르히가 이탈리아 유학파 출신이어서 렘브란트는 공방도제 시절에 지겹도록 이탈리아 예술판화를 공부했을 것이다.


렘브란트의 명암법은 구성의 동인으로 완성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예술노트에도 빛과 어둠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레오나르도는 빛과 어둠의 관찰에 무려 한 권의 책을 할애하여 다루었는데, 가령 ‘빛은 어둠의 부재’로, 그리고 ‘어둠은 빛의 부재’로 정의된다. 앞선 중세 시대에 빛은 아름다움과 생명과 신성의 상징으로, 어둠은 그 반대의 개념으로 여겨지면서 도덕적 종교적 가치를 담았던 것과 너무나 달라진 해석이다. 르네상스는 이처럼 빛과 어둠에 대해서도 가치중립의 시각을 주장했던 것이다.

그러나 렘브란트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그의 명암법은 빛과 어둠을 부리는 기술에서 멈추지 않는다. 진정한 명암법이란 빛과 어둠의 요소를 사용해서 사건을 드러내고 줄거리의 진행을 이끌어가는 구성의 동인으로 작용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그림의 한 부분을 어둡게, 다른 부분을 밝게 그리고 하이라이트를 찍는다고 해서 명암법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바로 이 점에서 렘브란트는 작업에 대한 접근방식이 이탈리아의 거장들과 달랐다.






렘브란트의 대부분 작품들은 빛과 어둠의 연출에 기댄다. 어떻게 보면 거의 단색화처럼 보이는 단순하기 그지없는 구성들이 보는 사람의 마음을 이처럼 뒤흔들 수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기만 하다. 렘브란트의 130여 점이나 되는 자화상 그리고 종교주제를 다룬 수많은 작품들을 보면 깊은 울림이 느껴진다. 작품이 단순한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동참과 중언을 강요하는 것 같다. 심지어 그림 속의 사건에 대해서 우리에게 한 몫의 책임을 묻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것은 그의 예술이 다름 아닌 어둠과 빛, 후회와 고백으로 얼룩진 자신의 삶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