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107)미국박물관협회(AAM) 연례회의 및 Museum Field Trip 참가기

이순령

2017년 관장·학예사 국제행사 참가 및 박물관·미술관 단기연수






5월 4일부터 9일까지 한국박물관협회에서 주관하는 2017년 관장·학예사 국제행사 참가 및 박물관·미술관 단기연 수 「미국박물관협회(AAM) 연례회의 및 Museum Field Trip」에 참가하였다. 한국박물관협회 김쾌정 회장님을 비롯한 관장 2인 시립, 대학, 사립박물관·미술관 등의 학예사 5인 등으로 구성된 이번 연수팀은 미국 시카고 및 St.루이스 지역의 주요 박물관을 탐방하고 2017 미국박물관협회(AAM) 연례회의에 참가하였다.


이번 연수의 주제는 <이해를 위한 관문 : 박물관의 다양성과 형평성, 접근성, 포용(Gateways for Understanding : Diversity, Equity, Accessibility, and Inclusion in Museums)>이다. 탐방관은 시카고미술관(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시카고필드자연사박물관(The Field Museum), 과학산업박물관(Museum of Science and Industry), St.루이스현대미술관(Contemporary Art Museum St. Louis), 퓰리처재단미술관(Pulitzer Arts Foundation), St.루이스대학미술관(St. Louis University Museum of Art), 세인트루이스미술관(Saint Louis Art Museum), 세계체스박물관(World Chess Hall of Fame) 등이었으며, 7일에는 America’s Center에서 열린 미국박물관협회(AAM) 연례회의에 참석하였다.






특히 시카고필드자연사박물관에서는 관장 리처드 W. 라리비에르 박사와의 면담을 통해 박물관의 운영과 박물관이 지향하는 가치와 방향성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면담 후에는 전시 프로젝트 매니저 수잔 닐(Susan NEILL)의 안내로 박물관 전시가 기획, 준비, 실현되는 연구실과 작업실, 각 분야의 전문인력들이 일하는 사무실 등을 직접 둘러볼 수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학자로 규정하고, 실제 구성원의 구성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시도 연구 결과를 대중과 나누고 공유하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또한 정밀한 전문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후원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도 주목되었다. 전문성-후원-공유의 흐름은 탐방했던 다른 박물관 및 미술관도 유사한 점이 있었다. 라리비에르 박사의 ‘시카고에서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의무로 생각한다’라고 했던 말은 시카고와 St.루이스 지역의 박물관, 미술관들이 유지·발전하고 있는 이유를 알려주었다.


아메리카 센터에서 진행되었던 2017 미국박물관협회(AAM) 연례회의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컨퍼런스가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사전 등록한 참가자들은 원하는 세션을 선택하여 참가하였다. 내가 참석했던 컨퍼런스는 총 3개로 ‘We the People’, ‘Cocurating in a Changing City Library/Museum Partnerships’, ‘Empathy as Disruptive Innovation’이었다. 이 3개의 세션을 선택한 이유는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관계 맺기를 통한 박물관 영역 확장, 포용과 공감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전시장 안으로 끌어들여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컨퍼런스 참가를 통해 깨닫게 된 것은 정답이나 정해진 규칙은 없다는 것이었다. 각 컨퍼런스의 발표자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솔직하게 공유하고 참가들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응하며 더 나은 답을 찾기 위해 소통하고 있었다. 그렇게 공유된 경험은 미국 전역과 멀리 외국에까지 퍼져나가고 있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