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8년 4월

편집부

에른스트 갬펄 개인전
2018-03-29 ~ 2018-04-28 | Theground (더그라운드)
02-3443-7475 |
 
에른스트 갬펄 작업에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는 나무가 지녀온 세월과 제작이라는 단어가 어울리지 않는 작가만의 작업방식을 꼽을 수 있다. 작가가 쓰는 나무는 오랜 시간을 견뎌온 나무를 베서 사용하는 것이 아닌, 바람에 버티지 못하여 쓰러져 있거나 물에 떠밀려 내려온 나무들이다. 이러한 소재를 어루만지고 깊은 교감을 통해 세월을 감안해가며, 정형화된 틀의 기(器)에서 한참 떨어진 그것에게 가장 어울리는 모습으로 숨쉬게 해주는 작업을 한다.
비세그라드 카르마: Visegrad Karma
2018-04-05 ~ 2018-04-25 |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02-2151-6520 | kf.or.kr
 
포스터 장르 안에서 기획, 생산된 작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점점 흩어지고 소실되어 가는 시점에 놓여 있기에 이번 전시는 포스터 장르 자체를 보존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의제 또한 갖고 있다. 국내에서 공개된 바 없는 독특한 사유방식과 그에 상응하는 조형 기법이 담긴 포스터 60점을 통해 비세그라드 국가들의 역사와 문화를 생생한 시각언어로 마주하길 바란다.
소수빈: 분리된 식물
2018-04-02 ~ 2018-04-30 | 안국약품갤러리AG
02.3289.4399 | galleryag.co.kr
 
작가는 식물도감부터 시작하여 중세 필사본이나 아르누보 양식과 같은 다양한 식물무늬의 패턴화, 그리고 현대 건축과 디자인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기적 형태 등의 조형적 부분과 더불어, 역사 속에서 인간의 문화에 영향을 끼쳐온 식물의 사회사적 의미까지를 연구하고 작품의 소재로 적용시켜왔다.
현재호 유작전
2018-04-13 ~ 2018-05-05 | 미광화랑
051.758.2247 |
 
1963년작 영도다리 풍경과 1982년작 자갈치시장 풍경 등, 부산근교의 풍경들과 자갈치 아줌마 같은 서민들의 힘겨운 삶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들의 애잔한 모습이 담긴 부산시절의 작품 20여 점을 선보인다.

 
 
고충환 : 2017 대구권 미술대학 연합전_Power Packed
고충환 : 황초롱/ 일상을 사는 사람들, 일상을 앓는 사람들
김성호 : 배수영 / 관계의 회로도’에서 되찾는 상생과 치유
이선영 : 비평적 담론
이선영 : 이승수 / 변화의 축에 놓인 공간과 사물
 
미미다방 : 큐레이터 변길현 미술산문집
변길현 지음 | 전라도닷컴 | 2018년 1월 | 18,000원
 
약 5년에 걸쳐 동명의 제목으로 월간지에 연재했던 글 중 32편을 골라 묶었다. 학예연구사로 광주시립미술관과 성장을 함께해 온 저자는, 광주를 포함한 전라도의 작가와 예술을 지척에서 지켜보고 글을 써왔다. 황재형ㆍ허진ㆍ손상기 등 20명의 작가론과 지역에서 나아가 한국현대미술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담겼다.

지은이 | 변길현
2001년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로 임용되어 2017년 현재까지 광주시립미술관의 성장을 함께 한 미술관맨이다.
연관성의 예술 : 참여 공동체를 위한 문화기획
니나 사이먼 지음 ; 이홍관 옮김 | 연암서가 | 2018년 2월 | 17,000원

전작 『참여적 박물관』에서 집중했던 ‘참여’의 목표를 위한 문을 ‘연관성’에서 찾는다. 연관성으로 성공한 사례들과 공동체 속에서 자신의 작업을 한층 활성화하기 위한 경험과 조언을 적은 ‘현장 노트’이기도 하다. 이는 박물관뿐 아니라 다양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저자가 두 책에서 말하는 지향점을 명확하게 살필 수 있다.
 
지은이 | 니나 사이먼 (Nina Simon)
전 세계의 박물관, 도서관, 공원, 역사 유적지, 예술문화센터 등 수백 곳에서 커뮤니티와 함께하는 참여적 설계를 컨설팅하였고, 베스트셀러 『참여적 박물관』의 저자이면서 높은 방문자수를 기록하는 뮤지엄 2.0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