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8년 3월

편집부


 
The Conversation전: 김수연, 최수인, 한진
2018-02-22 ~ 2018-04-01 | 아트사이드갤러리
02.725.1020 | artside.org
 
이 세 작가들은 자신의 경험, 혹은 사회적 관계, 일련의 예술적 실험 과정을 통해 다층적인 의미를 담아 작업하며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대화하기’를 시도해 왔다. 다시 말해, 개인적인 일상과 경험, 이로부터 발생되는 감정,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타인과의 관계 맺기, 그리고 예술로써 대화하고 소통 과정 속에서 작업을 완성해 나가는 것이다.
라선영·박경진전: 사람, 사람
2018-02-28 ~ 2018-03-31 | 갤러리마크
02.541.1311 | gallerymark.kr
 
회화 박경진 작가, 조각 라선영 작가의 2인전 “사람, 사람” 에서는 개인에 집중하지만 그 개인의 절대적 고독과 외로움은 허락하지 않는 작가 라선영의 군상 작업과, 생존이라는 개념을 본인의 생업과 작업으로 담백하게 표현한 작가 박경진의 현장 생존 작업을 한 공간 안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한중일 서예전: 동아시아 필묵의 힘
2018-02-09 ~ 2018-04-01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02.580.1653 | sac.or.kr
 
서라는 키워드로 보는 동아시아는 더 이상 한국과 중국, 일본이 나누어진 나라가 아니라 필묵으로 하나 되는 공동체인 것이다. 이런 무한대의 함의를 가진 서를 동아시아 차원에서 문제 삼아 한중일 75명의 작가가 선보이는 전시가 <동아시아 필묵의 힘 East Asia Stroke>이다.
정승혜 : 마법의 갑옷과 신비의 칼을 주오
2018-02-08 ~ 2018-04-07 | 피비갤러리
02-6263-2004 | pibigallery.com
 
정승혜의 작업은 글과 드로잉의 교차점에서 만들어지는 하나의 이미지로서 작가의 내밀한 시선을 상상케 한다. 주로 연속하는 드로잉들과 거기에 따라 붙은 짧은 글들이 하나로 묶여 한 편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데, 그 서사는 마치 흐릿한 목소리를 지닌 이미지들로 각인된다.

 
 
고충환 : 2017 신미술관 특별기획전, 내일을 위한 오늘
고충환 : 포커스 크리틱/ 사소한 것은 없다
이선영 : 신민주 / 생성과 소멸이 서로의 조건인 세계
이선영 : 조현익 / 행복을 둘러싼 가상과 현실
윤진섭 : 자연 관조를 통한 사색과 명상의 미학
 
헤이리 두 사람의 숲 : 헤이리 예술마을 만들기 20년
이상 지음 | 가갸날 | 2018년 1월 | 15,800원

헤이리 예술마을의 탄생과 과정을 적었다. ‘헤이온와이’에서 영감을 받았던 초대 이사장 이야기부터 시작하는 내용은, 그 무게중심을 마을의 주요 골격이 형성되던 태동기 5-6년에 두었다. 20여 년을 사무장으로 일했던 저자는, 기존 도시개발과 달리 살아갈 주민이 스스로 마을 만들기에 나섰던 헤이리가 아직도 진행 중이라고 말한다.

지은이 | 이상
헤이리 마을 만들기가 첫 걸음마를 떼던 때부터 십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사무국 책임자로서 회원을 모으고, 헤이리의 청사진을 다듬고, 조성 공사를 관리하고,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헤이리 만들기의 중심에서 일했다.
장소와 의미 : 동주 이용희의 학문과 사상
민병원ㆍ조인수 외 12인 지음 | 연암서가 | 2017년 12월 | 20,000원

동주 이용희 탄생 100년, 서거 20주기 기념 전집의 별책으로 기획되었다. 그의 주요 저작을 중견 학자 14인이 정밀하게 해제ㆍ분석했다. 세계 보편의 시야를 잃지 않으면서 주체적 관점에서 탐색했던 그의 학문과 사상을 조명하고, 한국 사회과학과 미술사에서 갖는 학문적 위상과 의미를 드러내며 현재를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동주(東洲) 이용희(李用熙, 1917-1997)
동주 이용희는 권역과 전파, 장소의 논리를 내세운 독자적인 국제정치론을 전개하였고, ‘문화권’, ‘회화권’ 개념을 도입하여 한국회화의 시대적 미관을 이해하고 감식안을 중시하는 미술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고대와 현대, 동양과 서양,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넘나드는 해박한 지식과 깊은 이해를 기초로 한국의 정치와 미의 장소적 존재양태를 주체적으로 성찰한 실천적 지성인이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