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7년 5월

편집부




예술이 자유가 될 때:이집트 초현실주의자들전
2017-04-28 ~ 2017-07-30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02-2022-0600 | moca.go.kr

국립현대미술관 주최, 샤르자미술재단, 이집트 문화부, 카이로아메리칸대학의 협력으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 이집트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 세계와 그들이 이집트 근현대미술사 및 국제 초현실주의계에 남긴 눈부신 유산을 조명한다. 또한 탈서구 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이집트 근대시기의 다양한 면면과 20세기 국제사회의 상호연계성을 탐구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덕후 프로젝트: 몰입하다
2017-04-11 ~ 2017-07-09 |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02-2124-5248 | sema.seoul.go.kr/bukseoul

일상 속 수집부터 ‘덕후’에 대한 재해석까지 참여 작가의 다채로운 작품을 통해 좋아하는 분야에 깊이 몰두하며 가지게 되는 기질이나 자세, 행동 양식의 의미를 조명함으로써 덕후 문화를 ‘몰입’이라는 교육적 가치와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do it 2017, 서울전
2017-04-28 ~ 2017-07-09 | 일민미술관
02-2020-2050 | ilmin.org

«do it»은 1993년에 큐레이터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가 국제적 작가들이 직접 쓴 작업 지시문들을 9개국 언어로 번역해 출간하며 시작된 전시플랫폼이다. 이후 20여 년 동안 전 세계에서 끊임없이 확장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일민미술관에서 2017년 서울 버전을 선보인다.
이우환: 하정웅컬렉션특별기획전
2017-03-03 ~ 2017-06-25 |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하정웅미술관
062-613-5390 | artmuse.gwangju.go.kr

하정웅컬렉션 이우환의 작품 전부를 선보이는 자리로서 1974년 ‘점으로부터(From Point)’ 시리즈부터 2012년 최근 신작 ‘대화(Dialogue)’시리즈에 이르기 까지 이우환 회화사의 전모를 살필 수 있는 기회이다. 또한 컬렉터 하정웅과 작가 이우환의 만남, 그리고 광주시립미술관과의 인연을 통해 하정웅의 휴머니티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고충환 : 스코어, 음악과 경쟁 사이를 네트워킹 하는
김성호 : 2016순천만국제자연환경미술제 / 낙원유람(樂園遊覽)
김영호 : 예술의 종말 시대 이후의 예술
이선영 : EVE 프로젝트 / 과학과 예술의 학제 간 대화
정영숙 : 김상열 / Secret garden-flowing
하계훈 : 매년 새롭게 더욱 성장하는 공모전이 되기를 기원하며



북해에서의 항해 :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의 미술
로절린드 크라우스 지음 ; 김지훈 옮김 | 현실문화A | 2017년 3월 | 20,000원

강연에서 발표한 원고를 다듬어 소책자 형식으로 발간됐던 것을 본문으로 싣고, 후속으로 발표된 저자의 글 「매체의 재창안」을 번역해 부록으로 수록했다. 끝으로 크라우스의 매체론이 등장하게 되는 미술사적ㆍ영화사적 맥락과 논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역자의 해제를 더했다.

지은이 | 로절린드 크라우스
미술비평가 및 미술사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컬럼비아 대학교 ‘유니버시티’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꼭 한번 보고 싶은 중국 옛 그림 : 중국 회화 명품 30선
이성희 지음 | 로고폴리스 | 2017년 3월 | 16,000원

중국 각 시대의 삶과 욕망을 치열하게 담았던 화가들과 30점의 그림 속에서 철학적 사유의 과정을 글로 옮겼다. 승려부터 황제까지 다양한 창작자와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은 물론, 새로운 시대를 열거나 새로운 미학을 실험했던 작품 등이 실렸다. 이외에 설명과 비교를 위해 조선 화가의 작품을 포함한 50여 점을 추가했다.

지은이 | 이성희
1989년 《문예중앙》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하고 이후 부산대 철학과에서 장자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심의 공간 : 나의 마음을 읽다 나의 삶을 그리다
김현진 지음 | 자음과모음 | 2017년 3월 | 16,000원

건축가인 저자가 서울ㆍ대전ㆍ대구ㆍ부산ㆍ해남ㆍ제주 등 전국을 직접 누비며 일상에 관해 적었다. 타인의 삶을 담는 건축가의 세밀한 눈으로 공간과 공간적 사물을 바라보고, 건축적인 독해법으로 타인의 삶을 이해하고자 했다. 저자는 이 글의 도움으로 읽는 이들이 각자 속한 공간과 현실의 관계를 달리 보길 바란다.

지은이 | 김현진
파리 유학 기간 5년을 제외하고는 태어난 곳, 대구를 떠나지 않았고, 지혜로운 제자 두 명과 함께 작은 작업실을 꾸려가고 있다. 한 해에 한두 개 정도의 건물 설계와 연구 작업만 하면서 지역의 건축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