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6년 11월

편집부




정경연 회화·설치전
2016-11-02 ~ 2016-11-29 | 현대화랑
02-2287-3591 | hyundaihwarang.com

정경연은 대학을 다니며 유학을 하던 1976년, 행여라도 딸의 손이 틀새라 어머니께서 보내주신 면장갑을 받았을 때 무어라고 말할 수 없는 따스한 감흥에 젖었다고 한다. 2000년대 초반의 모노톤의 작업으로 시작하여, 1990년대의 설치와 비디오작업으로 각 종교와 세대간의 화합과 안녕을 기원하고, 근작을 통해서 다양한 색과 재료를 연구함으로써 일상적인 오브제의 조형화라는 일관된 주제를 보여주고 있다.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스크랩북전
2016-08-27 ~ 2016-12-03 | 한미사진미술관
02.418.1315 | photomuseum.or.kr

본 전시는 카르티에-브레송이 1946년에 만든 스크랩북을 바탕으로 기획된 전시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의 작품들을 재조명하는 이유는 그의 실체를 온전히 이해하는데 있어 이 스크랩북이 카르티에-브레송의 사진인생 초반을 망라한 자료이자 사진가로서 인생을 시작하던 카르티에-브레송 내면의 자성적인 목소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유일한 흔적이기 때문이다.
박효민전
2016-11-23 ~ 2016-11-30 | 한벽원갤러리
02.732.3777 |

작가는 도시의 풍경과 그 안에 있는 사람의 모습을 통해 자신이 파악한 신을 드러내는데 위의 첫 번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대상에 대해, 관심이 없기 때문에 그저 스쳐지나가거나 너무 익숙하기 때문에 간과해버리거나 혹은 다른 대상에 신경을 쓰는 나머지 아예 쳐다보지도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김유성: 부서질 시간의 기억
2016-11-23 ~ 2016-12-06 | 갤러리일호
02-6014-6677 | galleryilho.com

자신의 그림이 공간을 통한 심리적 사유라고 말하는 작가는 무의식의 세계를 환기하는 매개로 사적인 침대를 활용한다. 휴식을 수면이라 생각하는 그의 침실은 불현듯 사건을 저장했던 장소가 된다.



고충환 : 이양노의 회화, 그 미술사적 의의
박영택 : 권광칠 / 연잎으로 이루어진 유토피아
이선영 : 배종헌 / 현실세계의 축약본으로서의 가정
하계훈 : 예술을 통한 도시발전 사례와 태화강미술제의 의의
이 한점의 자료 : 지나서화인명사서(支那書畵人名辭書), 1919



Staying alive: 우리 시대 큐레이터들의 생존기
고동연ㆍ신현진 지음 | 다할미디어 | 2016년 10월 | 15,000원

저자들이 진행한 큐레이터 10여 명 인터뷰를 엮었다. 이들은 국내 미술계에서 15-20년의 경력을 갖는 동시에 국공립ㆍ기업 미술기관의 매니저, 연구원, 정책가, 비평가로도 활동 경험이 있다. 이들을 통해 큐레이터와 미술계를 현장 밀착적으로 파악하고, 최근 20년간 우리 미술계가 겪은 구조 변화의 추이를 보여준다.

지은이 | 고동연, 신현진
고동연: 전후 미술사와 영화이론으로 뉴욕 시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현진: 1998년부터 2008년까지 미술현장에서 쌈지스페이스 제1큐레이터, 전 SAMUSO: 전시실장, Asian American Arts Center 프로그램 매니저로 일했다.;
조선왕실 원의 석물
김이순 지음 | 한국미술연구소CAS | 2016년 8월 | 30,000원

원은 능보다는 덜 장대하고 묘보다는 더 예를 갖춘 조선왕실의 독창적 무덤제도이자 고유 형식이다. 인조 때 창안된 이후 왕통과 직접 관련한 이들의 무덤으로써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조성되었다. 현존하는 13기의 원을 총체적으로 조사한 내용에 함께 조성된 석물과 유물의 답사ㆍ분석을 정리해 그 가치를 밝혔다.

지은이 | 김이순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교수,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사물의 상상력과 미술
김우창 지음 | 민음사 | 2016년 8월 | 30,000원

1960년대부터 2014년까지 50여 년간 발표된 글과 단행본, 미발표 원고 및 대담을 모두 포함하는 저자의 전집 중 하나로 미학자로서의 사유를 읽어볼 수 있다. 설치미술가 박재영에 관한 토론글과 서양화가 황규백ㆍ오치균ㆍ강연균ㆍ이우환, 조각가 김종영의 작가론 등이 실렸다.

지은이 | 김우창
서울문화예술평론상, 팔봉비평문학상, 대산문학상, 금호학술상, 고려대학술상,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인촌상, 경암학술상을 수상했고, 2003년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