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177)목록

손동현

2014년부터 최근까지 작업들을 제작하면서 작업과정 중에 동아시아 회화사의 선현들이 남긴 명작들로부터 큰 도움을 얻었는데, 그 서화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광려도(匡廬圖)〉, 형호(荊浩), 오대五代 10세기경, 견본수묵絹本水墨, 186×107㎝, 대만 고궁박물원 
〈이조조심도(二祖調心圖)〉, 석각(石恪), 오대 10세기경, 지본수묵紙本水墨, 35.3×64.4㎝,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계산행려도(谿山行旅圖)〉, 범관(范寬, 990-1020), 송宋 1000년경, 견본수묵담채絹本水墨淡彩 206.3×103.3㎝ 대만 고궁박물원
〈조춘도(早春圖)〉, 곽희(郭熙, 1020-1090 추정), 송 1072, 견본수묵담채, 158.3×108.1㎝, 대만 고궁박물원
〈춘산서송도(春山瑞松图)〉, 미불(米芾, 1051~1107), 송 1100년경, 지본수묵채색絹本水墨彩色, 44.1×35㎝, 대만 고궁박물원
〈만학송풍도(萬壑松風圖)〉, 이당(李唐, 1080-1130 추정), 송 1124, 견본담채, 188.7×139.8㎝, 대만 고궁박물원
〈강산소경도(江山小景圖)〉, 이당, 송 12세기, 견본설채絹本設色, 49.7×186.7㎝, 대만 고궁박물원
〈발묵선인도(潑墨仙人圖)〉, 양해(梁楷, 1140~1210 추정), 송, 지본수묵, 27.7×48.7㎝, 대만 고궁박물원
〈세한삼우도(歲寒三友圖)〉, 조맹견(趙孟堅, 1199~1267), 송, 24.3×24.3㎝, 중국 상해박물관
〈묵란도(墨蘭圖), 정사초(鄭思肖, 1241~1318), 송, 지본수묵, 25.7×42.4㎝, 일본 오사카시립미술관
〈작화추색도(鵲華秋色圖)〉, 조맹부(趙孟頫, 1254~1322), 원元 1295, 지본수묵채색, 28.4×90.2㎝, 대만 고궁박물원
〈이양도(二羊圖)〉, 조맹부, 원, 지본수묵, 48.4×25.2㎝, 미국 프리어미술관 
〈부춘산거도(富春山居圖)〉, 황공망(黃公望, 1269-1354), 원 1350, 지본수묵, 636.9×33㎝, 대만 고궁박물원
〈용슬재도(容膝齋圖)〉, 예찬(倪瓚, 1301-1374), 원 1372, 지본수묵, 74,7×35,3㎝, 대만 고궁박물원
〈고목한천도(古木寒泉圖)〉, 문징명(文徵明, 1470년~1569), 명明 1549, 견본수묵채색, 59.3×194.1㎝, 대만 고궁박물원 



손동현, Linear Line, 2016-2017, 지본수묵, 130×194cm

〈선산누각도(仙山樓閣圖)〉, 구영(仇英, 1494 – 1552 추정), 명 1550, 지본수묵담채 , 대만 고궁박물원
〈봉경방고도(崶涇訪古圖)〉, 동기창(董其昌, 1555~1636), 명 1602, 지본수묵 29.8×80㎝, 대만 고궁박물원 
〈책장도(策杖圖)〉, 심주(沈周, 1427~1509), 명, 지본수묵, 72.2×159.1㎝, 대만 고궁박물원 
〈황해송석도(黃海松石圖)〉, 홍인(弘仁, 1610-1664), 청淸 17세기, 지본수묵, 198.7×91㎝, 중국 상해박물관
〈천암만학도(千巖萬壑圖)〉, 공현(龔賢, 1619~1689), 청 17세기, 62×102㎝, 스위스 취리히리트베르그 미술관
〈난죽도(蘭竹圖)〉, 정섭(鄭燮, 1693~1765), 청 18세기, 지본수묵, 190.2×49.8㎝, 중국 남경박물관
〈월매도(月梅圖)〉, 매창 이부인(梅窓 李夫人, 1529~1592), 조선朝鮮 16세기, 지본수묵, 28×39.5㎝
〈월매(月梅)〉, 어몽룡(魚夢龍, 1566~미상), 조선 16세기, 견본수묵, 119.2×53㎝, 국립중앙박물관
〈묵매(墨梅)〉, 오달제(吳疸濟, 1609~1637), 조선 17세기, 지본수묵, 104.9×56.4㎝, 국립중앙박물관
〈매화도팔폭(梅畵圖八幅)〉, 조지운(趙之耘, 1637~미상), 조선 17세기, 견본수묵, 51.2×35.8㎝, 국립중앙박물관
〈괴석죽국(怪石竹菊)〉, 윤두서(尹斗緖, 1668~1715), 조선 17-18세기, 지본수묵, 27.5×56㎝ 
〈묵죽(墨竹)〉, 유덕장(柳德章, 1675~1756),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99.3×65㎝, 고려대학교박물관
〈다람쥐〉, 정선(鄭敾, 1676~1759), 조선 18세기, 견본수묵채색, 16.6×16㎝, 서울대학교박물관
〈운근풍죽(雲根風竹)〉, 심사정(沈師正, 1707~1769),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27.4×38.4㎝, 간송미술관
〈월매(月梅)〉, 심사정,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22.4×14.1㎝
〈병국도(病菊圖)〉, 이인상(李麟祥, 1710~1760),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28.6×15㎝, 국립중앙박물관
〈묵란(墨蘭)〉, 이인상,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27.4×21cm, 간송미술관
〈매화(梅花)〉,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57.5×33.5㎝
〈국죽석도(菊竹石圖)〉, 강세황,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28.8×33.5㎝, 고려대학교박물관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김홍도(金弘道, 1745~미상), 조선 18세기, 견본수묵채색, 90.4×43.8㎝, 호암미술관
〈매죽(梅竹)〉, 김홍도, 조선 18세기, 지본수묵담채, 24×33.6㎝
〈매월죽(梅月竹)〉, 김홍도, 조선 18세기, 지본수묵담채, 138×47㎝
〈송하취생도(松下吹笙圖)〉, 김홍도, 조선 18세기, 지본수묵담채, 109×55㎝, 고려대학교박물관
〈노매(老梅)〉, 김홍도, 조선 18세기, 지본수묵담채, 18×23㎝
〈묵매(墨梅)〉, 홍대연(洪大淵, 1749-1816), 조선 18세기, 지본수묵, 31×20.5㎝, 간송미술관
〈송하처사도(松下處士圖)〉, 이재관(李在寬, 1783~1837), 조선 18세기, 지본수묵담채, 139.4×66.7㎝, 국립중앙박물관



 손동현, Master Correspondence, 2015, 지,견본수묵채색,  8곡 병풍(각 폭 182×48,5cm) 

〈십장생도 십곡병(十長生圖 十曲屛)〉, 작가미상, 조선 18세기, 견본채색 210×552.3㎝, 호암미술관
〈홍매(紅梅)〉, 조희룡(趙熙龍, 1789~1866), 조선 19세기, 지본수묵담채, 127×30.2㎝
〈매화(梅花)〉, 조희룡, 조선 19세기, 지본수묵담채, 113.1×41.8㎝, 고려대학교박물관
〈묵란(墨蘭)〉,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조선 19세기, 지본수묵, 22.5×26.2㎝
〈세한도(歲寒圖)〉, 김정희, 조선 19세기, 지본수묵, 23.3×146.4㎝
〈묵매(墨梅)〉, 허련(許鍊, 1809~1892), 조선 19세기, 지본수묵, 54.9×31㎝, 고려대학교박물관
〈수매도(壽梅圖)〉, 허련, 조선 19세기, 지본수묵, 109×57.1㎝, 남농문화재단
〈석국(石菊)〉, 허련, 조선 19세기, 지본수묵, 25.4×30㎝
〈괴석묵란(怪石墨蘭)〉, 이하응(李昰應, 1820~1898), 조선 19세기, 견본수묵, 129×40.5㎝, 호암미술관
〈송지도(松芝圖)〉, 전기(田琦, 1825~1854), 조선 19세기, 지본수묵 22.4×26.1㎝, 국립중앙박물관
〈작호도(鵲虎圖)〉, 작가미상, 19세기, 지본수묵담채, 135×81㎝, 국립중앙박물관
〈일월오봉도병풍(日月五峰圖屛風)〉, 작가미상, 조선 19세기, 견본채색, 196.5×366.6㎝, 국립고궁박물관
〈석란(石蘭)〉, 윤용구(尹用求, 1853~1939), 조선 19-20세기, 지본수묵, 132×32㎝
〈묵죽도(墨竹圖)〉, 윤용구, 조선 19-20세기, 지본수묵, 49×131㎝
〈동리가색(東籬佳色)〉, 안중식(安中植, 1861~1919), 조선 19-20세기, 지본수묵, 170×80㎝,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풍죽도(風竹圖)〉, 김규진(金圭鎭, 1868~1933), 조선 19-20세기, 지본수묵, 126×36㎝, 학고재
〈정성도(鼎盛图)〉, 오창석(吴昌硕, 1844~1927), 20세기, 지본수묵채색, 179cm×95.5㎝
〈차산관도(借山館圖)〉, 제백석(齊白石, 1860~1957), 1902년경, 지본수묵담채, 30×48㎝
〈유정추아(油灯秋蛾)〉, 제백석, 1908-1909, 지본수묵담채, 33.5×32.5㎝
〈하(蝦)〉, 제백석, 1930년경, 지본수묵, 68×33㎝
〈연봉청정(蓬蜻蜓)〉, 제백석, 1938, 지본수묵담채, 42×30㎝
〈와성십리출산천(蛙聲十里出山泉)〉, 제백석, 1951, 지본수묵, 134×34㎝
〈목단(牧丹)〉, 제백석, 1957, 지본수묵담채, 103×33.3㎝
〈녹운십리(綠雲十里)〉, 장대천(張大千, 1899~1983), 1948, 지본수묵담채, 134×66.7㎝
〈태호(太湖)〉, 이가염(李可染, 1907~1989), 1954, 지본수묵담채, 32.3×41.2㎝
〈가정대불(嘉定大佛)〉, 이가염, 1956, 지본수묵담채, 59.5×43.9㎝
〈해취원(谐趣园)〉, 이가염, 1957, 지본수묵담채, 39.5×48.7㎝
〈계림춘우(桂林春雨)〉, 이가염, 1959, 지본수묵담채, 46.2×53.2㎝
〈화산측영(畵山側影)〉, 이가염, 1959, 지본수묵담채, 44.5×54.8㎝
〈강우도(犟牛圖)〉, 이가염, 1962, 지본수묵담채, 67.5×44.5㎝
〈양삭도두(陽朔渡頭)〉, 이가염, 1962, 지본수묵담채, 70.1×46.6㎝
〈용호석조(榕湖夕照)〉, 이가염, 1963, 지본수묵담채, 69.5×46.9㎝
〈창암백련도(蒼岩白煉圖)〉, 이가염, 1963, 지본수묵담채, 69.8×47.1㎝
〈이강(漓江)〉, 이가염, 1963, 지본수묵담채, 69.4×47.3㎝
〈무산운도(巫山雲圖)〉, 이가염, 1965, 지본수묵담채, 66.5×44.4㎝
〈이강승경(漓江勝境)〉, 이가염, 1977, 지본수묵담채, 152×128㎝
〈이강천하무(漓江天下無)〉, 이가염, 1984, 지본수묵담채, 67.8×126.5㎝
〈수우찬(水牛贊)〉, 이가염, 1985, 지본수묵, 68.6×137.2㎝
〈추상(抽象)〉, 이응노(李應魯, 1904~1989), 1960년대 전반, 지본채색, 129×65㎝



 손동현, The Graphy, 2015, 지본수묵, (좌)107.3×39cm (가운데)194×130 cm (우)84.5×50 cm

〈문자추상(文字抽象)〉, 이응노, 1968, 지본담채, 100×34.5㎝
〈산(山)〉, 이응노, 1969, 지본수묵, 126×65㎝
〈문자추상(文字抽象)〉, 이응노, 1979, 지본수묵, 107×17㎝
〈문자추상(文字抽象)〉, 이응노, 1984, 지본수묵, 42.5×51㎝
〈군상(群像)〉, 이응노, 1987, 지본수묵, 42.5×51㎝
〈군상(群像)〉, 이응노, 1987, 지본수묵, 68.5×273㎝
〈노묘(怒猫)〉, 장우성(張遇聖, 1912~2005), 1970, 지본수묵담채, 90×110㎝ 
〈싸움 I〉, 김기창(金基昶, 1913~2001), 1955, 지본수묵, 140×40㎝
〈작품(作品) B〉, 김기창, 1984, 지본수묵, 63×60㎝
〈작품(作品) 6〉, 김기창, 1986, 지본수묵, 89.5×117.2㎝
〈작품(作品) 11〉, 김기창, 1989, 지본수묵, 211×222㎝
〈점과 선 시리즈 I〉, 김기창, 1989 ,지본수묵, 181.3×336㎝
〈춤추는 사람들〉, 서세옥(徐世鈺, 1929~), 1977, 지본수묵, 73.5×144㎝
〈사람〉, 서세옥, 1990, 닥종이에 수묵, 141×139㎝
『매화희신보梅花喜神譜』 , 1238 송, 송백인(宋伯仁) 찬(撰). 2권 
『개자원화보芥子園畵譜』 , 1679 청, 이어(李漁, 1611~1680) 찬

이 작품들은 본인의 작업에 참조 혹은 인용되었거나, 실마리가 되기도 했지만 사실 그냥 좋아하는 그림들일 수도 있다.


손동현(1980- ) 서울대 미술대학 동양화 전공 석사. 송은아트스페이스, 갤러리2 등에서 개인전 9회. 15회 송은미술대상(2016), 문화체육관광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2017) 수상.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