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157)지역 기반 공립미술관의 난제들

이윤희

때때로 한숨이 난다. 미술관은 이러저러해야 한다는 원칙주의적인 입장만을 가지고는, 현재 우리나라 지방 공립미술관들이 처한 상황은 참으로 난감하다. 미술관 밖에서 쳐다볼 때보다 내부에서 들여다볼 때 더욱 한심한 경우가 많다. 겉으로 그럴듯한 전시를 올리고 명성을 쌓아가는 미술관들도 내부적으로는 곪아 터지기 직전의 문제 덩어리들을 끌어안고 있는 실정이다. 
특정 사안들이 문제라고 인식될 때는 어떻게든 해결점을 찾을 수도 있을 것 같지만, 특이하게 우리나라 지방 공립미술관들은 지역과 규모가 달라도 비슷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한 채 안고 간다. 개관한 지 20년이 된 미술관이건 이제 막 시작된 미술관이건 남쪽 미술관이건 북쪽 미술관이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구조적인 모양새는 거기서 거기인 것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시간이 갈수록 문제가 개선된다거나 나중에 생긴 미술관들은 더 나은 조건으로 출발해야 할 것 같지만, 미술관 관계자들끼리 만나 이야기하다 보면 웃음이 날 정도로 유사한 상황에 봉착해있다.

먼저, 대부분이 ‘어공(어쩌다 공무원)’인 전문직 학예사들과 예술행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늘공(늘 공무원)’이 미술의 문제를 놓고 벌여야 하는 꽉 막힌 소통 부재의 문제, 이것은 대부분의 공립미술관 사무실에서 발생하는 일상적인 이슈이다. 공무원 행정시스템은 십 원어치 지출도 서류 한 장을 깔고 가야 하는 투명함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지만, 그 시스템 내에서 벌어지지 않았던 일의 처리에 있어서는 지독히도 보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일반 행정과 예술 행정의 차이가 내부적으로 자각되지 못하는 경우, 동사무소 간판 교체하듯이 각종 겁 없는 결정들이 ‘늘공’들에 의해 시행되기도 한다. 국가공무원들과 달리 지방공무원들은 전혀 다른 부서들을 로테이션하게 된다. 장묘관리사업소나 교통계에 있다가 미술관에 발령받는 식이고, 대개는 이년 정도 근무하고 근무지를 옮기기 때문에 전문성을 가지기는 쉽지 않은 것이다.

때때로 민선 지자체장의 개인적 보은의 성격을 띠는 관장 인선, 그러한 통로로 채용된 관장이 시정(혹은 도정)에 부응한다는 명목으로 벌이는 정치적 성격의 전시들도 지방 공립미술관들에서 흔히 보이는 풍경이다. 시정이나 도정의 홍보용이 되거나 부대 행사쯤으로 역할을 하는 전시가 상명하달식으로 급조되기도 하는 것이다.

한편 지역 미술계와의 관계에서도 지방 공립미술관은 어려운 입장에 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어느 지역 미술관에서는 미술관의 한 공간을 미협 사무실로 쓰겠다고 시청에 압력이 들어갔다는 소문이 들리고, 때때로 지역신문의 기자들을 동원하여 미술관에 대한 부정적인(대개는 기삿거리도 아닌) 기사를 내보내기도 한다. 지자체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일 중의 하나가 지역신문에 부정적인 기사가 실리는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생태를 잘 아는 이들이 그 점을 압력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한 극단적인 사례가 아니더라도 공공기관에 대한 ‘민원’과도 같은 지역 미술단체들의 요청들이 미술관의 기획이나 각종 프로그램에 부담을 지우는 일은 빈번하다. 미술이 있기에 미술관이 존재하는 것이기에 미술가들과 미술관의 관계는 공생 관계일 수밖에 없지만, 공립미술관의 전시가 관객을 중심에 두어야 하는지 ‘이해관계’가 각각 다른 미술인들의 요구를 중심에 두어야 하는 것인지는 숙고해 보아야 할 일이다.

하나하나의 사례를 말하자면 하룻밤을 새워 입 아프게 말해도 다 말하지 못할, 별다른 해결책도 보이지 않는 이러한 유형의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오히려 말하면 입만 아프기 때문에, 말하지 않고 덮어두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무엇 하나가 개별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들이라기보다는, 모든 분야에서의 수준이 고르게 높아지면서 점차 완화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미술관에 발령을 받고 난생처음 미술관에 발을 들이는 것이 아니라 평소에 작품 감상을 즐기고 문화 전반에 대한 존중감이 있는 공무원이 미술관에서 행정과 시설을 담당하고, 선거 캠프에서 도움을 주었던 고마움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공사(公私)를 구분할 줄 아는 지자체장(長)을 선출하며, 문화예술과 같이 전문적인 영역은 전문가들의 견해가 일차적으로 존중받고, 수도권이 아닌 지역의 미술과 미술가들 역시 그 의미에 따라 정당하게 평가받고 고르게 주목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 이런 정도의 환경이 조성되었을 때 공립미술관은 소모적인 제자리걸음의 쳇바퀴에서 벗어나 제 할 일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 이윤희(1970- ) 이화여대 독문과와 동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 박사 수료. 공간지 기자,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전시팀장,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아트센터화이트블럭 학예실장, 이화여대 초빙교수 역임. 『포토몽타주』(시공사, 2003), 『그림자의 짧은 역사-회화의 탄생에서 사진의 시대까지』(현실문화연구, 2006) 등 번역. 현 청주시립미술관 학예팀장.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