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최병소 CHOI Byung-so

편집부

최병소
CHOI Byung-so
7.12 - 9.29
우손갤러리
Wooson Gallery

Untitled 0170528, 2017, Ballpoint pen and pencil on newspaper,  108×80×1cm

  최병소의 작업 방식은 우리에게 이미 잘 알려졌듯이, 신문지 위에 연필과 볼펜으로 선을 긋고 또 그어 새까만 선들이 전면을 덮고 마찰에 의해 종이가 군데군데 찢어질 때까지 지속되는 작업이다. 그로써 더이상 신문에 인쇄된 기사는 읽을 수도 심지어는 그것이 원래는 신문이라고 그 정체를 전혀 알아볼 수 없지만, 시간의 흐름을 상기하게 하는 것으로 다시 태어난다. 1970년대 당시 유신체제아래 언론은 통제되고 표현과 소통은 더욱 더 억압된 시절, 작가가 제구실을 하지 못한 언론에 분노하여 신문 기사를 볼펜으로 지우기 시작했다. 신문지 작업의 계기를 아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더 이상 그의 작품을 정치적 부조리나 사회적 불합리함에 대한 분노의 표현으로 보지는 말아야 한다.
  작가의 창조적 의지에 의해 끝없이 반복되는 인간의 노동과 시간은 예술적 실천으로써 작품 한 점 한 점 속에 축적되어 하찮은 일시적인 것을 영원히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최병소는 이러한 예술적 실천을 끝없이 반복되는 노동과 시간을 통해 자신의 인생을 빌어 몸소 보여주고 있다.

  CHOI Byung-so’s method is already well known to us: drawing countless lines with pencils and ballpoint pens on newspaper, until pitch-black lines cover the entire surface and the paper is torn by the friction. Then, the newspaper is no longer legible and losing its original function, however it reborns as a completely new phenomenon with its enigmatic appearance, with its unidentifiable surface, which evokes the passing of time.
  It is certainly important to find the origin of his work in the 1970s’ historical context : media did not funcion properly under the dictatorship, but his work should no longer be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anger against political injustice or social absurdity. Human labor and time process, which are endlessly repeated by the creative praxis of the artist, will be accumulated in each artwork, while creating a new entity of the object as strange, enigmatic, unknown phenomenon. CHOI Byung-so demonstrate this artiatic practice with his labour and time through entire his life.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