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Painterly Shadow 6인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4-03-08 ~ 2024-04-05

  • 참여작가

    권봉균, 김현진, 신동민, 오병탁, 원민영, 윤현준

  • 전시 장소

    The SoSo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31-949-8154

  • 홈페이지

    http://www.gallerysoso.com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전시제목 : Painterly Shadow
- 참여작가 : 권봉균, 김현진, 신동민, 오병탁, 원민영, 윤현준
- 기    획 : 노충현, 양기찬
- 주    최 : 갤러리 소소
 전시장소 :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172-1 더 소소 4-5층
- 전시기간 : 2024. 3. 8 (금) _ 4. 5 (금) 13:00_18:00 월, 화 휴관

3월 8일, 갤러리 소소는 서울 전시관 더 소소에서 2024년 첫 기획전, 《Painterly Shadow》를 개최한다. 도시 풍경으로 잘 알려진 중견작가 노충현과 설치작업을 하는 작가이자 다양한 기획에 참여하고 있는 양기찬이 공동기획을 맡고 갤러리 소소가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젊은 작가 6인 권봉균, 김현진, 신동민, 오병탁, 원민영, 윤현준이 참여한다. 

《Painterly Shadow》는 플라톤이 이데아론을 설명하며 펼쳐낸 동굴의 우화 속 진실된 세계의 허상으로 비유된 그림자를 회화작업에 내재한 환영과 실재의 문제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전시 제목 《Painterly Shadow》의 ‘섀도우(Shadow)’는 창작자들이 목도한 세계, 그리고 그것의 환영을 말한다. 참여 작가들은 모두 낯선 현실, 혹은 초현실적 상황을 화폭에 담는데, 이들이 구현한 이미지는 어떤 서사나 상징을 의도하기 보다는 오로지 회화를 위해 기여한다. 양기찬 기획자는 “참여작가들의 이러한 창작의 과정은 순전히 회화만을 목적으로 둔 형식주의와 유사한듯 보여도, 작가들의 회화는 여전히 현실계의 형상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결의 순수성을 표방합니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렇듯 회화를 향한 순수한 지향을 위해, 현실의 대상 즉 현상계의 환영을 활용하는 작가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회화를 풀어낸다. 

권봉균 작가는 획과 획의 경계를 뭉개는 붓질을 통해 생명체나 일상의 풍경을 초점 흐린 화면처럼 구현함으로써 대상이 된 존재를 본래의 의미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원민영 작가는 피나 사체와 같이 현실에서 기피하는 대상이나 찰나에 지나가는 인상을 파스텔 톤으로 그려내 그 순간을 영원한 것으로 탈바꿈시킨다. 회화를 공간과 시간의 제약에 메이지 않는 육화된 판타지로 보는 김현진 작가는 회화의 조건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윤현준 작가는 여러 출처의 이미지를 분해하고 재조립한 불시의 상황을 화면 속에 표현함으로써 회화의 해석에 대한 확장 가능성을 모색한다. 드로잉에서 비롯되는 예측불허의 이미지에서 시작해 격정적이고 속도감 있는 붓질로 회화를 진행시키는 오병탁 작가는 드로잉 자체로부터 자생한 풍경을 완성한다. 드로잉 작업으로 참여하는 신동민 작가는 그리는 순간의 유기성에 몸을 맡김으로써 목탄의 우발적 표현과 작가의 심상이 결부되어 탄생한 독특한 화면을 만들어낸다. 

회화를 향한 작가들의 순수하고 다양한 탐색의 과정, 그리고 거기서 파생되는 아름다운 환영들을 만나볼 수 있는 《Painterly Shadow》는 다음달 4월 5일까지 을지로 청계천의 더 소소에서 진행된다.  





페인터리 섀도우 Painterly Shadow

양기찬

그림자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그림자의 원형이 되는 존재와 그를 비추는 빛이 수반되어야 한다. 빛이 밝게 빛나도 이와 부딪힐 대상이 없다면 그림자는 성립되지 못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이 조건 속에서 실물의 외양을 흉내 낸 그늘의 모양은 변덕스럽다. 지상으로 빛이 닿는 시간은 제한적이고, 자연 속의 광원은 멈추질 않고 끊임없이 이동하니, 음영이 지는 면적과 각도도 수시로 변할 수밖에 없다. 심지어 그늘의 주인에 따라, 그리고 그늘이 닿는 지면의 굴곡과 질감에 따라 그림자는 제 모습을 달리한다. 이러한 그림자의 성질을 빗대어 고대 아테네의 철학자, 플라톤은 지금까지도 잘 알려진 이데아론을 동굴의 우화로 펼쳤었다.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린 그의 이론에 따르면, 현실의 세계는 원본인 항구적 실재를 본뜬 그림자에 불과하다고 진술한다. 영구불변의 본질을 진실로 수용하지 않는 오늘날에는 호소력을 잃은 논증이긴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현대의 관점에서 주목해 볼 부분은 이데아의 여부에 있지 않다고 본다. 그보다는 그가 일상에서 목격한 그림자를 통해 물리적으로 감각할 수 없는 세계를 문학화 한 시도에 있다. 이 고대의 철학자는 현상계를 헛것으로 치부했지만, 역설적이게도 이 덧없는 현실의 경험에서 그는 자신의 이데아를 연상하고 정립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이번 전시에서 ‘섀도우(Shadow)’는 창작자들이 목도한 세계, 그리고 그것의 환영을 비유하는 말로 채택되었다. 특별히, 여기에 등장하는 이미지들은 감광 반응으로 구현된 구체적이고 정밀한 재현이 아닌, 페인터(painter)들의 관찰과 사유, 그리고 몸으로부터 형성된 엉성한 허상들로 가득하다. 

기계의 눈도, 몸도 아닌 불완전한 육신과 물질의 맞닥뜨림 속에 그려진 형상들은 디지털의 광명이 제시 못하는 육체적 실존을 갖춘다. 빛보다는 감촉이 느껴지는 안료, 차원 넘어가 아닌 현실에 걸려 있는 오브제로 회화는 스스로를 만질 수 없는 신비로부터 거리를 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전하는 몸체와 반대로 회화가 품은 환영은 밝혀질 수 없는 미지로 여전히 놓여 있다. 물리적으로는 획들이 쌓인 레이어들의 집합이지만, 그것이 이루는 상은 무언의 상황을 연상케 하는 신기루이기 때문이다. 이를 그저 망막의 착시로 단념하기에는 그 속의 미시 세계가 불러일으키는 기시감과 불편함은 보는 이에게 사건적이며, 물질로는 실존적이다. 이처럼 <페인터리 섀도우(Painterly Shadow)>는 회화로 구성된 전시이지만, 한편으로 회화라는 대명제로만 논증할 수 없는 페인터리(painterly) 이미지들이 편재하고 있다. 각 이미지 속에는 귀결되지 않을 서사나 상징을 유추하게 만드는 도상들이 등장하나, 공교롭게도 이 존재들은 회화적 상태로 존립하려는 목적성 이외에 외적인 맥락을 전면으로 내세우지 않는다. 이들의 내용을 외부에서 발견하고자 한다면 되려 미궁 속에 빠져들기 마련이다. 앞선 특징을 염두한다면 작가들의 태도는 형식주의에 근접하나, 추상회화가 아닌 여러 회화적 장르로 분립한다는 점에서 다른 갈래의 순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특정 장르에 대한 관례적 답습에서 비롯되기보다, 각 작가들이 회화의 체계 속에서 달리 주목한 성질들을 집약적으로 탐색하여 다분화 한 결과로 비추어진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참여 작가들은 자신들의 처지에서 접할 수 있는 감각, 그리고 평면 오브제와 안료의 물리적 성질로부터 회화의 단서들을 수집해 나간다. 그로부터 파생된 이곳의 회화들은 단일한 매체성을 선언하는 대신, 회화의 단면을 밝히는 회화적 환영들로 소개가 된다. 

회화적 이미지를 발현하고자, 현실의 존재들을 본래의 의미로부터 일탈시키는 작가들이 있다. 화면을 손상시키는 방식에 관심을 두는 권봉균 작가는 현실의 존재를 매개의 대상이 아닌, 회화에 침투할 실재로 바라본다. 그는 회화의 매개성을 의식하는 듯 하나, 그렇다고 회화 속의 존재를 선명하게 묘사하여 완전히 밝혀내지 않는다. 작가는 점묘에 가까우면서도 획과 획의 경계를 뭉개는 붓질을 통해, 생명체나 일상의 풍경을 초점 흐린 화면처럼 구현한다. 사실화로 비추어지더라도 뚜렷하지 않은 재현으로 도상을 담았기에, 그의 그림을 마주한 이는 회화 밖의 실체와 회화의 현전 사이의 격차를 실감하게 된다. 때문에 그의 사실적 회화는 피사체가 회화로 제시되면서도, 동시에 회화가 피사체로 제시되는 무경계성을 갖춘다. 

원민영 작가는 권봉균 작가와 마찬가지로 구상화를 그리지만, 이미지를 조합하여 현실에 있을 법한 허구의 장면을 만드는 차이가 있다. 그는 피나 사체와 같이 현실에서 기피하는 대상, 혹은 찰나에 나타났다가 망각된 인상을 파스텔 톤의 회화로 박제하여 부패하거나 사라지지 않을 상태로 탈바꿈한다. 대상을 그림으로 변형할 때, 작가는 작은 붓의 촘촘한 묘사로 마티에르(matière)를 최소화하여 이미지의 표면을 고르고 평평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한 그의 회화는 사진만큼이나 평면성이 도드라지고, 타일처럼 두께감이 있는 오브제로 정돈된다. 이처럼 그는 바라볼 수 있으나 어루만질 수 없는 회화의 환영과 평면성을 부각하여, 회화를 소멸될 수밖에 없는 존재를 보존하는 장치로 해석한다. 
원민영 작가가 그랬듯, 김현진 작가와 윤현준 작가는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회화적 이미지를 창작해낸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들은 중력을 거스르는 상황을 서슴없이 표현한다는 것이다. 김현진 작가는 창작자가 대입한 서사성이 아닌, 회화 스스로가 독립된 서사성을 보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불을 내뿜는 날개 달린 뱀”(용)처럼 문학에서는 텍스트로 불가능한 조합이 가능하듯, 작가에게 있어 그림은 형상들 사이의 경계가 교차하고 융합될 수 있는 신비의 매체다. 공간에 벗어날 수 없는 조각과 선형적 시간에 속박되는 영상과 다르게, 그는 회화를 공간과 시간의 제약에 메이지 않는 육화(肉化) 된 판타지(Fantasy)로 바라본다. 작가는 이러한 회화의 주어진 조건을 감추지 않고 되레 자유로이 활용하여, 공중 위에 새겨진 문구, 하늘에 떠 있는 얼굴 등의 기묘한 장면을 그려 나간다. 어디까지나 허구의 산물일 뿐, 어느 설화에 유래를 두고 있지 않은 그의 그림들은 관객들에게 여러 갈래의 이야기를 연상케 할 객체로 존립한다.
이미지들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원리는 유사하나, 윤현준 작가는 서사의 개연성조차 허용하지 않을 불시의 상황을 화면 속에 표현한다. 도상과 기호의 통상적 의미를 흩뜨리고, 상식 범위의 상황으로부터 일탈하고자 그는 여러 출처의 이미지들을 중첩하며 그려간다. 실제로 작가는 작품의 소재를 채택할 때, 이미지들의 의미보다 색상과 형태 등의 물리적 성질에 주목하는 편이다. 선택한 이미지들의 접합 속에서 그는 그림이 완성되는 순간을 맞이하지만, 이를 부정하고자 획을 긋고, 그로부터 분해된 장면을 다시 다른 이미지와 획들로 덧입힘으로 또 다른 완성에 도달하길 반복한다. 이처럼 완성과 와해를 넘나들며 작가가 종착하고자 하는 지점은 개념을 위한 회화도, 회화를 위한 회화도 아닌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적 환영이다. 즉, 그는 해석에 반대하는 현상으로써 회화를 추구하고, 텍스트의 정립을 부정함으로 해석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미지가 선행을 하는 사례도 있지만, 반대로 드로잉의 몸짓에서 비롯된 예측 불허의 이미지들도 있다. 실제로, 오병탁 작가는 자신의 회화를 그저 드로잉의 부산물일 뿐이라고 얘기한다. 그림의 소재로 선택된 대상들은 주로 그가 살아가는 반경에서 발견된 것들로, 이 중에서도 작가는 움직임과 진동같이 고착화된 형태로 표현할 수 없는 역동성에 관심을 둔다. 그렇다 보니 그의 붓질은 격정적이고 속도감이 있으며, 이로 표출된 생동은 파편화된 선과 면으로 휘갈겨져 있다. 구체적인 대상보다 자신 앞에 생경한 세계의 운동을 드로잉의 근거로 삼는 그의 입장은 설치로도 나타난다. 집합된 드로잉을 단일한 덩어리로 바라본다는 작가는 드로잉과 드로잉을 연결하여 드로잉의 규모를 확장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드로잉들을 조직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진 총합은 외부 세계의 매개물이 아닌, 드로잉 자체로부터 자생한 풍경이기도 하다. 

신동민 작가 또한 구상보다는 드로잉의 과정이 중대하게 작용한다. 목탄으로 그려진 그의 흑백 형상은 양감을 가진 듯한 착각을 주며, 형상들의 뒤엉킴 때문인지 공간의 시작과 끝이 모호하다. 그는 그림을 그릴 때, 특정한 이미지를 전제하지 않고 그리는 순간의 유기성에 몰두하는 편이다. 때문에 대상 자체보다는 그리는 과정 속에서 직관적으로 구현한 형상과 이를 보고 다시 연상한 다른 잔상을 이어 그리는 단계로 화면을 채운다. 목탄의 우발적 표현과 작가의 심상이 결부되어 구현된 존재는 그 근원을 명료하게 지명하긴 어려워 보인다. 근래에 그는 이 알 수 없는 그림 속 형상들을 사각형의 형태로부터 해방시키려고 한다. 그 실체는 아마 다른 모양이었을 거라 짐작한 작가는 그림의 형상을 모양에 따리 찢고 입체로 설수 있도록 구조화를 하여, 실체로 복귀시켜 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회화의 속성을 극단으로 선언하던 모더니즘 페인팅에 동조하지 않지만, 여섯 명의 작가들은 회화에 대한 입장에선 여전히 회화를 매개의 수단이 아닌 스스로 자명하는 매체이자 세계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들에게 회화의 본질은 평면성 보다는 체계이며, 복합적 성질들(평면성, 환영, 조형, 획, 안료, 지지대 etc.)로 이루어진 체계는 끝내 단언할 수 없는 추적의 대상이다. 어쩌면 실존하는지도 불분명한 회화의 고유성보다, 회화와 현실의 틈새 속에 파생된 회화적 이미지가 각 작가에겐 고유한 것으로 다가왔을지도 모르겠다. 따라서, <페인터리 섀도우(Painterly Shadow)>는 역사와 담론에 준거하지 않는 분열된 회화, 실존적 독립을 모색하려는 현장으로 조성이 되었다. 


Curators

노충현 Choong-Hyun Roh
도시 풍경으로 잘 알려진 노충현(b.1970)은 홍익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하였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자신이 살아가는 주변의 일상에 시선을 보내는 회화 작업을 이어가면서 신진 작가들을 위한 기획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양기찬 Kichan Yang
양기찬(b.1994)은 건국대학교 현대미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과에 재학중이다. 자신의 예술세계를 설치작업으로 풀어내는 작가이자, 다수의 전시를 기획한 기획자로서 예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권봉균, Bird Strike, 2023, oil on canvas, 145.5 x 112.1 cm


권봉균 Kwon Bongkyun
b.1994

학력
2021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2022~ 세종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재학

단체전
2024 Painterly Shadow, 더 소소, 서울



김현진, 피아노, 2023, oil on canvas, 162 x 130.5 cm


김현진 Kim hyunjin
b.1995

학력
2015~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재학 

개인전
2024 사랑, 상히읗, 서울 
2023 고치, m3ta, 서울
2022 paDdock7_24, 갤러리175, 서울

단체전
2024 Painterly Shadow, 더 소소, 서울
2023 The Most Wining Lottery Store, Tiger Strike Asteroid, LA
New Hermit, 얼터사이드, 서울
마음속, 봄바니에 뉴욕, 서울
2022 All tomorrow’s parties, 아트스페이스3, 서울
Lily, WESS, 서울
Perigee Winter Show, 페리지갤러리, 서울
전시 후 도록, WESS, 서울 


 

신동민, sleepsleep, 2024, charcoal on paper, 205 x 562 cm

신동민 Shin Dongmin
b. 1994 

학력
2021 영남대학교 한국화 전공 졸업
20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과 재학

단체전
2024 Painterly Shadow, 더 소소, 서울
2023 Tik Tac Toe, 파이프 갤러리, 서울
c’ est la vie, 대구문화예술회관 미술관, 대구
as my taste, 백해영 갤러리, 서울
2021 틈을 접어 만들면, 서왕공원, 서울 
2020 freer plant, 수창청춘맨숀, 대구


  

오병탁, 풍경화, 2023, oil on canvas, 130 x 194 cm


오병탁 Oh byungtak
b.1986

학력
2012 인하대학교 미술대학 평면조형 졸업
2022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전문사 졸업

개인전
2022 점령하다, 갤러리175, 서울

단체전
2024 Painterly Shadow, 더 소소, 서울
2023 에버레버 아트 프로젝트, 성북문화재단, 서울
      JUMPING OFF POINT, 이유진 갤러리, 서울
      제길, 딸꾹질이 멈추질 않아, KOTE, 서울
2022 OPEN STORAGE, BGA INDEX, 서울
2021 HANGMAN, 창성동 실험실, 서울

수상 및 지원
2021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아카이브 작가 선정





원민영, 나비 튀김, 2023, oil on canvas, 90.9 x 60.6 cm


원민영 Minyoung Won 
b.2000 

학력 
2024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2024~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서양화과 재학 

단체전 
2024 Painterly Shadow, 더 소소, 서울






 

윤현준, 세상을 위협해왔던 안개의 마수를, 2019, acrylic and oil on canvas, 234.9 x 112.1 cm


윤현준 Yun hyeonjun
b.1995

학력
202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20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과 재학

개인전
2023 Bike on painting, 에브리아트, 서울
2022 Paint on paint, 에브리아트, 서울

단체전
2024 Painterly Shadow, 더 소소, 서울
2022 New type, 에브리아트, 서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