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초록엄지-일의 즐거움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초록엄지-일의 즐거움
Green Thumb-The Joy of Work

“워라밸(Work-Life Balance)에서 워라인(Work-Life Integration) 시대
정원일에서 찾는 행복한 일의 원형”

“오래된 정원사의 일하는 손가락이 보여주는 미래사회 일 이야기”

“현대미술작가들과 정원사가 아이들과 함께 그리는
직업이 아닌 좋은 일과 삶에 관한 전시”

전시일정ㅣ2019.4.13 (토) - 9.1(일) 
전시장소ㅣ블루메미술관 전관, 야외중정
참여작가ㅣ김도희, 박혜린, 베케 더가든, 슬로우파마씨, 아리송
북큐레이션ㅣ박쥐서점X클랩 
전시협력ㅣBear매거진, Jahngso, 성낙중 스튜디오
전시후원ㅣ한국문화예술위원회
부대행사ㅣ클랩과 함께하는 미술관 속 어린이 음악회 4.20(토) 3PM
연계교육프로그램ㅣ에듀케이터의 해설이 있는 미술관 <Little Spark, Big Grow> 4.13-9.1
미술관 문화가 있는 날<일의 즐거움을 찾는 미술관 워크숍> 3.1-8.31


정원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을 담은 전시로 주목을 받아온 블루메미술관은 정원 시리즈로 미래사회를 예측한다. <초록엄지-일의 즐거움>은 우리가 현대사회에서 평생 힘겹게 지고 가고 있는 일의 원형을 정원일에서 발견해보고자 하는 전시이다. 이 전시는 빠르게 다가오는 미래사회 일의 속성을 가장 오래된 정원일에서 찾는다. ‘머뭇거림, 타자에 대한 놀라움, 기다림과 무한함’ 같은 정원일의 속성이 직업의 범주를 떠나 미래 행복하게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될 것이라 예측하며 이를 현대미술작가들 그리고 타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그려보려 한다. 

현대사회는 일에서 행복을 찾지 못한다. 여가를 사며 일로 소비한 시간을 위로한다. 일자리를 찾아다니면서 일은 찾지 않으며 아이들에게 직업에 대해서는 가르치나 평생 ‘일’을 하게 될 것이라 이야기하지 않는다. 직업을 점유할 것인가 일을 향유할 것인가라고 묻는 『일철학』 책의 저자가 근대의 노동관에서 벗어나 온전한 일의 정신성을 갖춘 사람들이 선도해갈 시대를 앞두고 있다는 말처럼 가까운 미래사회 일상을 지배하는 일의 영역에서 그 원형을 돌아보고 변화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의 성과를 위해 자기자신을 착취하기까지에 이른 과잉과 분주함의 시대를 ‘피로사회’로 표현한 철학자 한병철은 근간 『땅의 예찬』에서 정원일의 즐거움을 이야기했다. 에덴정원에서 신이 준 축복의 일부였던 일이 그 본래적 가치를 잃어가고 있는 가운데 정원에서의 일 개념은 일하는 인간의 삶을 어떻게 회복시켜주는가? 이 전시는 정원사의 손에 주목한다. 모니터 앞의 작은 손가락으로 축소되어 가는 인간의 모습을 목도하며 정원사의 초록으로 물든 엄지, 그 일하는 손가락은 다가올 새로운 시대 역시 매일 일하며 살아갈 누군가의 모습에 어떤 영감을 주는가? 고된 노동(labor), 비효율적인 행위(action)와 기다림이 긴 작업(work)인 정원일은 왜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고 그 기쁨은 인간의 조건인 일하는 삶 자체에서 찾을 수 있어야 할 행복과 겹쳐지는 것인가?

흙일, 식물과의 일을 벌이는 정원에서 정원사는 바쁘게 움직인다. 그러나 그 움직임에는 언제나 멈춤이 있다. 땅의 시간에 맞추어 과정적인 시간이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기계는 할 줄 모르는 ‘머뭇거리는’ 능력에 주목하는 한병철의 전망과 같이 정원일의 더딤과 고요함, 한가로움은 앞으로 나아갈 사회가 품을 일의 속성에 가 닿아 있다. 보다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이 될 미래사회에서 일은 주어진 틀 안에서 쳇바퀴 돌 듯 속도를 내는 것이 아니라 영감을 위한 여가와 일의 경계가 사라지고 자신이 조정하는 이완과 머뭇거림의 공간 안에서 놀 듯 일하고 일하듯 노는 모습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머뭇거릴 줄 아는 정원사의 모습은 예술가의 일하는 모습에 그대로 겹쳐진다. 대자연의 섭리를 이야기해 온 박혜린 작가는 그 거대한 시간의 원리를 멈춤의 경험, 함께 노니는 소요의 경험을 통해 관객들과 함께 느린 풍경으로 만들어간다.

모든 것이 정량화, 균일화하는 디지털 사회는 어딜가나 똑같은 삶을 목격하게 한다. 세계는 모니터크기로 줄어들고 관계는 사라진 채 경쟁만 남아있다. 이러한 균질의 시대에 정원사는 늘 변화하는 살아있는 것들을 마주한다. 정원의 땅은 몸을 가진 각자를 개별화하고 망막의 감각만 남은 디지털시대에 정원일은 인간이 대지 위에 설 기회를 준다. 그리하여 나와 다른 타자에 대한 놀라움을 회복시킨다. 정원사의 걱정하는 손은 자아를 저 자신에 갇혀있는 상태에서 해방시키고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함께 걷고 있음을 매일 제 몸으로 경험하게 하며 세상과 관계맺고자 하는 일 본연의 가치와 의미를 다시금 깨닫게 해줄 것이다. 자신의 손놀림으로 모내기와 같은 연대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아리송의 작품과 끊임없는 몸의 노동으로 치우고 가꾸고 돌보는 정원사의 하루 일을 경험하게 하는 슬로우파마씨의 공간은 정량화할 수 없는 온전한 나 그리고 우리가 되어 일하는 모습을 그려낼 것이다. 
 
인간 유전자에 새겨진 일하는 삶이 더불어 사는 즐거움을 비껴가게 만드는 것은 효율중심의 사회이기 때문이다. 현대사회는 현재적 효능성이 큰 하루를 늘이는데 온 관심을 쏟는다. 그러나 정원에서 하루의 가치는 수치화하고 계획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에 편입된다. 하루가 닫히며 기능함을 증명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긴 미래를 향해 성장하고 있음을 느끼게 하는 정원일은 순간에 모든 것을 쏟아 붓고 마는 소모적인 사회가 곧 그 스스로 거대한 생명의 원리에 속함을 알며 보다 길고 멀게 나아갈 줄 아는 이들의 손으로 만들어질 미래사회의 일터에 많은 부분을 내다보게 만든다. 파종에서 수확까지 인간의 행위를 받아들이는 간척지 땅의 흙을 전시장으로 들여오는 김도희 그리고 미술관의 중정에 자연이 그 스스로 만들어가고 가꾸어가는 지속가능한 생태정원을 일구는 제주 베케 더가든의 작품은 예측불가능의 무한한 흐름안에서 진정한 자유함을 회복하는 인간 본연의 일의 원형을 찾아갈 것이다. 

일 자체에서 행복감을 찾을 수 있는 좋은 일, 좋은 삶에 대한 관심이 자라나는 아이들의 마음에 심겨져 있었으면 한다. 화폐가치로 환산되는 일자리에 대한 관심보다 새로운 관계성에 눈뜨게 해주는 느리지만 풍성하고 무한함을 느끼게 해주는 그런 일 말이다. 초록엄지는 직업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정원에서 초록빛으로 물든 엄지는 일 가운데 깊은 심심함에 빠지기도 하고 거대한 흐름 안에서 나를 발견하며 타자에 대한 놀라움을 회복하게 하는 일하는 손가락이다. 미래를 향해있는 그 일하는 손가락을 지금의 정원에서 발견할 수 있다.  

2. 교육프로그램  

에듀케이터의 해설이 있는 미술관 <Little Spark, Big Grow>
정원사가 계절에 맞추어 정원을 가꾸듯 내면을 가꾸는 초록엄지가 되어 미술관에서 좋은 삶을 위한 마음을 가꾸어보는 것은 어떨까? 전시메시지를 매달 다른 키워드로 해석하는 에듀케이터의 해설이 있는 미술관 <Little Spark, Big Grow>를 통해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가치의 씨앗들을 성장시켜본다. 4월에는 정원사가 식물을 심기 전 흙을 고르듯, 나의 취향을 알기 위한 마음의 토양을 다져보는 ‘흙 다지기: 내 마음의 토양알기’가 진행된다. 작품에 숨겨진 우리 삶 속의 가치관들을 찾아내어 ‘내 마음 토양 설명서’를 만들어보고 좋은 삶, 좋은 일을 위한 내면적 토대를 스스로 가꾸어 본다. 5월에는 ‘타자에 대한 놀라움의 회복’, 6월에는 ‘취향의 잡초 뽑기’ 등 한해 동안 자연의 흐름에 따라 내면을 돌보는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미술관 문화가 있는 날’ <일의 즐거움을 찾는 미술관 워크숍>

북큐레이션으로 만나보는 행복한 일 이야기
클랩과 함께하는 미술관 속 어린이 음악회 

올해 새롭게 개설된 성인대상 워크숍과 더불어 꾸준한 호응속에 많은 이들이 기다리는 가족 음악회 그리고 북큐레이션 공간도 준비되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주관하는 <미술관 문화가 있는날>의 일환으로 기획된 <일의 즐거움을 찾는 미술관 워크숍>은 심리, 가드닝, 출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다가오는 미래 일의 방식을 모색하며 ‘일하는 삶’에 대한 전시 주제를 다층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3월에는 제주를 근간으로 활동하는 정원사 베케 더가든의 김봉찬 대표가 <지속가능한 생태정원-Grass Garden>을 주제로, 부모교육전문가 그로잉맘 이다랑 대표는 <아이와 삶을 키우는 엄마라는 일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기다리고 키우며 성장하는 일의 의미를 관객들과 소통하였다. 4월 26일에는 다양한 장르의 일하는 사람들을 주제로 한 매거진 ‘BEAR’의 서상민 대표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 떠난 사람들을 만난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한다. 

전시장안에는 ‘행복한 일을 하는 사람들’을 인터뷰해 온 BEAR매거진들을 직접 살펴볼 수 있는 공간과 박쥐서점과 클랩이 큐레이션한 그림책들을 미술관의 다락방에서 천천히 읽어볼 수 있어 전시를 책이라는 매체로 느리게 만나볼 수 있다. 
 
지난해에 이어 전시장에서 진행하는 관객참여형 음악회로 그림책과 작곡음악으로 전시를 다층적으로 해석하는 클랩과 함께 성인 관객뿐 아니라 어린이 관객에게도 전시의 이야기를 풍성하게 전달하고자 한다. 4월 20일 진행되는 음악회에서는 <호랑이 씨 숲으로 가다(Mr. Tiger Goes Wild)>책을 주제로 살고 싶은 대로 사는 법을 숲 속에서 찾은 호랑이씨처럼 음악 안에서 가장 나다운 행복한 삶의 원형을 찾아본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