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미메시스 AP1:리얼리티 쇼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 소개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관장 홍지웅)은 2018 <MIMESIS AP1: REALITY SHOW> 전시를 개최한다. MIMESIS AP는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며 도발적인 작업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아티스트를 선정하여 소개하는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의 아티스트 프로젝트이다. 그 첫 번째 전시인 <MIMESIS AP1: REALITY SHOW>는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재고하며, 실재하지 않는 판타지를 통해 현실 세계를 말하는 세 명의 젊은 작가 – 이지영, 우정수, 박기일을 소개한다. 이들은 어둡고 부조리한 사회의 이슈들과 무거운 인간의 본성과 욕망을 때로는 아름답게 때로는 가볍게 풀어낸다. 사회에서 <보고 관찰하는 자>로서의 역할을 택한 예술가의 실천은 메타포가 있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좌) 이지영, 인물원-두 단체, 종이에 연필, 113x83cm, 2016
(우) 이지영, 거부할 수 없는 사건, 종이에 연필, 91x72.5cm, 2017

이지영은 사회 제도에 길들여진 인간상을 동물원에 비유해 세밀한 연필화인 <인물원> 연작을 2008년부터 그려왔다. 이지영은 자신의 본능을 잃어버리고 길들여진 삶을 살아가는 동물원의 동물과 같이, 사회 속에서 사회가 원하는 인간으로 교육되고 길러지는 인간 삶의 단면을 표현하고 있다. 자연을 보고 싶어서 찾아 간 곳이 인위적으로 동물이나 자연을 가둬놓은 동물원, 청계천같은 공간이었던 작가의 내밀한 경험은 작업의 근간이 된다. 이지영의 <인물원>은 작가가 동물원을 보면서 사실은 사회라는 곳에 갇혀 있는 게 본인 자신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제도, 틀, 굴레에 갇힌 인간들의 모습으로 채워진다. <인물원> 속 검은 산수는 자연의 산수가 아니다. 그것은 동물원 곳곳에 놓여 있는 인공의 바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 인공의 바위는 <인물원>의 인물들을 보호하는 집인 동시에 인간의 본성을 가두는 사회의 규율이나 법, 사회가 원하는 보편적 상식이나 체계를 의미하는 울타리이다. <어떤 공동체>(2017)는 호수 공원에서 누가 정한 것도 아닌데 한 방향으로 산책하고 있는 우리네 모습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인물원>의 인물들은 모두 다 한결같이 수영복과 같은 최소한의 옷을 입고 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개성없는 군중과도 같다. 이러한 인물들의 몰개성과 획일화, 그들의 욕망과 혼란을 이지영의 <인물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정수, 세기말증후군, 종이위에 펜과 수채화, 50 x 31 cm, 2013

우정수는 <Calm the Storm>(2018), <산책자 노트>(2017), <책의 무덤>(2016) 연작에서 사회의 부조리한 단면을 문학과 성경, 신화와 민담과 같은 레퍼런스를 가지고 서브컬쳐(하위문화)를 통해 표현한다. 우정수는 <불한당의 그림들>(2015)에서 만화적인 기법이나 영화적인 연출의 드로잉으로 불가항력적인 사회 시스템 안에서 그럴 듯하게 구축된 현실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고스란히 드러냈고, <산책자 노트>(2017)에서는 종이에 빠르게 그려진 검은 잉크 선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과 독특한 풍경을 그림으로써 이 사회를 비판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예술가의 냉소적인 시선과 태도를 취하고 있다. 우정수는 관찰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지난 역사 속 크고 작은 사건들을 희화화된 인물과 동물, 그리고 독특한 장면들로 풍자해 왔다. 그는 2017년 작인 <우로보로스>에서 자신의 꼬리를 잡아먹으면서 새롭게 태어나는 고대 신화 속 존재를 빌려와, 예측불가능한 자연과 종교적 맥락에서 가져온 초월적 존재들, 그리고 그것을 거스르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는 작가의 변화된 작업 방향을 암시하기도 하는데, 완성된 형태로 제시하던 서사는 탈맥락화되어 전혀 다른 상징들로 재조합되기도 한다. 우정수는 사회의 단면을 묘사하는 방식에서 상징이 패턴화되고, 서사가 읽히는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양식을 실험하고 있다. 거대한 서사시같이 느껴지는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책, 원숭이, 도깨비, 난파선, 거대한 파도 등의 소재들과 기괴한 상황들은 좀처럼 이해하기 힘든 우리의 현실을 대변한다.
 

우정수, 프로타고니스트, 캔버스에 아크릴릭 과슈와 잉크, 200x200cm, 2018

박기일은 자동차 엔진 연작(2009-2010)에 이어 피규어 연작(2011-2014)을 선보인 바 있다. <시각적 소유>라는 기발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피규어 연작은 시중에 판매중인 피규어가 아닌, 작가가 선택한 특정 인물들을 소재로 한다. 실존했던 화가 프란시스 베이컨, 루시안 프로이드뿐 아니라, 앵그르와 같은 화가의 작품 속 등장인물을 상자에 가두기도 한다. 상자에 갇힌 인물들은 그 인물들과 관련된 사물들과 같이 배치된 채로 피규어로 그려져 <진짜> 캔버스 위에 한번 더 갇히게 된다. 누구라도 관심있게 본다면 알아차릴 수 있는 유명한 인물들이 <사물>이 되었다. 그림으로 소유한다. 이러한 소유의 개념은 물건을 구입하는 사람들의 경제적, 상징적 가치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캔버스에 재현하고 가두어 소장하는 회화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담는다. 박기일은 사각 캔버스 안의 또 하나의 사각 프레임으로 종이 상자, 쇼 윈도우, 옥외 간판을 묘사하고, 이 안에는 사건이나 이야기, 작가가 바라는 현실을 반영시킨다. 2017년 작 <Make a cloud>, <The iceburg>, <red sky>에는 높은 벽에 줄을 타고 올라가서 구름을 그리는 사람, 사다리나 크레인을 타고 올라가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있다. 이 작품들에도 사각 프레임이 등장하는데, 캔버스이다. 캔버스 안의 캔버스. 그리고 그림 속의 캔버스에는 캔버스 밖만큼이나 리얼한 풍경이 담겨 있다. 캔버스 밖이 현실일까, 캔버스 안이 현실일까. 박기일은 비현실적인 상황 속에서 제작하고 노동하는 예술가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판타지로 구현한다.■정희라
 

박기일, In joy, 캔버스에 아크릴, 91x64cm, 2017

 

(좌) 박기일, R-Bacon, 캔버스에 아크릴, 145x112cm, 2014
(우) 박기일, R-Freud, 캔버스에 아크릴, 145x112cm , 2014

작가 소개

이지영(Ji Young Lee, 1980~)
1980년에 태어난 이지영은 성신여자대학교 동양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2006년 진흥아트홀에서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2008년 미술공간 현 <인물원>, 2010년, 2013년 아트스페이스H <검은 인물원>, 2017년 갤러리 밈에서 <인물원-first apple>과 같은 개인전을 가졌으며 헬로우 뮤지엄, 소마미술관, 대한공간 루프, 신한갤러리 외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2006년 소마 드로잉센터 아카이브 작가로 선정된 바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헬로우 뮤지엄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이지영, first apple2, 장지에 연필, 아크릴채색, 130×140cm, 2017



우정수(Jeong Su Woo, 1986~)
우정수는 1986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사 및 전문사를 졸업했다. 2014년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 아티스트로 선정되었고 이후 OCI 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금호미술관에서 젊은 작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15년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불한당의 그림들>, 2016년 OCI미술관 <책의 무덤>, 2018년 금호미술관 <Calm the Storm>등 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2010년부터 성곡미술관, 갤러리 화이트블럭, 아마도예술공간, 두산갤러리 외 다수의 단체전과 2018년 <제 12회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에 참여하였다.

우정수, 누아르 시리즈 중에서, 종이 위에 잉크, 2014



박기일(Ki Ill Park, 1981~)
1981년생인 박기일은 계원 조형예술대 매체 예술과, 국민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2005년 윈도우 갤러리 현대에서 선보인 첫 개인전 이후로 2009년, 2011년 갤러리 포월스 <Sealed Box>, 2014년 The Gallery D <Plastic Memory>, 2016년 더 트리니티&메트로갤러리 <Flashback>, 2017년 올미아트스페이스 <Matte Shot>의 개인전을 가졌다. 소마 미술관, 자하 미술관, 경기도 미술관 등 다수의 전시에 참여한 바 있으며 2010년에는 서울 난지 창작 스튜디오 5기 입주작가로 선정되었다. 현재 서울시립미술관과 경기도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좌)박기일, Make a cloud 1, 캔버스에 아크릴, 90x180cm, 2017
(우)박기일, Make a cloud 2, 캔버스에 아크릴, 90x180cm, 2017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소개

 

Photographed by Fernando Guerra ⓒ Openbooks.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대지 1,400평에 연면적 1,100평으로, 지상 3층(지하 1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양한 크기의 여러 개의 전시 공간이 하나의 덩어리에 담긴 설계로 유명하다. 다양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백색의 전시 공간은 가급적 인조광을 배제하고 자연광을 끌어 들여 은은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시시때때로 변하는 빛의 향연을 볼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상업적인 전시 공간으로 방문객을 유혹하는 것이 아닌 건축 자체로 전시 이상의 큰 즐거움을 선사하는 공간이 되고 있다. <알바루 시자가 설계한 브라질의 이베리카르 마구 미술관보다 전세계적으로 더 많은 방문객을 끌어 모을 것>이라는 포르투갈의 유명한 건축사진작가 페르난두 게하의 말처럼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개관 전부터 각종 해외 매체에 소개되었으며, 국내외 건축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도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앞으로 <상상력을 자극하는 예술>을 적극 소개해나갈 예정이다.

건축가: 알바루 시자 Álvaro Siza
<모더니즘 건축의 마지막 거장>이라고 불리는 포르투갈의 건축가. 외형적 화려함보다는 사용자를 배려한 기능을 추구한다. 대표작으로 포르투 세할베스 현대 미술관, 아베이루 대학교 도서관, 리스본 엑스포 파빌리온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을 비롯해, 안양 알바루 시자 홀, 아모레퍼시픽 연구원을 설계한 바 있다. 1992년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고, 1988년 미스 반 데어 로에 유럽 현대 건축상, 2001년 울프 예술상, 2002년, 2012년 두 번에 걸쳐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황금사자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Photographed by Fernando Guerra ⓒ Openbooks.





이지영, 그녀의 역사, 장지에 연필, 색연필, 117×91cm, 2017


관람안내
전시명: MIMESIS AP1: REALITY SHOW
일정: 2018년 11월 28일-2019년 1월 13일, 오전 10시–오후 5시(월,화 휴관)
오프닝: 2018년 11월 29일 오후 2시
관람료: 일반: 5000원 
학생(8-18세), 단체(20인 이상),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장애인: 4,000원  
미취학 아동(3-7세) : 보호자 동반 무료 입장
* 내부 사정에 따른 휴관 일정은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오시는 길
자가용 이용: 자유로를 타고 통일동산 방향, 파주출판단지 장월 IC로 진입. 주변 건물로는 <교보문고> 본사와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이 있습니다. 
버스 이용: 2200(합정), 200(일산) 버스 승차 후, <심학교> 정류장에서 하차

전시 문의
주소: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53, 파주출판도시,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전화: 031-955-410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