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대전비엔날레2018 : 바이오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대전비엔날레2018 : 바이오전
2018-07-17 ~ 2018-1024
대전시립미술관 외




대전 비엔날레
 
대전비엔날레 <프로젝트대전>은 과학예술융복합 전시로 기술과 자연, 인간을 통섭하는 격년제 예술 프로젝트이다. 과학과 예술의 융복합을 지속적으로 실행해온 대전시립미술관은 2012년부터 지금까지 과학도시의 정체성을 매개로 과학 관련 의제를 채택하여 대전의 과학기술 및 문화예술 인프라를 활용하여 국제적인 규모의 비엔날레를 개최해왔다.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인프라와 과학자들의 커뮤니티로 빚어진 과학도시대전의 정체성을 예술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통해 문화도시대전으로의 확장을 시도하고 과학예술융복합의 시대정신을 구현하고자 한다. 

2012년 1회에는 에너지라는 키워드로 인간 개체와 군집을 넘나드는 사회 과학의 에너지 문제를 다루며 하이브리드 기술이나 대안에너지 등 공동체의 미래에 관해 성찰적인 의제를 제시했다. 2014년 2회에는 브레인을 주제로 뇌과학의 의제들을 예술과 접목하여 뇌과학 기반의 테크놀로지와의 결합에 주목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다루었다. 그리고 2016년 3회에는 우주를 주제로 천체물리학과 행성, 시그널, 암흑물질 등 과학지식 기반 하에 작가들의 창의적인 정신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우주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끌어냈다.

이처럼 대전비엔날레는 과학예술의 관점으로 과학과 예술의 융합을 지향한다. 과학예술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인식을 넘어 과학적 이해의 바탕 위에서 예술적인 상상과 창의를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정치와 경제뿐만 아니라 전지구화 현상이 생활 곳곳에 있는 글로벌 문화시대에 대전을 발신지로 삼는 예술을 실현하고자 함이다. 대전발 과학예술을 향한 도전과 실험인 대전비엔날레는 전지구화의 대안책이자 상호지역주의의 문화적인 실천이다.



대전 비엔날레 2018 – 바이오
- 예술과 과학의 융합 –

전시기간 : 2018년 7월 17일  – 2018년 10월 24일
 
※ 개막식 : 2018년 7월 16일

전시장소 : 시립미술관, 창작센터, DMA아트센터, KAIST 비전관 갤러리 

주최 : 대전시립미술관, 씨앤씨티에너지, KAIST, 기초과학연구원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씨앤씨티마음에너지재단, 대덕넷  

협력기관 :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교육청, 대전문화재단 등

참여작가 : 수잔 앵커(미국), 페이잉 린(대만), 헤더 듀이-해그보그(미국), 드류 베리(미국/호주), 지하루 & 그라함 웨이크필드(한국/캐나다), 필립 비즐리(캐나다), 최우람(한국), 김형중(한국/독일), 피냐 욜다스(미국), 길베르토 에스파자(멕시코), 비씨엘(오스트리아/일본), 아르 오리엔떼 오브제(프랑스), 골란 레빈(미국), 스텔락(호주), 에기 헤인즈(영국), 루이-필립 데메르(캐나다/싱가폴), 김순례(한국/독일), 이병구(한국), 이병찬(한국), 러봇랩(한국), 드루필(한국), 리트리버(한국), 노상희(한국), 신승백, 김용훈



대전 비엔날레 2018 – 바이오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서의 대전이 갖는 과학예술적 정체성에 포커스를 맞춘 이번 대전 비엔날레 2018의 메인 테마는 ‘바이오'입니다. 바이오아트는 생물체 또는 생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매체나 주제로 다루는 작업을 의미하며 과학과 예술의 두 분야가 서로 융합되어 만들어지는 대표적 장르입니다. 바이오아트는 생물학에서의 정보론적 관점의 가능성과 위험성을 함께 탐구하며 그 논의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또 예술의 범위 역시 확장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바이오 미디어>, <디지털 생물학>, <불로장생의 꿈>, <인류세의 인간들> 이라는 소주제로 전시가 채워질 예정이며 2018 대전 비엔날레가 이러한 바이오 아트의 다양한 지평을 소개하는 담론의 장이 되고자 합니다. 


1관. 바이오 미디어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인해 박테리아, DNA, 미생물까지 미학적 수단이 되는 바이오 아트



헤더 듀이-해그보그 , Stranger Visions, 2012-13 


페이잉 린, Kaleidoscope of the Universes, 2016


90년대 뉴미디어의 혁명의 기술적인 진보는 현재 생물학과 관련된 바이오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바이오아트는 과학적인 방법론의 토대 위에 예술적인 상상력이 결합된 예술이다. 의학 기술의 발전과 유전공학 등 생명기술의 발전은 미학적인 표현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바이오아트가 구현하는 그 대상은 동식물은 물론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렵기에 도외시했던 미생물, 박테리아, 세포, DNA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경계를 다운 바이오아트를 소개하고 그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다. 


2관. 디지털 생물학

생명을 가진 유기체를 기계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한 새로운 관점으로 구현



최우람, Custos Cavum(Anima-Machine), 2011


필립 비즐리, Radiant Soil, 2012


생명을 가진 동식물 등 유기체를 기계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구현한다. 이러한 작업들은 각각의 운동방식, 동력을 예술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가상의 이야기가 담겨 있고 기계와 생명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변화, 확장된다. 


3관. 불로장생의 꿈

의학의 진보로 직접 신체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극복하는 포스트 휴면의 정체성이 강화



루이-필립 데메르, The Blind Robot, Robotic Art, Interactive installation, 2015


에기 헤인즈, Transfigurations, 2013


의학과 생물학의 진일보된 기술로 의해 신체 또한 예술가의 매체가 되었다. 이전까지 예술가들이 신체를 재현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신체에 대한새로운 도상을 구현하고 있다. 직접 의료기기나 과학적인 장비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화, 기계화하면서 신체를 강화한다. 이 과정에서 인체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극복하는 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이 촉발된다.


4, 5관. 인류세의 인간들

현재 인류 이후의 인간들인 우리가 당면해 있는 생명윤리의 사상적인 딜레마 논의



길베르토 에스파자, Autophotosynthetic Plants, 2014


아르 오리엔떼 오브제, Film and Relics of Original Performance, 2011


인류세는 1995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네덜란드의 화학자인 폴 크뤼천(Paul Crutzen)이 주장한 개념으로 현재 충적세가 끝난 뒤 새로운 지질시대를 뜻한다. 인류에 의해 생태계가 파괴되고 급변하는 자연환경을 극복해야 하는 ‘현재 인류 이후의 인간들'인 우리가 당면해있는 생명윤리의 사상적인 딜레마, 즉 유전자 재조합, 바이오해킹, 동물 실험 등 생명권력에 대한 논쟁을 다룬다.



대전 비엔날레 2018 
- 바이오 판타지 –

※ 전시장소 : DMA  아트센터, 엑스포 시민광장

※ 전시기간 : 2018년 7월 17일 – 2018년 10월 23일

4차 산업의 핵심의제인 바이오를 시각화하여 대전광역시의 예술 시각적 청사진을 제시 하고, 우리시의 정체성을 과학도시에서 문화도시로 확장한다.

DMA아트센터 공간 특유의 젊고, 창의적인 전시를 통해 어린이들의 과학예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이형구, Felis Animatus &Leiothrix Lutea Animatus, 2009


다양한 생물학적 혼종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대미술과 생태학적 실천의 확장적인 결합을 모색한다.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과제인 어린이들의 창의력 개발은 물론 전시와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 소통하는 미술문화를 정착한다. 

동시대에 발생 가능한 새로운 예술적 특성으로 전시 전체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 미술전시에 대한 창의적 시선을 도출한다. 



대전 비엔날레 2018 
- 아티스트 프로젝트 –

※전시장소 : 대전 창작센터, 카이스트 비전홀 

※전시기간 : 2018년 7월 24일 – 2018년 10월 12일

과학과 예술의 만남을 주선하는 <대전비엔날레 2018>의 분과 전시인 <아티스트 프로젝트(ArtiST Project)>는 예술가와 과학자의 창의성에 주목하는 영역간 융합 프로그램이자 전시이다. 과학도시 대전에서만 경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예술 융복합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새로운 창작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올해는 카이스트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작가가 기존에 연구하던 작업의 방식과 연구원 측에서 제공한 연구 자료들을 전시 안에서 재해석하여 선보인다. 



신승백·김용훈, Flower, 2016


□ 대전시립미술관 창작센터 <부분과 전체>

육안으로 포착하기 어려운 미세 감각에 집중한 작업을 소개하며 관상을 보는 인공지능, 미세먼지, 편집증을 시각화한 작품을 선보인다. 

□ 카이스트 비전관 <타자의 시선>

카이스트 CT대학원 출신 작가인 박승순, 신승백·김용훈은 테크놀로지를 이용하면서도 그것에 매몰되지 않는다. 예술가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술 그리고 미래. 



관람료 정보

성인 7000 원
학생 5000 원

※20인 이상 단체 관람 시 인솔자 무료관람

도슨트 정보

평일 11, 15시 / 주말 11, 14, 16시

※단체 예약은 20인 이상부터 가능하며 최소 일주일 전 예약하여야 함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