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The New Vision : 바우하우스에서 인공지능까지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17-09-01 ~ 2017-11-19

  • 참여작가

    하툴라 모홀리-나기, 김병호, 김 수, 양민하, 전준호, 애나한

  • 전시 장소

    M컨템포러리

  • 문의처

    02-3451-8199

  • 홈페이지

    http://www.m-contemporary.com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 개요

- 전시명 : The New Vision : 바우하우스에서 인공지능까지
- 전시 기간 : 2017년 9월 1일 – 11월 19일
- 장소 : M 컨템포러리
- 주최 • 기획 : M 컨템포러리
- 후원 : LE MERIDIEN SEOUL, MID CENTURY, PANASONIC, SIXINCH, MACALLAN, 곰표
- 협조 : 하툴라 모홀리-나기 (Hattula Moholy-Nagy)
- 총괄 디렉터 : 강필웅 M 컨템포러리 디렉터
- 기획 : 우현정, 하단비, 곽연재
- 참여작가 : 김병호, 김 수, 양민하, 전준호, 애나 한


전시 소개

M컨템포러리 개관 기념 특별전 <The New Vision : 바우하우스에서 인공지능까지> 개최

- “M컨템포러리” 개관 특별전, 현대 미디어 아트 선구자인 라즐로 모홀리-나기를 주제로 한국 대표 작가들의 새로운 접근
- 예술과 첨단 기술의 만남인 미디어 아트를 친근하게 대중에게 선보여
- “M컨템포러리” 비엔날레 출품 작가 전준호, 대형 키네틱 작품 “하늬바람” 설치해
- “M컨템포러리”,미디어 아트 진입 장벽 낮추는 대중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전시 개최

M 컨템포러리는 첫 전시로 오는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1월 19일까지 현대 미디어아트 선구자인 라즐로 모홀리-나기를 주제로 한 전시 <The New Vision : 바우하우스에서 인공지능까지>를 개최한다.

라즐로 모홀리-나기는 매체의 경계를 넘어서 과감하고 실험적인 조형 예술을 펼쳤던 멀티미디어 예술가다. 그는 기술이 인간의 시각과 지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기술을 단순히 예술 표현을 위한 도구로 생각하던 기존의 패러다임을 뒤엎고 예술과 기술의 조화를 추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빛과 움직임을 실험대상으로 삼아 빛과 시간, 공간을 인식하는 방식을 전환했다.

모홀리-나기의 작품은 현재보다 미래를 구축하려는 욕구를 반영한다. 그는 회화, 조각, 건축, 영화, 연극 등 조형 예술과 예술 전반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이런 혁신적인 실험을 바탕으로 1919년 월터 그로피우스가 만든 바우하우스 학교에 교수로 재직하며 후진을 양성했다.




<The New Vision>은 모홀리-나기와 같은 미래를 구축하는 ‘눈’으로 기술을 탐구하고 예술을 시대의 창으로 삼아 작품을 만나는 모든 이들에게 오늘날 예술의 역할이 무엇인지 묻는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김 수, 김병호, 전준호, 양민하, 애나한 작가는 모홀리-나기가 행한 시각적 실험을 재해석했다.

새 기술의 발견만으로 예술을 새롭게 할 순 없다. 예술가의 눈이 현실을 재발견하고, 창의적인 접근 방식으로 기술을 활용할 때 비로소 새로움을 얻는다. 작가들은 현실을 읽어내는 비판적인 수단으로 기술을 활용한다.

설치 미술, 키네틱 아트,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을 8개의 독립적인 공간 안에서 표현한다. 각각의 공간은 소리, 색채, 공간감, 기하학적인 패턴과 같은 감각적이고 현대적인 요소들이 결합해 관람객들의 감성을 자극한다. 

양민하 작가가 인공지능을 예술로 직접 끌어오는 시도로 모홀리나기의 ‘눈’을 차용한다면 김병호 작가는 이것을 기하학과 재료에서 출발한 근본적인 문제로 풀어낸다. 전준호 작가가 키네틱 조각을 활용해 사회적 발언을 한다면 김 수 작가는 키네틱 풍경으로 사람들을 인공의 자연 속에 이끈다. 애나 한 작가는 빛과 공간을 이용해 관객과 대상의 관계를 흔들고 시간의 흐름을 끊어 놓기도 한다.

전시 중에는 라즐로 모홀리-나기가 생전에 제작한 영화 ‘A Lightplay : Black White Grey’도 상영한다. 이 영화는 회전하는 조각상에서 생성되어 반사된 빛과 그림자를 캡쳐하여, 기계, 공장, 또는 도시경관을 표현한 16mm의 흑백 필름이다. 아울러 공간 자체를 모홀리-나기의 페인팅으로 만들어 관람객들이 그의 페인팅 속에 들어간 듯한 착각을 체험하며 색다른 재미도 느낄 수 있다.



lazlo moholynagy quote




작가 소개

라즐로 모홀리-나기 

헝가리 출신 라즐로 모홀리-나기는 1920년 베를린으로 이주한 후 다다이스트, 구축주의자들과의 교류를 시작했다. 당시 ‘구조’를 작품의 영감으로 삼았던 예술가들처럼 철교, 라디오 송신탑, 터널, 나선형 계단 등 산업시대의 결과물을 회화와 조각에 반영하였으며 ‘기계는 아름답다’는 믿음을 갖고 예술로 사회의 변혁을 꿈꿨다. 네덜란드 데 스틸, 러시아 구축주의, 이탈리아 미래주의 등 아방가르드 예술을 통합적으로 수렴한 바우하우스에서 ‘포토그램’과 ‘포토플라스틱’을 창안한 모홀리-나기. 원근법이 발명된 르네상스 이래 유럽의 근대적 시지각을 가장 크게 변화시킨 사건은 카메라의 탄생이었다. 카메라 옵스큐라, 하나의 소실점을 예술가의 손(회화)이 아닌 그들의 눈(사진)으로 조직하는 것에서 나아가 모홀리-나기는 ‘새로운 비전’ 을 만들어냈다. 모홀리-나기는 빛, 소리, 움직임 등 비물질에 가까운 것을 재료로 삼아 전에 없던 상(image)을 창조해내며 사람들의 시지각 체계를 흔들어 놓았다. 포토그램에서 빛과 투명성의 직접적인 관계를 드러내고, 포토플라스틱으로 파편적으로 흩어진 이미지와 언어를 한 화면 안에 결합시킨 그의 실험은 공간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한 키네틱 조각과 영화로 이어지며 1930년 ‘빛-공간 변조기’를 발표하기에 이른다. 1937년 미국으로 건너와 뉴바우하우스를 열고 ‘총체성’과 ‘통합성’을 실현하고 인간과 기계의 유기적 관계를 탐구한 인물, 그의 관심사는 빠르게 변하는 세계에 부합하는 새로운 시공간 개념이었다. 공간을 물질로 인식하며 총체적인 조건 속에서 바라보고자 했던 그의 시도는 시간의 지평선을 넘어 오늘날 어떤 의미가 있는가? “미래의 문맹자는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지를 모르는 사람”이라 말한 모홀리-나기의 예견처럼 그 답은 현재가 아닌 미래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김병호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김병호 작가의 ‘A Section of the Garden’은 작품을 이루는 기하학, 색채, 이미지의 확장이라는 주된 키워드 속에서 모홀리-나기와의 접점을 찾을 수 있다.
작가는 대량생산되는 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재료가 본래 용도에서 벗어나 미학적인 오브제로 재탄생하도록 만든다. 또 구조적으로 완벽한 형태를 이루도록 설계에서부터 조형적 합리성을 따진다. 이렇게 탄생한 작품은 인공을 상징하는 ‘수직’과 자연을 연상시키는 ‘풍경’의 만남조차 어색하지 않게 만든다. 작품은 ‘수직’이 비자연적인 것을 넘어 초자연적인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는 작가의 믿음을 고스란히 드러내 주고 있다. 작품의 기하학적 구조물이 거울을 통해 반사되고 겹쳐지는 순간, 관객이 마주하는 풍경은 자연을 능가하는 그 무엇이다.



김 수 

김 수 작가의 ‘행위와 생각의 사이에서…’는 재료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출발한다. 모홀리-나기는 각 재료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구조, 질감, 크기의 배열 등을 중요시했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하며 조형 감각을 키워 나갔다. 무엇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재료가 아니라 3차원 조형물을 구성하는 근본적인 요소로 여긴다는 점에서 모홀리-나기와 연결고리이다. 작가는 색을 최대한 배제하고 종이, 연필, 무채색 물감과 같은 단순한 질료를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속성에 집중한다. 더불어, 시간과 노동력을 더해 재료가 가진 특성을 자유롭게 풀어내어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작가의 작업 노트 속에서 오랜 시간 잠들어 있던 단상들이 구체적인 사물로 변환된 것이다. 어두컴컴한 전시장에 들어서면, 설산 위로 원시에 가까운 자연의 모습이 투사되고 공중에는 빛의 파편들이 회전한다. 근본적인 재료에 시간과 노동력을 또 다른 재료로 삼아 완성함으로써 작가의 내면적 이야기를 담담히 전달하고 있다. 

양민하

양민하가 제시하는 4점의 작품은 모두 현시점의 인공지능이 만들어낼 수 있는 예술의 가능성과 한계를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작품들은 가장 기초적인 것과 가장 최신의 것을 관통한다. 시각과 청각, 인지 감각에서부터 언어에 이르는 고도의 추상적인 사고 체계로까지 뻗어있다. 그가 활용한 기술은 장단기억순환신경망(LSTM/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이다. 이 기술은 가장 최신의 매체와 인공지능이 만들어내는 영상을 활용하는 기술로, 오랜 기간 정보를 축적하면서 인공 신경망이 오래된 기억에서 가장 최신의 기억을 인지하며 문맥에 맞게 답을 도출해내는 기술이다.

전준호

전준호 작가가 선보인 작품의 출발점은 ‘재개발로 사라진 공간’이다. 작가는 전혀 새로울 것이 없어 보이는 과거에서 모홀리-나기가 제시한 ‘새로운 시각’을 끄집어낸다. 그는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무엇인지 자문하면서 거기서 파생하는 새로운 질문으로 작품을 완성해 나간다. 2012년 카셀 도큐멘타와 2015년 베니스 비엔날레의 출품작 또한 이러한 질문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작가는 우리 주위에 산재해 있지만 익숙함에 젖어 망각하고 있는 것들을 환기시키기 위해 버려진 집에서 나온 폐기물을 사용한다. 그가 재개발 지역에서 수집해온 물건들은 키네틱 조각으로 재탄생했다. 네 면을 둘러싼 창과 문으로 만든 폐기물 더미 같은 거대한 형상은 상하 수직 운동을 반복한다. 내부에 전기 자동화 기계 시스템을 장착해 쉼 없이 움직이는 조각은 고층 빌딩으로 구현되는 재개발의 욕망을 드러낸다. 동시에 사라질 수밖에 없는 과거의 것들을 끊임없이 재생산한다.
작가는 작가의 말을 통해 “어느 순간 완벽한 모습으로 합쳐졌다 계속해서 어긋나는 운동을 보여줌으로써 불가능한 ‘완성’의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과거가 아닌 현재, 아니 미래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애나 한

애나 한 작가가 선보이는 ‘XXXX ME’는 그가 고른 세 문장 ‘Hug Me’, ‘Kiss Me’, ‘Lie W/Me’의 공간을 통해 특유의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작가는 모홀리-나기가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라고 여긴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공간을 응집시킨다. 공간은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인간적 경험이며 하나의 표현 수단이다. 공간을 다른 재료와 같은 것으로서 다양한 표현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호텔이라는 장소, 연인이라는 대상, 불안정한 심리상태는 사적인 이야기를 상상하게 하지만 실상 구체적인 정보는 모두 빠진 익명의 세계이다. 특정한 공간의 재현이 아닌 내면의 상태를 재구축했기에 관객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추상적이고도 비물질적인 환경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연인의 비밀스러운 대화가 오가는 방의 주요 색 핑크는 LED 조명에 의해 공기 중의 입자로 떠다니며 세 문장으로는 읽어낼 수 없는 어떤 암시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M 컨템포러리 강필웅 디렉터 소개

강필웅 대표 소개
M 컨템포러리 강필웅(1979)은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시각 미술 분야를 새로운 형태로 대중에게 소개하는 아트 디렉터이다. 2005년 성곡 미술관 큐레이터로 활동을 시작해 2009년부터 최근까지는 미디어아트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아트센터나비에서 전시기획과 미디어 공공미술을 담당했다. 이와 더불어, 2014년부터 매체 예술을 전문으로 하는 아트 컨설팅 비즈니스 사업까지 진출하였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INDAF “Nine Scinery” 전 기획(2010), 미디어아트 채널 <COMO> 총괄 기획(2015), 리츠 칼튼 호텔 아트웍 총괄 기획(2016)등 다양한 시각미술 영역에서 활동했다. 현재, M컨템포러리의 대표이자 르 메르디앙 서울 아트디렉터인 강필웅은 순수미술, 사진, 미디어, 영상 및 설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기획력과 분야를 뛰어넘는 경험을 바탕으로 미술문화의 새로운 비전과 방향을 제시할 M 컨템포러리에서 그만의 독특한 시각적 유희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M 컨템포러리 소개

동시대를 아우르는 대규모 예술 공간, M 컨템포러리 개관

- 강남 신논현역에 600평대 규모 복합 예술 문화 공간 탄생 “M 컨템포러리”
- 최첨단 미디어 아트부터 건축, 패션, 디자인 아트웍까지 “M컨템포러리”
- 최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VIP 갤러리까지 갖춘 복합 전시 공간 “M 컨템포러리”
- “M컨템포러리” 행인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100m초대형 스트리트 아트웍 설치
- 다양한 장르의 전시부터 아메리칸 스타일 비스트로까지, 미와 식을 동시에 겸비한 “M 컨템포러리”

M 컨템포러리는 장르와 시대의 구분을 넘어 뉴미디어와 대중 예술까지 동시대를 아우르는 새로운 예술 공간이다. 누구나 피부 가까이 예술을 경험함으로써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고 예술을 즐거움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지향한다. 순수 예술 뿐 아니라 과학•인문학적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뉴미디어와 디자인, 패션, 건축에 이르는 다양하고 참신한 예술을 더 많은 사람과 만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컨템포러리는 서울 신논현역의 르 메르디앙 서울 호텔 1층에 들어선다. 세계적인 건축 디자인 회사 데이비드 콜린스 스튜디오(David Collins Studio)가 디자인 한 M 컨템포러리는 총 면적 1983㎡(약 600평)의 공간에 예술적 감각을 녹여냈다. M 컨템포러리는 크게 전시공간인 M뮤지엄, M갤러리, M에이트리움, M라운지와 비스트로&펍 ‘미드 센추리’를 갖추고 있다. 

특히, 400㎡ 규모의 M에이트리움은 11m 높이의 천장이 돋보이는 오픈 타입의 홀이다. 여러 각도에서 관람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전시장에 전준호 작가의 키네틱 미디어 작품인 ‘하늬바람’이 방문객들에게 압도적인 공간감과 예술적 경험을 선사한다.




M 라운지는 전시 그 이상의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갤러리의 역할을 넘어 고품격의 공간구성과 서비스를 추구한다. 개별적인 공간으로 특별 기획 전시와 여러 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의 라운지이다. 이 곳에서는 M 컨템포러리의 멤버십 회원을 위한 노하우를 갖춘 전담 스태프들이 최고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퍼스널 아트컨설팅이나 특별한 코스 요리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종 문화행사도 기획된다.

‘미드 센추리’는 모던한 음악과 더불어 미디어 아트가 어우러진 비스트로 & 펍이다.  미드 센추리는 낮과 밤의 분위기를 다르게 연출하며 아메리칸 스타일의 올 데이 다이닝을 제공한다. 미드 센추리의 맞은편에는14m길이의 대형 미디어 패널인 M스크린을 통해 미디어 아트 작품을 즐길 수 있고, 전시와 더불어 다양한 이벤트도 열린다.

M 컨템포러리 실외에는 ‘예술 정원’ 콘셉트의 야외 전시장도 마련돼 있다. 관람객들이 맥주를 마시며 실내에서 감상하기 어려운 다양한 입체 조각과 미디어 아트를 경험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M컨템포러리는 기존의 공간들과는 차별화 된 참신한 느낌의 예술공간으로, 이번 12월 새로운 형식의 복합 멀티 아트스페이스인 ‘M-1’(가칭)을 추가로 오픈 예정이다. M컨템포러리의 ‘M-1’(가칭)은 230평 규모로 예술과 하나 된 공간이다. 인더스트리얼 컨셉의 공간은 평상시에는 카페&바로 운영되며 상시 여러 행사에 맞춰 변화한다. 해외 유명 작가의 대표적인 예술 작품과 함께 연중 몇 차례 기획 예정인 다채로운 전시가 모던하고 감각적인 느낌의 공간과 어우러져 공간 자체가 예술적 브랜드가 된 신선한 장소가 될 예정이다. 



M 컨템포러리 외벽에는 봉은사 대로를 따라 M 프로젝트 월이 설치돼 있다. M 프로젝트 월은 100m길이의 초대형 루버 아트웍으로 외기 흡입구, 배기구 등으로 이용되는 루버 위에 패턴 디자인을 입힌 작품이다. M프로젝트 월은 시즌마다 다르게 디자인되며 거리를 지나는 시민들도 자연스럽게 아트웍을 접할 수 있다. 개관전을 맞이하여 라즐로 모홀리-나기의 작품을 바탕으로 디자인한 아트웍이 루버 패널에 입혀진다. 이 작품은 양면으로 구성되어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작품의 모습이 달라져 보는 이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M컨템포러리는 다양한 장르와 세대를 아우르는 새로운 전시컨텐츠로 관람객들에게 다가가는 복합 예술 문화 공간이다. 600평 규모의 전시장을 8개로 나누어 연출한 이번 전시 섹션은 뉴미디어와 순수미술간의 다름과 같음을 분리하거나 이어나가 결국 하나로 연결해주는 매우 독특한 공간 연출로 기획했다. 동시대를 넘어서 혁신을 거듭하는 예술적 공간, 바로 M컨템포러리가 지향하는 바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