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강석영 전: 도자로 그린 회화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Untitled, 자기소지, 500x331, 2023


‘한국의 순백의 아름다움’을 추상도자로 변주해 온 작가의 새로운 도전
풍경의 색을 직조하듯 새기는 실험적 도자 
강석영 개인전_’도자로 그린 회화’ 
2023년 8월 30일(수) ~ 10월 20일(금) / 갤러리밈 5, 6F 전시장


•30년 넘게 ‘도예의 현대화’를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실험을 이어온 작가. 슬립 캐스팅 기법으로 구현해 낸 완벽한 기하학적 형태에 인위적인 변형을 가해 생동감과 미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독자적인 추상도자 세계 구축해 옴.

•백토 본연의 색과 질감으로 ’한국의 순백의 아름다움’을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는 작가가 이번 전시를 위해 처음으로 색에 대해 탐구하고 새로운 제작기법을 실험. 이를 통해 도자 예술의 경계를 동시대 미술 영역으로 더욱 확장해 나가는 과정 보여주는 신작 30여점 발표

•평면의 도자 위에 추상적 조형언어로 펼쳐진 색들의 향연은 자연의 변화를 닮은 풍경이 되기도 하고, 시각과 촉각의 감각이 교차되는 낯선 경험 불러일으킴.

•2003년부터 그리스 아테네 ‘국제 도예 올림픽 공원’에 세계적인 작가들과 함께 작품이 영구소장 전시되고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내 유수의 기관과 영국 로얄 알버트 뮤지엄, 미국 브루클린 뮤지엄 등 해외 주요 미술관에 작품 소장

• 2021년 서울 공예박물관 외관에 4000개의 백자, 청자, 분청사기 도자편으로 제작된 <무제> 영구 설치



Untitled, 자기소지, 47.5x63x20.5cm, 2023


1. 평면 도자, 그리고 추상화

-평면의 도자는, 도자가 용기로서의 쓰임새에서 벗어나 캔버스와 같은 조형공간으로의 전환을 의미 
-평면으로 제작된 도자판 위에 펼쳐진 형태, 선, 색들이 특정 질서로 조합되는 예술의 자족성을 확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새로운 시선으로 탐구하는 태도와 재료와 제작방식에 대한 끊임없는 실험적 태도가 정신적 작용을 거쳐 추상의 영역으로 이행하면서 도자예술의 경계를 더욱 확장


Untitled, 자기소지, 180x183cm, 2023



2. 서구적 형식과 동양적 미감의 중첩

- 다양한 두께의 동양화 붓을 사용하여 터치 하나하나의 강약과 속도를 조절하는 섬세한 움직임부터 몰아치듯 강렬한 흔적을 도자 화면 위에 새기는 격정의 순간까지, 도자면 위에 고스란히 신체의 움직임과 호흡을 기록
- 이와 같은 작가의 신체성과 함께 우연성이 결합되는 과정은 서구의 회화형식인 액션페이팅의 주요 요소와 흡사
-서구적 형식과 동양적 미감이 중첩되는 작가의 신작은 공예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는 의지 보여줌.


Untitled, 자기소지, 가변설치, 2023



3. 촉각적 경험

-도자판의 표면에 색을 얹는 일반적인 방식이 아니라, 판 내부에 색이 새겨지는 제작 과정으로 작가만의 독자적인 표현 기법 개발
-화면을 채우고 있는 섬세한 붓 자국은 빛과 시선의 방향에 따라 색의 깊이감이 다르게 보이는 효과 
-요철이 새겨진 표면은 씨실과 날실이 직조된 듯한 독특한 촉각적 경험 유도    

 

Untitled, 자기소지, 505x330cm, 2023



4. 도자로 그린 계절 풍경

-전면추상회화 형식으로 표현된 작업들은 작가 작업실의 큰 창으로 내다보이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산수화 풍경이기도 함.
- 생명의 기운이 퍼지는 봄, 하늘과 녹음의 푸른빛이 뒤섞이는 여름의 산천과 단풍 깊어가는 가을 아침, 그리고 눈 덮힌 적막한 겨울들판 풍경을 각각의 화면에 한 폭의 동양화처럼 표현 




Untitled, 자기소지, 527x325cm, 2023


강렬하고 섬세한 몸짓으로 그려낸 도자회화
                       
김지혜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캐스팅 기법을 사용한 동시대적 감각의 백자로 추상도자의 세계를 구축해 온 강석영의 작업은 조형원리에 충실한 형태를 만들고 물리적 충격을 가해 우연적 효과를 가미함으로써 인위적인 자연성을 추구한다. 하얀 백토를 고온에서 소결시켜 발현되는 순도 높은 백색과 유약을 사용하지 않은 표면은 작품의 간결함과 감각적 요소를 더하며 태토 자체에서 배어 나오는 은은한 광택은 부드러운 흙의 감촉을 전달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 특유의 미니멀하면서도 감각적인 입체작업과 더불어 회화성이 돋보이는 평면작업을 주로 선보인다.      

추상화 같기도, 산수화 같기도 하고 인상파의 작품이나 올오버 페인팅이 연상되기도 하는 강석영의 신작은 석고 틀을 이용하여 도자로 만든 판이다. 1300도의 높은 온도에서도 휘어지지않게 종이와 같이 평평한 도자 판을 만드는 작업은, 그것도 캐스팅 기법으로 만들기는 쉽지 않다. 성형뿐만 아니라 건조과정과 소성과정에서의 변형을 치밀하게 계산하고 예측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작가가 오랫동안 천착해왔던 재료와 기법에 대한 끊임없는 실험과 탐구가 드러난다. 하얀색 도자판 위에 안료를 섞은 흙물을 커다란 붓질로 표현한 작업에서는 운동감, 속도감과 함께 작업과정에서의 신체의 괘적을 감지할 수 있다. 도판 표면 위에 덧입혀진 흙물의 두께감은 획을 긋기 위해 작가가 행한 순간의 격렬한 제스처를 그대로 전해준다.

이번 전시에서의 두드러진 변화는 백토 본연의 순수한 백색미를 추구하던 기존 작업과 달리 적극적으로 색을 사용했다는 데 있다. 화면 전체를 모노톤의 색으로 뒤덮은 일련의 작업들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듯이 도자 표면 위에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니다. 석고판 표면에 뾰족한 도구로 선을 그어 요철을 만들고, 안료를 섞은 흙물을 동양화 붓으로 하나하나 농담을 달리하여 마치 점을 찍듯 화면을 채운 후, 그 위에 흙물을 부어 도자판을 만든 작업이다. 화면 전체에 텍스처가 세밀히 새겨져 있고, 작품의 표면 위에 색이 얹혀진 것이 아닌 도자판 내부에 색이 새겨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작방식으로 인해 화면을 가득 채운 붓 자국은 관람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그리고 빛에 따라 변화하며 깊이감을 선사한다. 어떤 작업은 표면의 텍스처와 색이 씨실과 날실처럼 직조되어 시각적이면서도 촉각적인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서양미술에서 재현의 도구로 창을 사용하였듯이 하나하나의 화면에는 작가 작업실의 큰 창에서 보이는 철 따라 변하는 계절이 담겨있다. 녹음이 푸르른 여름날, 고운 단풍이 물든 가을 아침, 눈 내린 한겨울 창밖, 비 내리는 어느 봄날의 풍경을 각각의 화면은 한 폭의 동양화처럼 담아낸다. 변화하는 시간의 흐름이 전면추상회화 형식으로 표현된 작업들은 한땀 한땀 숨을 고르며 새겨 만든 산수화 같다.    

완성된 형태에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 우연의 효과를 의도한 기존의 입체작업에서 작가의 행위와 몸짓을 엿볼 수 있듯이, 순간의 강렬한 붓질과 더불어 하나하나 숨을 고르며 속도와 강약을 조절한 붓질에서도 작가의 섬세한 움직임을 볼 수 있다. 작가 자신이 온몸으로 마치 씨름선수와 같이 작업한다고 표현하였듯이, 강석영의 작업은 제작과정에의 작가의 수행적 태도를 드러낸다. 결국 강석영의 작품이 공유하는 감각적이고도 미니멀한 조형언어는 재료와 기법에 대한 작가의 자세와 치열하고도 섬세한 제작공정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공예적 요소와회화적 요소, 서구적 형식과 동양적 미감이 중첩되는 강석영의 신작은 공예가로서의 역할을 다하면서 공예의 지평을 확장하려는 작가의 의지를 담고 있다. 



Untitled, 자기소지, 550x350cm, 2023



강석영
1949년 서울 출생. 홍익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도예를 전공하고, 프랑스 파리의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Arts Appliqués et des Métiers d'Art를 졸업했다.
 30여 년간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학장 및 도예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완벽한 조형미에 인위적인 변형 요소들을 개입시키고, 점토 자체가 갖는 본연의 질감을 그대로 살려내기 위한 끊임없는 실험으로, 독창적인 추상도자 세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한국적인 백색의 아름다움’을 구현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3년부터 그리스 아테네 ‘국제 도예 올림픽 공원’에 세계적인 작가들의 작품과 함께 영구소장 전시되고 있고, 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내 유수의 기관과 영국 로얄 알버트 뮤지엄, 미국 브루클린 뮤지엄 등 해외 주요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서울 공예 박물관 외관에 4000개의 백자, 청자, 분청사기 도자편으로 제작된 <무제>가 영구 설치되어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