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식물공감:자연을 들이다 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2-07-07 ~ 2022-10-02

  • 참여작가

    강가연, 고은주, 김진관, 김형주, 윤정원, 이진아, 이현호, 진민욱

  • 전시 장소

    이천시립월전미술관

  • 문의처

    031-637-0032

  • 홈페이지

    http://www.iwoljeon.org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22 지역문화예술 플랫폼 육성사업
《식물공감植物共感: 자연을 들이다》展 개최


◇ 2022 지역문화예술 플랫폼 육성사업 선정
  - 식물을 다양한 관점으로 그려낸 한국화가 8명 선정
  - 7월 7일(목)부터 9월 18일(일)까지 이천시립월전미술관 1 · 2 · 3 전시실에서 개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식물을 통해 그리는 삶의 모습
  - 식물의 의미와 상징을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 50여점 공개
  - 식물과 삶의 모습을 연관시켜 자신을 돌아보는 탐구의 시간

◇ 지친 일상 속 식물이 건네는 위로
  - 식물을 통해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고 일상 속 자연의 소중함을 조명 
  - 전시연계프로그램 <나만의 화분 만들기>, <플랜테리어 식물 꾸미기> 운영



이천시립월전미술관(관장 장학구)은 2022 지역문화예술플랫폼 육성사업에 선정되어 <식물공감植物共感:자연을 들이다>전을 개최한다. 식물의 모습을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한 작품을 통해 자연의 소중함과 일상의 행복을 돌아보는 전시로 이천시립월전미술관 1 · 2 · 3전시실에서 8인의 작품 50여점을 선보인다. 7월 7일(목)부터 9월 18일(일)까지 진행된다. 

화환, 애도의 꽃, 기념일을 빛내주는 꽃다발에 이르기까지 기쁜 일이 있거나 슬픈 일이 있을 때 식물을 주고받는 행위는 자연스럽게 일상에 자리 잡아왔다. 꽃에 이름을 붙이고 꽃말을 통해 의미를 담는 등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인간의 모습에 적용해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은 오래전부터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고자하는 나름의 방법이었다. 옛그림에서 자주 다루고 있는 매·난·국·죽을 비롯해 파초, 모란, 소나무, 연꽃 등 다양한 식물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이것이 사회적으로 통용되어 온 것은 인간 삶의 보편적인 진리와 이상을 식물이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대 작가들은 식물을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하고 있을까?

이번 전시는 ‘Ⅰ. 식물과 기억, Ⅱ. 식물과 도시, Ⅲ. 식물과 상징’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로 Ⅰ. 식물과 기억에서는 일상을 살아가며 느낀 감정과 기억들을 식물의 형상으로 재구성하여 그려낸 두 작가를 만나본다. 이진아는 일상생활에서 느낀 다양한 일상의 사건들로부터 수집된 스스로의 기억과 감정의 조각들을 다양한 색으로 조합해 나부끼는 수풀의 형상으로 은유했다. 강가연의 작품은 현재 자연 속에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이 미래에 존재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기억을 담은 작업을 선보인다. 나무의 재, 고운 흙, 모래 같은 실제 자연 재료를 활용한 식물의 모습을 통해 일상 속 자연 환경에 대한 소중함을 기억하고자 했다. 이들은 식물의 모습을 빌려 자신의 감정을 재구성해 표현함으로써 자연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기억속의 자연, 소환된 자연의 모습을 색다르게 구현해 관람객을 이끌고 있다.
    


좌) 이진아, <바람의 정원>, 120×185cm, 장지에 채색 호분,  2019
우) 강가연,<traces_1>, 121.2×90.9cm, 캔버스에 나무의 재, 흙, 자연적 안료, 혼합재료, 2022


Ⅱ. 식물과 도시에서는 도시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둘러싼 식물의 다양한 모습을 만나본다. 진민욱은 산책을 통해 기록한 도시와 도시에 공존하는 식물의 모습을 콜라주 형식으로 재구성한다. 치열하게 살아가는 도시의 일상과 식물의 모습은 지친 일상의 사색과 치유를 이끌어낸다. 김형주는 도시의 잔디밭 위에 자라난 잡초를 다른 시각으로 볼 것을 제시한다. 자연의 시선에서 인간과 잡초 중 누가 불청객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인공 자연과 진짜 자연의 경계가 무엇인지 고찰하고 있다. 이현호는 도심 속 인공석재화단에 심어진 나무를 그리거나 드넓게 펼쳐진 공간 속 압도적으로 자리잡은 나무의 형상들을 포착해 도시에서 쉽게 지나친 식물의 모습을 조명한다. 세 작가들은 도시 속 식물의 무게감을 그려내어 인간과 식물의 공존에 대해 생각 하게 한다. 



좌측부터)
진민욱, <Stroll and see200703>, 89.5×128.5cm, 비단에 수묵채색, 2021 
김형주, <리스트 List>, 130×162cm, 장지에 아크릴, 2021
이현호, <옆인도>, 120×120cm, 한지에 채색, 2015 

  
마지막으로 Ⅲ. 식물과 상징에서 김진관은 말라가는 식물의 형상을 포착해 채색화와 드로잉의 형식으로 제시한다. 작품 속 식물은 생명의 순환과 자연의 질서를 상징하며 작가는 작은 식물들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자 한다. 윤정원은 푸른 꽃을 통해 자아 대한 탐구를 이어나간다. 싱싱한 꽃과 시들어가는 꽃의 시간을 한 화면에 포착하여 삶의 고뇌와 생존의 열망을 그려내고 있다. 고은주는 비단 위에 꽃을 그린 후 이것을 부적의 형상으로 잘라내어 화면에 배치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작품 속에서 식물은 부적의 의미와 결합되어 삶의 안위를 기원하고 보는 이의 행복을 비는 마음의 상징이 된다. 



좌측부터)
김진관. <낙원1>, 100×75cm, 광목과 장지 위에 채색, 2020
윤정원, <내 몸은 보다시피 하나>, 159× 129cm, 비단에 채색, 2021
고은주, <바이러스퇴치부>, 80×60cm, 비단에 채색·컷팅, 2020
  
 
지난 2년간 사람들은 실내에서 대부분의 일상을 흘려보냈고, 코로나 이전에 꽃, 풀, 나무, 숲, 공원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의 싱그러움, 그 모든 일상적인 것들은 더 이상 일상이 아니게 되었다. 팬데믹으로 인한 이 일상의 단절은 평범한 시간의 소중함을 깨달음과 동시에 자유롭게 자연을 만끽할 수 있었던 시절의 행복감을 상기시켰다. 많은 대중들이 실내에 자연을 들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식물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고, 플랜테리어나 ‘반려식물’이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게 된 것도 이즈음 식물에 대한 늘어난 관심을 여실히 보여준다. 식물이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생기를 주는 소재로 각광받는 것은 식물이 빠르게 바뀌는 세상에서 자신의 속도를 지켜가며 자라나고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계절, 자신의 모습을 꿋꿋하게 지켜가며 살아가는 식물을 통해 생명의 순환과 자연의 소중함, 일상의 행복을 찾아볼 수 있기를 기원해본다.




■ 전시개요

 o 전시명: 식물공감植物共感: 자연을 들이다
 o 일시: 2022.7.7.THU – 9.18.SUN
 o 개막식: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진행되지 않습니다. 
 o 장소: 이천시립월전미술관 내 1, 2, 3전시실
 o 참여작가: 강가연, 고은주, 김진관, 김형주, 윤정원, 이진아, 이현호, 진민욱
 o 작품수: 50여점
 o 주최: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