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터 play:ground 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19-09-18 ~ 2019-10-31

  • 참여작가

    믹스라이스 자티왕이아트팩토리

  • 전시 장소

    우란문화재단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2-465-1418

  • 홈페이지

    http://wooranfdn.org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19 우란문화재단 우란시선 기획전시 <터(play:ground)

우란문화재단(이사장 최기원)은 9월 18일(수)부터 10월 31일(목)까지 44일 동안 우란시선 기획 전시 
<터(play:ground)>를 우란문화재단(성수동 소재) 우란1경에서 개최한다. 

전시 제목 ‘터’는 각자의 터를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어주고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매개로서 ‘놀이’를 바라보는 의미가 담겨있다. 놀이가 이루어지는 터, 즉 공동체가 실현되는 곳을 뜻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도시 속의 인위적인 공동체들 사이에서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우리의 전통문화 속 ‘민속놀이’에서 찾고, 믹스라이스(조지은, 양철모)와 자티왕이 아트 팩토리(Jatiwangi art Factory , 이하 JaF) 의 영상, 설치, 드로잉 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의 민속놀이 안에 내포된 공동체의 운영 원리와 놀이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믹스라이스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주’의 상황들에 집중하여 ‘이주’의 흔적과 과정, 그 경로와 결과, 기억에 대한 탐구 등 다층적인 접근 방식으로 작업을 하며 국립현대미술관 <2016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한 바 있다. 

JaF 는 2005 년 아리프 유디 라흐만(Arief Yudi Rahman) 과 그의 가족을 중심으로 작가 그룹이 형성되면서 설립된 비영리 미술 단체로, 도시개발로 멈춰버린 공장에서 침체된 도시 경제를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다시 활성화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집을 개방하고, 미술, 음악, 영상, 사진 등의 예술 활동을 통해 사람들이 모일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지역사회에 큰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믹스라이스는 한국 전통 민속놀이 중 강강술래에서 농경사회 때 행해진 공동체 춤의 원형을 찾아, 현재로 소환하는 작업을 시도했다. 강강술래의 놀이 중 하나인 고사리껑기를 JaF 와 함께 재현하면서 개개인의 구성이 하나의 전체 춤을 만들어 내어 한국의 전통이 다른 시공간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의미를 가지고 공존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인도네시아에는 gotong royong(common task) 이라는 개념이 있다 . 서로가 서로를 돕는다는 의미의 이 개념은 서로 바라거나 기대하는 것 없이 무조건 서로 돕는 것을 의미한다 . 그들은 이 개념이 그들이 예술의 공동체를 이루면서 살아갈 수 있는 힘이라고 말한다 . 

JaF 는 이번 전시에서, 흙 (기와)을 매개로 살아왔던 그들의 삶의 과정을 다양한 예술 활동으로 보여왔던 기록들로 선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들을 하나로 모아주는 지역 고유의 정체성으로서의 ‘흙’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진정한 공동체를 구현하여 예술을 실천하고 있는 그들의 삶과 예술 활동을 지금 현재 우리 삶의 공동체성 회복과 연결해보고자 한다. 전통에서 미래적 가능성을 찾고, 지금 이 현재의 시간을 의미 있게 보게 되길 희망한다 . 

우란문화재단은 전통공예를 재조명하고, 새롭고 실험적인 공예의 발판을 마련하여 전통공예의 전승과 저변 확장, 그리고 동시대의 시각 문법을 제시하기 위한 기획전을 개최해오고 있다. 전통공예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보다 동시대적 가치를 가늠하며 오늘날의 시대적 맥락속에서 얻은 공감으로 단지 과거의 유물이 아닌 현재 생활과 이어지는 전통의 가치를 역설하고자 한다. 전통의 재해석이라는 수사를 벗어나, 전통 역시 당대 생활의 일부이자 
일상 속의 새로운 발견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전화(070-7606-5571) 또는 홈페이지(www.wooranfdn.org)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터 play:ground 

사람은 태어나 터를 닦아 집을 짓고 마을을 이루어 살아가며, 이 공동체 속에서 문화를 만들어나간다. 그 속에 놀이가 있고, 놀이는 사람의 일생(一生 )을 담는다. 인간은 이렇듯 일생 동안 여러 가지 ‘터’에 흔적을 남기며 살아간다. 전시 제목 <터(play:ground)>는 각자의 터를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어주고,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매개로써 ‘놀이’를 바라보는 의미가 담겨있다. 놀이가 이루어지는 터, 즉 공동체가 실현되는 곳을 뜻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도시 속의 인위적인 공동체들 사이에서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우리의 전통문화 속 ‘민속놀이’에서 찾고, 믹스라이스(조지은, 양철모)와 자티왕이 아트 팩토리(Jatiwangi art Factory , 이하 JaF) 의 영상, 설치, 드로잉 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의 민속놀이 안에 내포된 공동체의 운영 원리와 놀이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민속놀이는 ‘민속’이라는 문화 현상 가운데 하나인 ‘놀이’로서 이해될 수 있다. 민속은 ‘민중’의 문화로서, 당시의 사회상과 시대상, 인간상을 내포하면서 점차 변해가는 생활 습속을 말한다. 놀이는 여러 분야에서 해석될 수 있으나, 문화의 기능으로 인식할 때 비로소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놀이를 바라볼 수 있다.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 는 놀이하는 인간 ‘호모루덴스 (Homo Ludens)’를 주장하면서, 놀이가 사회에서 어떻게 구체화 되는지에 대해 여러 문화적 
관계를 해석한다. 놀이는 문화보다 오래된 것으로, 세계 어디에서나 놀이는 일상과 구분되는 행위로서 존재하고 생활 속 문화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한국의 민속놀이는 단순한 여가나 오락으로만 설명될 수 없는, 민중의 생활 속 전 영역에 걸쳐 유희성, 오락성, 경쟁성, 예술성이 모두 다 복합적으로 내포되어 전승된 우리 고유의 문화이다. 또한 단결과 응집을 통한 집단 정체성 확립이라는 공동체성을 갖고 있다. 산업화 이후의 사회에서는 일과 놀이를 분리한 ‘상품화된 놀이’로서 놀이를 바라보지만, 지금 우리에게 공동체 문화로서 민속놀이를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농경사회로 이루어진 한국의 전통적인 공동체는 가족과 촌락에서 시작되어, 협동적 노동 양식인 두레와 상부상조의 계(契 ) 등으로 확장되었다. 두레는 노동을 같이하는 작업 공동체로서 농민문화의 물적 토대가 되었고, 포괄적 의미의 공동체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놀이문화와 결합되어 공동체적 유대를 강화했다. 현대사회로 오면서 전통사회의 완벽한 공동체는 소멸되었으나,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공동체는 반드시 필요하다. 

믹스라이스는 한국 전통 민속놀이 중의 강강술래 에서 농경사회에서 행해진 공동체 춤의 원형을 찾아, 현재로 소환하는 작업을 시도했다. 강강술래의 놀이 중 하나인 고사리껑기 를 인도네시아의 JaF 와 함께 재현하면서 개개인의 구성이 하나의 전체 춤을 만들어 내어 한국의 전통이 다른 시공간에서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 시도해보고, 어떤 식으로 해석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강강술래는 노래부터 놀이의 구성, 참여의 형식까지 열린 구조를 지향한다. 이것은 시대와 상황의 변화에 적절히 적응해 간 결과다. 점점 빠르게 진행되는 역동적 신명, 나선형적 되풀이와 확장, 노래와 춤, 놀이의 역동적 통합과 재미, 기본 구조에서 전문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이 지닌 개방성과 창조성, 공동체를 확장시키는 힘 등은 강강술래가 지닌 문화적 인자로서 전통에서 머무르지 않고 현재까지 전승될 수 있었던 요인이다. 

자티왕이(Jatiwangi) 는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서 약 200km 정도 떨어진 작은 도시로, 전통 기와를 생산하는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200개가 넘는 대형 기와 공장들은 고대 농경사회에서 보여지듯 가족 공동체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그들에게 기와는 생활이고 놀이이며, 전통사회의 완벽한 공동체를 실현하는 매개체이다. 이 지역에 위치한 JaF 역시 가족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 확장된 예술 공동체이다. 

JaF 는 2005 년 아리프 유디 라흐만(Arief Yudi Rahman) 과 그의 가족을 중심으로 작가 그룹이 형성되면서 설립된 비영리 미술 단체로, 도시개발로 멈춰버린 공장에서 침체된 도시 경제를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다시 활성화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집을 개방하고, 미술, 음악, 영상, 사진 등의 예술 활동을 통해 사람들이 모일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지역사회에 큰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gotong royong(common task) 이라는 개념이 있다. 서로가 서로를 돕는다는 의미의 이 개념은 서로 바라거나 기대하는 것 없이 무조건 서로 돕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이 개념이 그들이 예술의 공동체를 이루면서 살아갈 수 있는 힘이라고 말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흙(기와)을 매개로 살아왔던 그들의 삶의 과정을 다양한 예술 활동으로 보여왔던 기록들로 선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들을 하나로 모아주는 지역 고유의 정체성으로서의 ‘흙’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진정한 공동체를 구현하여 예술을 실천하고 있는 그들의 삶과 예술 활동을 지금 현재 우리 삶의 공동체성 회복과 연결해보고자 한다. 전통에서 미래적 가능성을 찾고, 지금 이 현재의 시간을 의미 있게 보게 되길 희망한다. 

1. 강강술래는 문화인자가 다층적으로 담겨있는 종합 연희로, 손잡고 원을 그리며 가무 하는 기본형에 여러 가지 놀이가 결합된 가무 놀이이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강강술래의 놀이들은 민중 생활의 현장인 일상의 삶과 노동, 또 역사를 형상화한 것들이다. 

2. 고사리껑기 놀이는 산에서 고사리를 꺾는 모습에서 유래했다. 서로 손을 잡고 둥글게 꿇어앉아 선두가 일어나서 각 사람들의 팔 위를 넘어가면, 차례대로 손을 놓으면서 원무를 진행하는 놀이다. 


작가 소개 

믹스라이스 Mixrice 
믹스라이스 (조지은, 양철모) 는 현대사회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이주’의 상황들, 즉 ‘이주’의 흔적과 과정, 그 경로와 결과, 기억에 대한 탐구 등 다층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참여 전시로는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Moving & Migration)> (경기도미술관, 안산), 올해의 작가상 2016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Cosmopolis-Collective Intelligence( Pompidu Center, Paris), 12 Sharjah Biennale <The Past, the Present, the Possible>(Sharjah, UAE), 
<nnncl & mixrice> (아뜰리에에르메스, 서울, 2013), <제 7회 아시아 퍼시픽 트리에날레>(Gomma 현대미술관, 브리즈번, 2012) , 등이 있다. 

자티왕이 아트 팩토리 Jatiwangi art Factory 
자티왕이 아트 팩토리는 페스티벌, 공연, 시각예술, 음악, 비디오, 도자기, 전시, 레지던시, 라디오 방송 등의 다양한 예술 및 문화 활동을 통해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담론을 생성하는 비영리 단체다. 매년 2회 레지던시 페스티벌 프로그램(Residency Festival Program) 과 매년 개최되는 비디오 레지던시 페스티벌(Video Residency Festival), 세라믹 뮤직 페스티벌, JAF 라디오, 방송, 교육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거주하고 교류하며 마을 사람들과 협력하여 자티왕이 지역 사회에서의 삶을 함께하고 영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지역사회에서 예술 활동이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 지속적인 실험을 하고 있다. 

우란문화재단 소개 
우란문화재단은 창의적인 인재들의 역량을 키우고 그들이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단체를 설립하고자 한 고(故 ) 우란(友蘭 ) 박계희 여사(워커힐 미술관 설립자)의 뜻을 이어받아, ‘문화 인재 육성과 문화 콘텐츠 개발 및 확장 지원을 통한 건강한 문화예술 토양 확립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목적으로 2014 년에 설립되었다. 2015 년 <나누는 상, 담는 그릇> 전시를 시작으로 우란기획전을 선보이기 시작했으며, 2016 년에는 밀라노 트리엔날레 국제전람회 한국 공예 전시를 후원했고 우란기획전 < 平立 평립 : 규방의 발견>을 개최하였으며 같은 해에 공예트렌드페어 전통 기획 전시로 초청되었다. 2017 년 우란초대전 <움직임을 만드는 방법: 움직임을 만드는 사물>은 공예 관계자와 신진공예가 발굴 및 지원이라는 우란문화재단의 목표하 개최되었으며 2017 청주 공예 비엔날레 세계관 한국관에 참가하여 <28.3495g ; 한줌의 지혜> 전시를 개최하여 한옥을 재해석한 공간에서 공예품을 선보였다. 2018 년 10월 성수동 사옥으로 이전하여 전통 궁중무용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몸소>와 강화도 화문석 장인들과 현대미술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 <전환상상>을 개최하였고, 2019 년에는 근대화 과정에서 잊혀진 전통 신앙의 기억을 복원한 <신물지( 神物紙 )>, 공예와 디자인 분야의 독립 다큐멘터리 상영회 <물질과 기억> 스크리닝 프로젝트를 기획한 바 있다. 

전시명 2019 우란시선 <터(play:ground)> 
공간디자인 글림워커 픽쳐스(신익균) 
그래픽 디자인 홍은주 x 김형재 
홍보 오운(o-un) 

기간 및 장소 
우란문화재단 우란1경 서울 성동구 연무장 7길 11 1 층 
2019 년 9월 18일(수) ~ 10월 31일(목)(44일간) 

오프닝 리셉션 
2019 년 9월 18일(수) 오후 6시 ~ 8시 

참여작가 
믹스라이스(조지은, 양철모 ) 
자티왕이 아트 팩토리(Jatiwangi art Factory)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