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강원국제비엔날레 2018: 악의 사전

  • 전시분류

    미술제

  • 전시기간

    2018-02-03 ~ 2018-03-18

  • 전시 장소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

  • 문의처

    033-243-0785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행 사 명
「강원국제비엔날레2018」 (GANGWON INTERNATIONAL BIENNALE 2018)

주    제
악(惡)의 사전(辭典) / The Dictionary of Evil

행사일정
2018. 2. 3(토) ~ 3. 18(일) / 44일간
    - 개막식 : ’18. 2. 3(토) 16:00 / 프레스콜 : ’18. 2. 2(금) 13시
    - 폐막식 : ‘18. 3. 17(토) 16:00
   ※ 동계올림픽(2. 9 ~ 2. 25) / 패럴림픽(3. 9 ~ 3. 18)

장    소
 강릉시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 일원

주최·주관
  강원도 (재)강원국제미술전람회 민속예술축전조직위원회

후    원
   문화체육관과부, 강릉시

행사구성
-주제전시 : 동시대 국내·외 미술작가 20개국 60여 팀, 100여 작품
-부대행사 : 개막식, 평화프로젝트155, 포트폴리오 리뷰, 체험프로그램
-학술행사 :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화두를 담은 학술포럼


주제
악(惡)의 사전(辭典) / The Dictionary of Evil


○ 비엔날레를 비롯한 국제행사들의 특징은 급진적일 뿐만 아니라 낯선 방식으로 현대미술 담론을 이끄는 주요 무대로 기능한다. 국가와 인종, 예술장르의 한계를 뛰어 넘는 미술흐름을 보여주고, 우리 사회가 주목해야할 가치에 대해 논한다. 이와 같은 개념은 단순히 지역 미술인들의 헤게모니(hegemony) 혹은 진부하고 무능한 감수성을 내뱉는 지역 문화행사의 퇴행적 관행과는 결이 다르다. 

‘악의 사전’(The Dictionary of Evil) 
○ 인간의 본성은 피하지 못한 / 피할 수 없는 경험의 상황에 직면할 경우 정신과 육체의 존재를 개개인 각각 무형질의 공간으로 영원히 추방하고 망각시키는 특성이 있다. 고의든 아니든 두려움 혹은 고통스러운 경험의 상황에 직면할수록 존재의 무기력을 자각하며, 자신도 모르게 사회적 질료 안에 똬리 튼 악(惡)이 보다 가까이 접근할 수 있도록 방임한다. 따라서 역사적, 비극적 경험과 상황에 대해 조형화한다는 건 일시적 성질, 또는 하나의 단면적 현상으로 흘러가는 불편한 시대에 관한 저항이며, 어떤 불행하고 괴이한 조각들을 영원이 과거로 귀납시키는 것에 대한 ‘이의제기’이다. 
‘강원국제비엔날레2018’의 주제인 ‘악의 사전(The Dictionary of Evil)’은 ‘악(惡)’이라는 단어가 전달하는 부정적 선입관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자행된 비극적 경험을 투사하는 실제화 된 주제로써, 더 이상 집필하면 안 될 공통의 비극적 ‘경험’과 ‘상황’을 사전의 한 페이지로 기호화한 명사이다. 그리고 국내외 60여 작가 100여 작품들은 바로 그 ‘경험’과 ‘상황’에서 비롯된 내‧외상(경험의 외상: 시각, 인지, 사고, 결과 / 내상의 경험: 주체, 자아, 실존)을 관통한다.

○ ‘강원국제비엔날레2018’의 주제인 ‘악의 사전(The Dictionary of Evil)’은 선의 결핍이라는 종교적 윤리학의 관점이 아닌, 인간의 도덕적 의식에 반하는 우리 사회 속 (때론)특수하거나 보편적 악을 끝없는 현재로 추념(追念)하려는 예술가들의 노력을 보여준다. 이 노력은 예술언어를 통해 사회 내 예술의 본질과 역할에 대해 질문해온 예술가들의 책무와 비엔날레의 기본적인 역할을 바탕으로 한다. 양심과 방심이 교차하는 당대의 문제들 앞에서 인류가 함께 해야 할 ‘예술적 필요’를 전략적으로 보여줌과 더불어 오늘날의 예술이 언급해야 할 이슈는 무엇이고 담론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가장 현실적인 관점에서 논의한다. 

그 구체적 실현성은 화합과 상생, 평등과 평화, 인본주의에 입각한 ‘올림픽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 역전된 현상을 관통하며,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현실 생태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간사회의 다양한 문제들, 어두운 역사들을 예술의 맥락에서 풀어냄으로써 인류가 나아갈 방향 혹은 길은 무엇인지를 자문하는 데 있다. 

○ 전시는 현대사 100년의 역사를 하나의 ‘사전’으로 상징화하되, 멈춤, 정지가 아닌 순환성을 뜻하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과거와 현재를 잇는다. 이 시공 내에서 작가들은 그동안 다양한 이유로 자행되어 온 선의 결핍, 악의 행태, 인간이 생성한 무수한 재난과 재앙의 역사를 고찰하고 성찰한다. 

인류 거소(居所)로서 불충분해지는 지구환경변화를 비롯해, 자본주의라는 이 시대 가장 강력한 권력 아래 인간이 겪는 실질적, 개념적 이주와 탈주, 정치적·경제적·사회적 배경 내에서 자행되어온 다양한 유무형의 폭력과 쇼비니즘(chauvinism, 배타적 애국주의)을 다룬다. 

여기엔 갈수록 거세지는 이기주의와 순혈주의, 그 어느 때보다도 견고해진 신계급주의 및 신제국주의가 담긴다. 특히 이데올로기의 산물인 전쟁과 난민, 유한계급과 생산노동계급의 갈등, 생물학적 차이가 차별이 되는 사회 등, 인류공영과 공존에 부합하지 못하는 ‘악의 표정’을 작가의 시각에서 거시적 혹은 미시적으로 되짚는다. 

○ ‘악의 사전’은 ‘악의 나열’과 구분된다. ‘악의 사전’은 ‘악’으로부터의 역사 앞에서 더 이상 악에 대해 집중하지 못할 때, 그리고 ‘악’이 ‘초악적’(악의 보편성으로 인해 악이 악으로 인지되지 못하는 상태)으로 변형되어 인본주의와 아무런 차이를 두지 않을 때, 그 악에 의해 발생하는 어떤 상황(불명확하거나 명확한 사건에 희생되는 익명의 주검들)을 기술함으로써 사유하거나 인식재고가 목적이지 단지 악의 형태를 시각화하는 태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외형상 ‘악의 사전’은 ‘악’에 대한 (작가마다 다른 형식의)서술임과 더불어 악에 관한 시각예술이며, 텍스트로써 번역되지 못하는 이미지의 기술이다. 하지만 그 본질은 악으로부터의 경험과 기억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건강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가에 관해 예술가의 입장에서 자문하는 것이자, 우리가 늘 겪고 있는 비자각의 현실, 무감각하게 환대 받는 고통으로부터 이탈해 진정한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인본주의(humanism)
○ ‘강원국제비엔날레2018’의 주제인 ‘악의 사전’은 두려움, 공포, 분노, 애도를 비롯해 마주할수록 고통스럽고 비극적인 역사와 현실,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을 다룬다. 하지만 ‘악의 사전’은 악의 시각적 전유화, 즉 악의 시각화로 인한 타인의 아픔을 재현의 대상으로 삼지는 않는다. 

앞서도 언급했듯 그 보단 인류공통의 문제아래 실종된 생명의 가치, 악화되고 있는 삶의 질과 사회 붕괴, 자본에 의한 인간 존엄성 훼손과 불평등 등, 이미 본성의 질에 대한 예민함을 상실해 제대로 응시하지 못하는 어떤 현실적 ‘악’으로부터 비롯된 상황과 사건들을 돌아보며 일상 속에 파고든 비일상의 일상에 대한 의심(공포와 두려움, 비자발적 유동의 일상)을 연계하는 것에 가깝다. 

이는 추상화 또는 관념화할 대상이라기 보단 ‘병약하지 않은/ 않을 사회를 향한’ 직시해야할 실제이며, 외면이 아닌 예술가의 관점으로 건져 올린 실체일 뿐, 선정적 이미지나 포르노적 시선-관음화 된 표상체계와는 다르다. 또한 기계적 휴머니티가 아닌, 인식변화를 위한 ‘사유의 여백’을 생산하기 위한 불편할 수 있는 제시어이며 종국엔 성찰의 지성이 나아갈 방향성 검토를 종착지로 삼는다. 

○ 궁극적으로 ‘악의 사전’이란 제목의 이 전시가 지향하는 지점은 인간다움, ‘인간가치’에 대한 물음이다. 즉 인본주의(humanism)와 틀이 같은 셈이다. 그렇기에 ‘악의 사전’에는 보다 나은 시간을 준비하고 모든 삶을 보호할 수 있는 공동의 선(善), 결핍된 선에 관한 국제적-예술적 대화를 ‘강원국제비엔날레’를 통해 고민하자는 의도가 배어 있다. 더불어 인류에게 주어진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시간과 인간의 이성과 양심 등에 기반 한 ‘인간본성 회복’에 무게를 둔, 모든 도덕적이고 사회적이며 몰개인적 관심도 동일한 영역이다.

○ ‘악의 사전’은 화합과 상생, 평등과 평화, 차이의 극복이라는 올림픽 정신을 베이스로 하며, 그 정신을 상상계가 아닌 현실로 확장해 소환한다. 평창동계올림픽과 대척되는 지점이 아니라 올림픽정신의 발화점인 ‘인간주의’를 연계하며, 시각예술을 통해 다양한 민족·문화권 구성원들이 공존하는 사회, 사려 깊게 배려하고 양보하며 관심을 갖는 이타적인 삶과 관계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악의 사전’은 우리 주변인들의 아픔과 어려움, 환란의 역사를 함께 공유하고 존중하며 공명할 수 있는 ‘인간가치 실현’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에 방점이 있다. 다만 주제어와 달리 강원국제비엔날레에서는 이를 역설적으로 접근하고 있을 뿐, 종국엔 보다 밝은 내일에 대한 기원을 담고 있다. 그리고 그 기원은 우리가, 우리 손으로, 지금 만들어가야 할 때임을 말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