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병기 : 감각의 분할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김병기: 감각의 분할》전

◇ 한국현대미술작가시리즈 2014년 마지막 전시 <김병기: 감각의 분할>
◇ 한국근현대미술의 산 증인 김병기(1916-) 작가의 60여년에 걸친 작품
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망
- 2014년 12월 2일부터 2015년 3월 1일까지 과천관에서 개최


국립현대미술관은(관장 직무대리 윤남순)은 2014년 12월 2일부터 2015년 3월 1일까지 과천관에서 한국 근현대미술의 산 증인 김병기1916-)의 삶과 예술을 소개하는 《김병기 : 감각의 분할》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국내에 한 번도 소개된 적이 없었던 최근 10여 년 동안의 신작과 개인 소장가들이 소장한 미공개작을 포함, 회화 70여점과 드로잉 30여점이 소개된다. 이번 전시는 한국근현대미술의 역사를 보여주는 김병기의 역작들을 네 시기(추상의 실험 : 1950년대 중반~1970년대 초, 형상과 비형상의 공존 : 1970년대 초~1980년대 말, 감각의 분할 : 1980년대 말 ~ 2000년대 초, 미완(未完)의 미학 : 2000년대 초 ~ 현재)로 나누어 심도 있게 조명한다. 김병기는 1950년대 초부터 서양 현대미술의 전개와 동시대의 흐름뿐 아니라 전통과 현대성, 아카데미즘과 전위, 구상과 추상을 주제로 많은 글을 발표하면서,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방대한 지식과 예리한 비판정신을 갖춘 논객으로서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그리고 경력의 최절정에 있던 1965년, 한국미술협회 3대 이사장으로 상파울로 비엔날레에 참가한 후 뉴욕주의 한적한 동네(사라토가)에 홀연히 남는다. 이러한 선택은 화가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싶은 오랜 욕망에서 비롯되었다.

한국 추상회화 형성기에 서구미술의 역사적 전개에 대해 면밀하게 고찰했던 김병기는 이때부터 현대적인 조형언어인 추상에 대해 질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그의 정물화는 대상의 재현에 머물지 않고, 인간존재의 고독과 존재에 대한 성찰에 대한 은유가 되었다. 그리고 풍경화는 인간과 현실, 역사, 자연,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은유가 되었다. 작가는 스스로 ‘궁극의 예술’이라 천명한 회화를 통해 예술과 인생, 자연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 이를 표현하고자 했다.

평양 출신(광성고등보통학교 졸업)인 김병기는 어려서부터 평양의 신식문명과 전통적인 풍류를 동시에 누리며 성장하였다. (그의 부친은 고희동, 김관호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동경에서 서양화를 배운 김찬영)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고보를 졸업한 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김병기는 김환기(1913-74), 유영국(1916-2002), 이중섭(1916-1956) 등과 함께 초현실주의, 추상 등 1930년대 일본의 신흥미술을 직접 체험하고, 한국전쟁 전인 1948년 월남해 줄곧 한국 추상미술의 정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월남 전에는 북조선문화예술총동맹 산하 미술동맹 서기장, 월남 후에는 한국문화연구소 선전국장, 종군화가단 부단장을 역임하는 등 전후(戰後) 이데올로기 전쟁의 틈바구니에서 예술가이면서 행동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기도 하였다. 또한 서울대학교 강사 및 서울예술고등학교 설립당시 미술과장을 지내면서 한국 미술교육의 토대를 다지는 데 큰 몫을 담당하였다(윤명로, 최만린, 정상화, 임충섭, 조평휘 등 많은 원로화가들이 그의 제자다). 

김병기는 무위(無爲)의 태도로 자기를 비워가며 질문을 하는 욕망의 주체로서 회화에 대한 인문적 통찰을 멈추지 않는 진행형의 화가다. 한 세기를 살아냈음에도 불구하고 해결하지 못한 삶과 예술의 의문과 풀리지 않는 모순들이 산적해 있다고 하는 작가에게서 우리는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 1935-2003)가 말한 ‘조화롭지 못하고 평온하지 않은 긴장’의 실체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전시기간 동안 작가 인터뷰 등을 담은 다큐멘타리(감독: 이화실)가 상영되고, 작가의 작업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드로잉 및 관련자료가 전시되어 작가의 생애와 예술을 입체적으로 체감할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http://www.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일반인 전화문의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대표번호) 02-2188-0600




김병기: 감각의 분할

국립현대미술관은 “본성적으로 논리적이고 지성적인 미술이론가로서 대전(大戰) 후 구미 미술의 동향 정보에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현대적인 조형의식과 논리를 가다듬어 한국현대미술 형성 초기에 추상미학을 적극 주창”(이구열, 1990)했던 작가 김병기(1916-)의 지난 60여년 간의 역작들을 선보인다. 평양출신의 김병기는 일찍부터 근대적인 삶을 내면화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추상과 초현실주의와 같은 신흥미술을 접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월남한 그는 화가, 비평가, 교육가, 행정가로서 한국현대미술의 토대를 정립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추상의 의미와 가치가 한국미술이 직면한 사회․문화적인 특수한 문맥과 서구미술의 수용이라는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논의된 추상미술형성 초기부터 서구미술의 역사적 전개에 대해 면밀하게 고찰했던 김병기는 현대적 조형언어로서 추상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했다. 그는 1965년 상파울로 비엔날레에 커미셔너로 참석한 후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정착하여 화가로서의 길에 매진하였다. 서양문명의 최전방이자 아시아 문명과 만나는 LA에서 그가 보내온 작품들은 추상과 구상, 동양과 서양, 자연과 문명, 정신과 물질, 전통과 현재 등 관습적인 이분(二分)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상반된 힘들을 조화롭지 못하고 평온하지 않은 긴장 속에 묶어 두고 있다. 10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기를 비워가며 예술과 인생에 대한 인문적 통찰을 멈추지 그의 작품에서 관람객은 성숙한 주체성과 신중한 확신을 만나게 될 것이다.

추상의 실험 : 1950년대 중반~1970년대 초

현전하는 작품이 제작된 시기(1950년대 중반)부터 도미(1965년) 후 1970년대 초까지의 작업의 특징은 그가 일본유학시기부터 매료되었던 추상에 대한 적극적인 실험이라 부를 수 있을것이다. 50년대 중반 이후 앵포르멜이 한국화단을 휩쓸기 시작할 무렵 국내 다른 누구보다 해외 미술계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했던 김병기는 프랑스의 앵포르멜 이론과 실천을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작품에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그가 주목했던 것은 전후 인간실존의 표현이라는 앵포르멜의 내용과 물질성보다는, 형식에서 발견되는 서예적 조형미와 초현실주의적인 더블 이미지가 불러일으키는 수수께끼와도 같은 서사성이었다. 뉴욕주(사라토가)에 정착하면서 작가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추상표현주의로까지 확장되었다. 그에게 있어 추상은 문학성 또는 리얼리즘의 대립항이 아니라 이를 포함하고 동시에 넘어서는 것이었다.

〖대표작품〗
<가로수>, 1956,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유연견남산(悠然見南山)>, 1967,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산악도>, 1967, 캔버스에 유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깊은 골짜기에서 떠나오다>, 1972, 캔버스에 유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형상과 비형상의 공존 : 1970년대 초~1980년대 말

1970년대 초부터 형상이 강하게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하고, 그가 평생을 걸쳐 천착하게 되는 소재인 정물과 풍경이 캔버스에 뿌리를 내린다. 작가의 시선이 생활 주변에 머물면서 작업실 내의 미술도구, 도자기, 길가에서 꺾어온 들풀, 사라토가 집 주위의 소소한 풍경 등이 화면을 가득 채우게 된다. 구체적인 형상의 등장은 그가 이전부터 추구했던 추상에 대한 정면 대결 혹은 작가로서의 자기모순이 아니라, 추상의 막다른 길에 다다른 그가 더 깊이 발을 들여 놓은 숙명의 길이었다. 사실 그의 추상회화는 삶에서 유리된 적 없었기에 형상의 등장이 갑작스러운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의 작품은 대상의 형태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사유와 감각 활동이 하나의 현실이 되는 이중적인 재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추상표현주의 이후 미술계에 재등장한 다양한 이미지와 미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 및 태도와도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 시기에는 무엇보다 이지적이고 예민한, 드로잉과도 같은 선(線)의 표현과 공간에 대한 실험이 눈에 띈다.

〖대표작품〗
<사라토가 컴포지션>, 1972,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공간 속의 난초>, 1972, 캔버스에 유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블라인드가 있는 풍경>, 1978,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고초도(枯草圖)>, 1983,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형상들>, 1984,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감각의 분할 : 1980년대 말 ~ 2000년대 초

1980년대 말 도미 후 처음으로 개인전을 치르기 위해 귀국한 이후 2000년 마지막 개인전까지 몇 차례 더 방문했던 이 시기에는 자연스럽게 모국의 풍경과 분단현실을 주제로 한 작품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이 작품들이 정치적이라 할 수 있다면 단순히 한국의 풍경을 소재로 했기때문이 아니라, 관습적인 감각의 분할 방식에 이질감을 불러일으키는 회화적인 언어로써 분단, 전통과 단절된 현대성 등 모순된 현실을 재현하면서 이중의 이질감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이 시기 그의 회화는 공간과 시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표면과 깊이, 사유와 행동 등 이분법적인 구조를 무효화하면서 역사와 현실이 수수께끼처럼 화면 위에 스스로를 드러나게 한다. 형식상으로는 선이 더욱 대담하고 거칠어졌다. 농묵(濃墨)과 같은 검은 선이 화면을 박진감 있게 가로지르고, 이전 시기부터 보였던 긴 직선은 지나치게 분출된 작가의 감성을 절제하듯 또는 파편화된 현실의 부조리를 드러내듯 날카롭게 화면을 분할한다.

〖대표작품〗

‘산하재(山河在)’ 시리즈
<인왕제색(仁王霽色)>, 1988, 캔버스에 유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붉은색 소나무>, 1991,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또 하나의 전쟁>, 1991,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성스러운 삼각>, 1999,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미완(未完)의 미학 : 2000년대 초 ~ 현재

말년은 대개 순응의 시간이다. 지난 시간의 불협화음과 화해하고 얼마 남지 않는 시간과 타협하거나 삶의 관조를 통해 관용과 조화, 종합에 이를 때다. 그러나 한 세기를 살아낸 김병기는 여전히 타협과 절충을 경계하고 ‘간극’에서 새로운 창조를 시도한다. 2000년 중반 40여 년간의 미국 동부에서의 생활을 마감하고 LA로 거처를 옮기면서 그의 작업은 다시 한 번 전환의 계기를 맞이한다. 캔버스에 캘리포니아의 풍광이 가득 담기면서 이전 시기의 강한 원색은 자취를 감추고 LA의 화창한 하늘과 누런 대지의 색이 주조를 이룬다. 더욱 노련해진 필력으로 화면을 장악하고 있는 선들은 작가의 스튜디오가 위치한 헐리웃 마운틴(Hollywood Mountain)의 풍광이자 조국의 산천, 모든 인간이 종국에는 귀의할 만물의 본체, 즉 무한히 변하지만 결국에는 하나인 자연을 표현한 것이다. 이 시기 그의 작업은 ‘논 피니토(non finito)’, 즉 ‘완성으로서의 미완’을 구현하고 있다. 화려한 채색과 수사는 최대한 줄고 안료의 층은 가능한 최소화되어 캔버스의 바탕과 작업의 흔적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으며, 비어있는 공간은 그 자체로 충만하다. 이는 화면이 칠해지기 보다는 주로 선으로 그어졌기에, 즉 획(劃)으로 이루어졌기에 가능하다. 작가는 그 어느 때보다 선을 주요 매개로 하여 세상을 인식하고, 개별적인 마음과 외부 대상을 연결한다. 백묘(白描)에 가까운 작품들은 관람자로 하여금 층위가 다른 세계로의 전이(轉移)를 반복하게 만든다.

〖대표작품〗
<산의 동쪽>, 2008,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
<방랑자>, 2012, 캔버스에 유채, 작가소장
<연대기>, 2013, 캔버스에 유채, 작가소장
<사각형>, 2014, 캔버스에 유채, 작가소장





작가 소개
Biography
1916 평양 출생
1933 광성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 가와바타(川端)화학교 입학
1934 ≪汎≫전(개인전)에 지도형태의 추상작품 출품
1935 아방가르드양화연구소(アヴァンギャルド 洋畵硏究所) 입소
축지소극장(築地小劇場)에서 공연된 동경학생예술좌 주영섭의 ‘나루’,
유치진의 ‘소’의 무대배경 제작
1936 문화학원 입학
아방가르드양화연구소 연구생들이 모여 만든 미술단체인 백만회(白蠻會)에 가담
김환기 길진섭 등과 제1회 ≪백만전≫ 참가
1938 평양출신 문학가 그룹 단층(斷層)의 동인지 『단층』(제3권) 표지화 제작
1939 귀국, 결혼
1944 이중섭, 문학수, 황염수, 윤중식 등과 함께 평양 체신회관에서 ≪6인전≫ 개최
1945 북조선문화예술총동맹 산하 미술동맹 서기장
1946 조선조형예술동맹 참여
1947 월남
1948 제2회 ≪조선미술문화협회전≫(동화백화점 화랑)에 ‘황혼’ 출품
1949 한국문화연구소 선전국장
1950 이쾌대, 김환기, 남관, 장욱진, 송혜수, 김영주 등과 함께 50년 미술협회를
조직했으나 전쟁으로 전시 개최 불발
1951 종군화가단 부단장
1953 부산 피난지 남포동 다방에서 “피카소와의 결별” 발표
서울대학교에서 예술론, 실기(회화과) 강의(~1958)
1954 서울예술고등학교 제1대 미술과장(~1965)
1955 한국미술가협회 회화부 위원
1957 조선일보 주최의 ≪현대작가초대미술전≫ 참가(~1963)
1958 ≪한국현대미술전≫(미국 월드하우스 갤러리)에 ‘가로수’ 출품
1959 광화문에 현대미술연구소 개소, 유영국과 함께 강의
1960 한국미술평론가협회 결성에 참여
현대미술가연합 결성에 참여
1961 대한미술협회, 한국미술가협회가 통합되어 결성된 한국미술협회 위원
파리 비엔날레 대표작가 선정위원
1964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1965 제8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커미셔너 및 국제전 심사위원
록펠러재단 그랜트로 미국의 미술관 및 미술교육기구 탐방
1966 Skidmore Collage에서 동서미술비교론 강의
1970 한국일보 주최의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에 김환기의 권유로 ‘피에타’ 출품
1972 보스톤 Polyarts Gallery 초대 개인전
1978 Empire State Collage 미술지도교수(~1987)
1986 가나화랑 초대 개인전
1989 뉴욕주 웨체스터로 이사
1987 가나화랑 초대 개인전 ≪산하재전≫
1990 가나화랑 초대 개인전
1992 ≪원로회화작가전≫(국립현대미술관)
1996 파리 체제, 파리 Benamou-Gravier 초대 개인전
2000 가나아트센터 초대 개인전
2006 LA로 이사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