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곽덕준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1970년대 초 작품부터 확고한 예술적 기반을 구축한 199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53점의 작품을 통해 곽덕준의 예술세계 전반을 조망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컬렉션 ‘곽덕준’전 개최
- 2000년 광주비엔날레, 2003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재일작가 곽덕준의 작품 53점 선봬

광주시립미술관(관장 황영성)은 3월 6일부터 7월15일까지 일본에 거주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통해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인정받고 있는 재일작가 곽덕준전을 개최한다. 이번전시는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하는 광주시립미술관과 역사를 함께해 온 하정웅컬렉션의 가치와 정신을 기리기 위해 하정웅 제1차기증(1993년) 작품 중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주목받는 작가를 선정하였다.

곽덕준(1937~)은 일본 교토 출생의 재일교포 2세로서 1955년 교토 시립미술공예학교를 졸업하였다. 사회비판적인 주제를 넌센스와 유머로 풀어내는 그의 독특한 예술세계는 전후 일본미술사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또한 1995년 베니스비엔날레 특별전과 2000년 광주비엔날레 참여, 2003년 국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로 선정, 2007년 미국 게티 센터(GETTY CENTER) 연구소에 등록되는 등 그 예술적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그는 줄자, 계량기, 신문, 잡지 등 일상생활에서 진리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것들의 예상치 못하는 조작, 즉 모호함과 우울 그리고 블랙유머가 뒤섞인 개념적인 작업으로 '존재의 근원'에 대해 탐구하고, '절대적 가치나 사회적 통념'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다. 그것들을 통해 우리가 진실이라 믿고 있는 세상과 인식의 허구성, 즉 '세계의 무의미'를 이야기 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 53점은 모두 하정웅 기증작품으로, 전시는 "존재의 증명", "대통령과 곽", "무의미" 등의 3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 특히 1972년 제8회 동경국제판화비엔날레 문부대신상 수상작 "행위-관계"를 비롯하여 일본 내 중요작가로서 그 존재감을 획득하게 해주었던 1982년 교토시립미술관 주최 <근대일본의 자화상>전에 출품했던 "자화상", 2000년 광주비엔날레 출품작이자 대표작인 "대통령과 곽" 시리즈 등이 포함되었다. 주목할 점은 자신의 가치관과 예술관의 실천을 위해 치열한 예술적 실험을 감행했던 1970년대 초 작품부터 확고한 예술적 기반을 구축한 199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곽덕준의 예술세계 전반을 조망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일본 태생의 한국인으로서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모호한 정체성을 가진, 이방인의 시선으로 세계의 무의미를 이야기하는 곽덕준의 작품은 자신을 비롯한 이 세상의 마이너리티를 위한 진혼곡이라 하기에 충분하다. <곽덕준展>은 소외된 자들을 위한 '기도의 미술'이라 일컬어지는 하정웅컬렉션의 정신과 숭고한 메세지를 다시금 되새겨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Ⅰ. 존재의 증명

곽덕준은 일본 태생의 한국인으로서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양국 모두에서 이방인일 수밖에 없는 모호한 정체성을 가진 작가이다. 이러한 태생적 이유로 인하여 그는 자기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을 제기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20대 초에 폐결핵에 걸려 죽음의 문턱을 넘나들었던 경험은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문제와 현실세계에 대해 깊이 성찰하는 계기가 되어 작품 전반에 걸쳐 반영되었다.





Ⅱ. 대통령과 곽

≪TIME≫지를 사용한 것은 그것이 가장 영향력 있는 잡지이기 때문이고, 미국의 대통령은 이 시대 최고의 권력자, 즉 ‘세계’를 상징하는 기호로서 선택되었다. 인쇄매체의 표지에 등장하는 ‘세계’로 상징되는 미국 대통령의 얼굴과 미미(微微)한 존재로서 ‘개인’의 상징인 자신의 얼굴을 이어서 만든 기발한 트릭을 통하여 현대사회에서 공유되는 정보와 인식의 허구를 넌센스의 유머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믿고 있는 절대적인 것의 부재 혹은 미디어를 통해 여과 없이 받아들인 정보가 마치 진실인 것처럼 이야기되어지는 일상 개념들의 허구성을 깨닫게 해준다.




Ⅲ. 무의미

1970년대 <반복>시리즈에서는 신문지면을 실크스크린으로 반복적으로 찍어냄으로서 진실이라 믿고 있었던 신문보도를 어둠속에 사라져 버리게 하였고, 1979년 이후 <기록> 시리즈에서는 ≪TIME≫지의 페이지를 붙인 후 사진이미지만 남긴 채 호분으로 하얗게 칠하고 고대 동굴벽화에서 봄직한 원시적 동물 문양을 반복적으로 그려 넣어 현대사회의 정보를 무의미하게 만들어 버렸다. 1990년대 <무의미>시리즈에서는 스누피처럼 생긴 사람들이 코트깃을 세운 채 눈치를 보며 일제히 한 방향으로 걸어간다. 획일적으로 똑같이 생긴 사람들, 눈치를 보며 한 방향으로 걸어가는 사람들, 코트깃을 세워 아무것도 들으려 하지 않는 사람들.... 정해진 틀 안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조차 모른 채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어린이 만화캐릭터에 빗대어 그려낸 일종의 블랙코미디이다.





광주시립미술관 김희랑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