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옛 글씨의 아름다움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탁본, 복제품 및 이미지자료 40여점
2010년 기획전

옛 글씨의 아름다움
-그 속에서 역사를 보다-


The Beauty of Ancient Korean Calligraphy
-Inside it is history-


이천시립월전미술관은 2010년 9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약 32일간 <옛 글씨의 아름다움-그 속에서 역사를 보다- The Beauty of Ancient Korean Calligraphy-Inside it is history->전을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유물을 통해 고대 글씨의 아름다움을 느낌과 동시에 역사와 문화도 배울 수 있는 전시입니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반구대암각화와 광개토대왕비 탁본을 비롯하여 전국 박물관, 연구소 등에 소장되어있는 교과서에서 보았던 유물과 탁본을 한 전시에서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 전시개요
o 전시명 : <옛 글씨의 아름다움-그 속에서 역사를 보다->
o 주 최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o 기 간 : 2010. 9. 10(금) ~ 10. 17(일)( 38일간)
o 장 소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1~4전시실
o 전시작품: 탁본, 복제품 및 이미지 자료 40여 점



2007년 8월 14일 문을 연 이천시립월전미술관이 올해로 개관 3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우리 미술관의 소장품을 중심으로 하여 문자특별전 <옛 글씨의 아름다움>전을 개최합니다. 시서화詩書畵 삼절이었던 고 월전 장우성(月田 張遇聖, 1912-2005) 선생은 자신의 소장품을 사회에 환원하고자 자신의 작품을 비롯한 소장품 1,532점을 이천시에 기부하셨고, 이천시는 이러한 선생의 정신을 받들기 위해서 이천시립월전미술관을 건립하였습니다.
선생은 자신이 단순한 화공畵工이기를 거부하셨고 서書와 화畵를 더불어 좋아했으며 서書 가운데에서도 특히 금석金石에 새겨진 글씨를 좋아했습니다. 그 금석의 글씨가 허소졸박虛素拙朴한 맛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선생의 소장품에서도 이러한 취향을 읽을 수 있습니다. 선생의 소장품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글씨는 <광개토왕비> 탁본이고, 가장 대표적인 그림은 <반구대암각화> 탁본입니다. 두 작품 다 그 질이 상당히 높고 보존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전에 선생은 자신의 작업실이었던 한벽원갤러리(구 월전미술관)에 <광개토왕비> 탁본 을 걸어두고 완상하셨을 정도로 이 작품에 진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탁본은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출간한 국내 소장 『광개토대왕릉비탁본도록』에서 유일한 개인소장본으로 이미 소개된 바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그 글씨를 보고 싶어하던 차에 이번 전시를 통해 15년 만에 다시 4면의 글씨를 모두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그 규모의 웅장함과 그 글씨의 예스러우면서 웅건함에서 고구려인의 기상을 만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두 작품과 더불어 더 많은 우리 옛 글씨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기 위해서 선사시대와 삼국시대 금석의 글씨를 모았습니다. 선시시대의 것으로는 그림인 듯 글씨인 듯한 <남해상주리암각화>와 신라명문을 같이 지닌 <울주천천리각석>이 있습니다. 고구려의 글씨로는 <광개토왕비>와 같은 서체로 쓰인 <광개토왕비호우>, <중원고구려비>, <평양성석각> 등이 있어 고구려 글씨의 웅건함과 자유자재함을 동시에 맛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백제의 글씨로는 유려한 <무령왕지석>, 백제 글씨의 정수인 <사택지적비>, 최근 발견된 <왕흥사지청동제사리함명문>과 <미륵사지금제사리봉영기> 등이 있어 백제 글씨의 세련됨과 수수함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신라의 글씨로는 2009년 발견된 최고비最古碑 <포항중성리비>로부터 <진흥왕순수비>를 거쳐 <임신서기석>에 이르기까지 20여 점이 있어 신라 글씨의 고박함을 감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전시를 통해 옛 글씨의 아름다움을 감상함과 더불어 거기에 담긴 역사를 읽어보고자 하는 의미에서 "문자를 통한 한국 고대의 역사와 문화"라는 교육프로그램도 동시에 진행할 예정입니다. 여러 가지 학문의 융합 가운데에서도 서예와 역사의 융합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는 분위기가 팽배한 지금이 그 시도를 해봄직한 시점이라 여겨집니다.
이 전시는 고대 금석문의 내면과 외면을 모두 살펴보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월전 선생의 문인정신을 드러내기 위한 것입니다. 선생은 문사철文史哲을 인격 소양의 근본이라 여기고 예술가의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여겨 몸소 그것을 실행하셨던 분입니다.
모쪼록 이 문자특별전을 통해 우리의 예술과 역사가 더 널리 알려지고, 더불어 월전 장우성 선생의 문기文氣가 만방에 퍼지기를 바랍니다.




전시실1,2
<선사시대>
*천전리서석 탁본
*반구대암각화 탁본
*상주리석각 탁본
<백제>
*무령왕지석 복제품, 탁본
*무령왕비지석 복제품, 탁본
*무령왕릉전명
*사택지적비 복제품, 탁본
*미륵사지인각와 14점
*왕흥사지청동제사리함 명문 이미지
*미륵사지금제사리봉영기 이미지


전시실3
<고구려>
*광개토왕 호우 탁본
*태왕릉전명
*중원고구려비 탁본
*평양성 석각
<신라 1>
*천전리서석 탁본 부분 이미지
*포항중성리신라비 복제품, 탁본
*냉수리비 탁본
*영천청제비[병진명] 탁본


전시실4
<신라 2>
*단양신라적성비 탁본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 영인본
*대구무술명오작비 탁본
*울진봉평비신라비 복제품, 탁본
*남산신성비 1~9비 탁본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탁본
*임신서기석 탁본






■ 연계프로그램
교육강좌 : 문자로 본 한국 고대의 역사와 문화
(윤선태|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기간 : 2010년 9월 10일, 17일, 10월 1일, 8일, 15일 (총 5회)
시간 : 금요일 오후 2시-4시
장소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층 세미나실
*자세한 내용은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바랍니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경기도 이천시 엑스포길 48
Tel. 031.637.0032/3,
Fax 031.637.0177
www.iwoljeon.org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