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검여 유희강(劍如 柳熙綱) 서거 30주년 기념 특별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검여 선생 서거 30주기가 되는 해로 그간의 전시와 학술성과를 토대로 검여 예술의 형성과정과 근ㆍ현대 서단에서의 위치를 자세하게 소개하는 전시




전통 서예와 동서양 미술 가로지른 최후의 대가
검여 유희강(劍如 柳熙綱) 서거 30주년 기념 특별전




“다량의 인물 및 생애 사진 자료, 각 시기별 작품 총망라”
“계축 묵희에서 엿보이는 회화적 조형성과 현대성 주목”



(재)인천문화재단은 인천 문화예술 대표인물을 재조명하는 기획시리즈 두 번째로 ‘불굴의 예술혼’ 검여 유희강(1911-1976)의 삶과 예술세계를 기념 전시와 학술심포지엄으로 재조명 한다. 올해는 검여 선생 서거 30주기가 되는 해로 그간의 전시와 학술성과를 토대로 검여 예술의 형성과정과 근ㆍ현대 서단에서의 위치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이번 전시 및 심포지엄의 목적이다. 특히 이번 전시와 심포지엄은 20세기 근현대 한국서단의 전개맥락과 그의 생애시기와 작품시기를 그림과 글씨, 서예와 미술을 동시에 비교하면서 살펴보는데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다.




전시작품은 ‘계축묵희’, ‘나무아미타불’, ‘관서악부’ 등 글씨, 제발, 문인화, 묵희 등 총 260 여점이다. 전시는 장르별 작품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검여 서예의 형성과정과 글씨와 그림, 서예와 미술과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살펴본다는 입장에서 다음과 같이 크게 5가지로 구성하였다.


① 해행서 전예 대자서 등의 글씨
② 사군자 문인화 중심의 그림
③ 갑골문 종정문 선조추상 등의 계축묵희(癸丑墨戱)
④ 제발(題跋)
⑤ 생애자료








칼처럼 날카롭고, 돌처럼 단단한 가운데 박처럼 둥근 글씨
검여 예술세계는 우선 글씨와 그림 모든 장르를 하나로 꿰고 있다는 데에서 남다른 특질이 있다. 서체별로는 해행서ㆍ전예ㆍ대자서 등의 글씨, 사군자ㆍ문인화ㆍ유화 중심의 그림, 갑골문ㆍ종정문ㆍ선조추상 등의 계축묵희(癸丑墨戱), 각종 제발(題跋)작품을 통해 보듯이 모든 서체와 양의 동서를 넘나드는 그림에서 이러한 사실이 증명된다.



특히 육조해서의 강한 골기와 갈필의 금석기운이 미술에서의 구축적인 조형감각과 결부되면서 전혀 새로운 획질(劃質)과 결구(結構) 장법(章法)을 ‘검여색’으로 구사해내는 것이 두 번째 특질이다. 그런데 이것은 다시 우반신 불수라는 서예가에게 있어 사형선고나 마찬가지 시련을 예술로 이겨낸 결과물이다.
이 점에서 검여가 평생 예술의 궁극적 지향처로 여겼던 ‘검여(劍如)’ , ‘석여(石如)’, ‘표여瓢如)’의 삼여(三如), 즉 칼같이 날카롭고, 돌처럼 단단하고, 박처럼 둥글둥글한 성격은 검여 삶의 모토이기도 한데, 결과적으로는 예술이 삶 그 자체로 형상화되었다는 점이 검여 예술의 또 다른 특질이라 하겠다.



■ 학술심포지엄
일 시 : 2006년 11월 11일(토) 오후 1시 - 오후 6시
장 소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
주 제 : 검여 유희강의 생애와 예술세계

Session 1
검여 유희강의 삶과 예술세계 / 14:10 - 15:10
1. 검여 유희강의 생애_이희환│인하대학교 강사
2. 검여 예술의 형성과정과 특질_선주선│원광대학교 서예과 교수


Session 2
검여 유희강의 위상과 한국 서예 현황 조망 / 15:10 - 16:10
3. 검여와 중국 근대 서예_곽노봉│경기대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4. 한국 근현대 서예사에서의 검여_이동국│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전시기획팀장

Session 3 종합토론 / 16:30 - 18:00



좌 장
김양동│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서예과 교수

토론자
윤용구│인천시립박물관 학예실장
김병기│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문정희│한국미술연구소 연구위원
김형숙│서울대학교 동양화과 교수



■ 심포지엄 사전 등록 및 문의
11월 11일(토)에 열리는 학술심포지엄에 참석하실 분은 10월 31일(화)까지 팩스 또는 이메일(성명, 소속, 직책)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석자께는 전시 도록을 기념으로 드립니다. (30,000원 상당)

문의 인천문화재단 문화사업팀
405-220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1동 1464번지 한국토지공사빌딩 3층
Tel. 032-455-7134 Fax. 032-455-7190 E-mail : ikong@ifac.or.kr


주 최_(재)인천문화재단│후 원_문화관광부, 인천광역시



하단 정보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