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꿈꾸는 화장실 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화장실에 있는 변기, 세면기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 감성을 거쳐 흥미로운 조형 예술품으로 등장한 건축도자의 한 분야인 화장실이라는 공간을 연구하고 재해석해 건축도자의 개념을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기획된 전시




화장실에서 쓰이는 위생도기들이 우리에게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약 한 세기 전이다. 프랑스의 예술가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이 1917년에 "분수(Fountain)"라는 이름으로 소변기를 엎어 놓고 전시했던 것이 아마도 사람들이 위생도기를 좀 더 다르게 생각하게 된 첫 번째 계기였을 것이다. 뒤샹은 이 변기에 "분수"라는 제목을 붙임으로서, 소변기가 가지고 있던 고유의 의미를 분리시키고, 관중들로 하여금 이 도기를 새롭게 해석하도록 초대했다. 수많은 소변기의 하나였을지 모르는 뒤샹의 "분수"는 그것을 전시장안에 가져다 놓은 순간, 아니 뒤샹이 그 소변기를 선택한 순간, 이 전에 가졌던 고유의 의미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다.









<꿈꾸는 화장실> 전 역시, 뒤샹의 시도의 연장선상에 있다. 프랑스의 사상가 롤랑 바르드(Roland Barthes)가 "신화들(Mythologies)"이라는 이름으로 문화 속에 스며들어 있는 많은 아이콘들을 재해석했을 때, 우리는 지금까지 문화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수많은 문화 산물들을 사유의 과정 없이 어떻게 그대로 받아드려 왔는지 생각해보았다. 결국, 우리는 이미 만들어진 'Ready-made' 문화를 여과 없이 소비하고 있었던 것이다. 화장실 역시, 전통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거리감이 있는 장소였고, 그것을 생각 없이 받아들였다. 하지만, <꿈꾸는 화장실>전을 통해 뒤샹의 시도했던 것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금껏 생각해 보지 않았던 화두를 던지고자 한다. 건축 재료로서 일상생활의 쓰임으로만 여겨졌던 화장실의 세면기, 변기 같은 위생도기가 회화, 설치, 미디어, 조각, 사진, 도예 등 다양한 장르의 작가들의 감성과 손을 거쳐 조형적 예술품으로 재탄생 하게 되었다. <꿈꾸는 화장실> 전은 일반적인 전시진행과는 다르게 큐레이터, 작가, 산업체가 함께 전시의 시작에서부터 작업과정, 그리고 완성의 마지막 단계까지 함께 기획하고 진행되었다. 그 첫 번째 과정으로 중국 제일의 위생도기 산업도시인 광동성 포샨에 위치한 동붕 위생도기 사에서 2006년 6월 1일부터 약2주간에 걸쳐 1차 워크숍을 가졌다. 중국을 대표하는 위생도기 회사 중 하나인 동붕사는 이번 워크숍을 위해 600여 점의 위생도기와 스튜디오를, 개성도자유한공사는 다양한 색상의 유약과 테크니션을 작가에게 제공하였다. 이후 작가들의 개성 있는 작품의 추가제작 과정 및 설치를 위해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 연수관에서 2차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창조된 위생도기는 작가와 산업체 그리고 일반 모두에게 신선한 자극으로 작용될 것이며, 예술작품으로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 알리고자 한다. 많은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며 쏟아져 나오는 현대미술 속에서 우리는 신선한 충격을 안겨줄 무언가를 늘 갈망하고 있다.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체도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하며, 새로운 소재를 찾는 예술가 역시도 상상력을 펼칠 특별한 계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의 <꿈꾸는 화장실>전은 예술과 문화, 산업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화의 시작을 꿈꾼다. 이번 기획전은 끊임없이 새로움을 추구하는 클레이아크 정신을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다.




참여작가
조성자 Seong-Ja CHO (Korea)
최인선 In-Sun CHOi (Korea)
홍승혜 Seung-Hye HONG (Korea)
코오더 KOORDER - 마티아스 베르제르 Matthias BERGER & 틸 하넬 Till HAENEL (Swizerland)
에릭 리오 Eric LIOT (France)
베르나르 프라 Bernard PRAS (France)
토니 술리에 Tony SOULIÉ (France)
웨이화 WEI Hua (China)
용환천 Hwan-Cheon YONG (Korea)


주관Organizer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 (Clayarch Gimhae Museum)

협찬Sponsor
동붕위생도기유한공사(Dongpeng Ceramic Co., Ltd)
개성도자유한공사 (Individuality Ceramics Co., Ltd)
종티안디자인유한공사(Zhongtian Design Co., Ltd)

후원Support
주한프랑스대사관(Franch Embassy in Korea)
주한스위스대사관(Embassy of Switzerland Seoul)
글래드스톤도자박물관(Gladstone Pottery Museum)
술랍국제화장실박물관(Sulabh International Museum of Toilets)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