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강승애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작가 강승애가 신앙과 Joy 라는 테마로 진행해온 작업을 전시




신앙과 Joy



작가는 곳곳에서 자연의 질서, 그리고 그 자연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손길을 전하려고 하며 태양에서부터 빛과 열이 나오듯이 나의 그림에서는 감사와 아름다움이 배어나온다.

농부가 거름을 주어 좋은 토양을 만들듯이 작가는 농부의 심정으로 그림을 그리며 마치 원예사가 식물을 소중히 돌보듯이 아름다움으로 채워 간다. 여러 번의 바탕칠을 통한 밀도 있는 화면 정지작업, 그 위에 색채, 이미지 넣기 등의 순서로 완성되어가며 색깔과 이미지들이 얹혀지면서 화면은 서정적인 정취를 풍기고 아울러 정겨운 마당이 된다.

작가는 자신이 무엇을 달성했거나 충족했다고 해서 축복된 삶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아직 못 이룬 것, 추구의 열망이 살아 있기 때문에 가슴 깊이에서 우러나오는 마음으로 창작에 임한다. 바로 그 열망이 그의 작품을 활기 있게 하는 원천이다.

서성록│안동대 교수









강승애의 작업은 시원하다.
큰 붓으로 죽죽 밀어 큼직큼직한 붓자국들이 흰색과 검은색을 썼음에도 마치 수채화를 보듯 맑으며, 화면 속의 형상들은 넓은 여백 위에 대범한 구도로 잘 들어서 있다. 서양화지만 여백의 아우라를 중시하는 한국적 정서가 배어 나온다. 작가는 자연을 주로 주제로 삼는데, 작가의 눈으로 여과되어 캔버스 위에 그려지는 자연물은 작가의 섬세하고 날카로운 직관에 의해 해체되고 재구성되어, 실제와 매우 다른 모습으로 화면 위에 나타난다.

신앙인인 작가의 영성 안에서 그의 직관으로 보여지는 자연은 생물학적인 자연의 현상적 모습이 아니라, 하나님의 신묘막측하고 영화로운 세계를 조금씩 혹은 많이 제각각 드러내 주는 통로이자 표상인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자연을 그리면서도 그 안에서 느낄수 있는 영적인 세계를 상징하여 그리고자 노력한다. 작가는 실제의 작업보다 상징으로 이루어진 다분히 추상적인 작업이 보는 이에게 다 많은 상상력과 영성 및 세계를 여는 스위치이자 통로가 됨을 아는 것이 분명하다.








직관의 세계속에 드러난 영적상징 강승애
하나의 작은 씨앗에서 온 우주의 섭리를 느끼듯이, 작가는 원대한 큰 것들을 그리지 않는다. 그가 즐겨 그리는 화분은 선으로 뼈대만 짐작할 수 있거나 최대한 단순히 그리며, 화분에 삐죽 솟아난 새싹이나 꽃들도 자세히 그리는 법이 없다. 그러나 그의 작업은 항상 풍성한 무언가를 담고 있다. 깊이 있고 다양한 부드러운 톤의 색감도 그러하고, 형상과 상징들의 뭔지모를 따뜻한 몸짓도 그러하다.

왜 그러한 느낌을 가질까? 이것은 작가의 영적 깨달음과 깊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작가는 작품 속의 식물이나 사물들에 은연중에 자신을 투사한다. 작품 속에 표현된 구상적인, 추상적인 형상들이 자신의 모습의 일부분인 것이다. 작가가 삶을 살아가면서, 하나님과의 동행의 여정 속에 매일매일 부어지는 은혜와 생명, 구원의 진리와 그 기쁨들의 체험들을 작가는 화면에 담아왔다. 그것은 개인의 삶으로 매우 소소한 것이기도 하나, 반면에 그것들에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큰 섭리의 깨달음이 담겨져 있다.

작가는 철저히 주관적인 시각으로 자신의 삶에 주신 그 소중한 감정들을 일기를 쓰듯 시각언어로 남기는 것이다. 세상의 큰 가치-자유나 정의, 사랑 같은-는 한 사람 한 삶의 삶의 가치들이 발단이 되어 이루어진다. 그래서 강승애의 작품은 작지만 큰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것이 보는 이를 행복하게 한다.
전경희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