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전신사조(傳神寫照) 한국의 얼굴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5-11-13 ~ 2025-11-23

  • 참여작가

    선기현, 김선태, 이건용, 이창규, 최종태, 이태길, 이성자, 김춘식, 김일해, 이용운, 김병종, 채용신, 조중태, 배정례, 장운상, 이규선, 추교영, 정승섭, 박득순, 박영선, 김형근, 김태, 김흥수, 배동신, 강우문

  • 전시 장소

    미술관 솔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63-285-0567

  • 홈페이지

    http://blog.naver.com/artmuseumsol/222459590418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전 시 명:  전신사조(傳神寫照) 한국의 얼굴
■ 일 자 : 2025.11.13 ~ 11.23
■ 운영시간 : 미술관 솔 오전 10시 ~ 오후 5시 (매주 월요일 휴관)
■ 장 소 :  전북특별자치도 완산구 팔달로 212-6 (4층) 미술관 솔
■ 티 켓(예매처 또는 가격) : 무료
■ 참여작가 : 선기현, 김선태, 이건용, 이창규, 최종태, 이태길, 이성자, 김춘식, 김일해, 이용운, 김병종, 채용신, 조중태, 배정례, 장운상, 이규선, 추교영, 정승섭, 박득순, 박영선, 김형근, 김태, 김흥수, 배동신, 강우문
■ 주최/주관 : 전주시 / (재)전주문화재단, 미술관 솔
■ 문 의 : 063) 286-0567


[미술관 솔] 전신사조(傳神寫照) 한국의 얼굴
-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다양한 초상․인물화 34점 전시
- 채용신 작품 2점 처음 공개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동양의 전통사상이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는 사회문화를 가지고 있다.
“초상화를 그릴 때에는 그 인물의 형상을 재현하는 것에 그치지 말아야하며, 그 사람의 정신세계까지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전신사조는 동양에서 초상화를 그릴때 가장 중요시하는 가치 중 하나이지만 이것은 비단 우리가 말하는 동양화(한국화)에만 치중되어 있진 않다.
일제 강점기를 기점으로 생겨난 한국인이 그리는 서양화는 어떠할까?
이번 전시는 이런 의문에서 시작해 장르에 국한하지 않고,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다양한 초상․인물화 작품을 전시한다.

 '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전주시가 주최하고 전주문화재단과 미술관 솔이 주관한 특별전 <전신사조(傳神寫照) 한국의 얼굴> 展이 오는 11월 11일(화)부터 23일(일)까지 전주시 경원동 미술관 솔에서 열린다. 개관이래 오늘까지 전북 미술사 정립을 위해 꾸준히 전시를 기획하고 있는 미술관 솔은 이번 전시 역시 지역 미술사 아카이브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선의 마지막 어진화사 채용신의 최초 공개작을 시작으로, 현역 작가들의 작품까지,
작고작가 (한국화-채용신, 조중태, 배정례, 장운상, 이규선, 추교영, 정승섭) (서양화-박득순, 박영선, 김형근, 김태, 김흥수, 배동신, 강우문)
현역작가 (한국화-김병종)(서양화-선기현, 김선태, 이건용, 이창규, 최종태, 이태길, 이성자, 김춘식, 김일해, 이용운)
총 34점(한국화 15점, 서양화 19점)이 전시된다. 전북을 기반으로 활동했었던, 현재 그 길을 이어가고 있는,  전북의 뛰어난 작가들과 더불어 전국의 여러 지역에서 다채로운 활동을 했던 작가들의 작품들이 고르게 구성 되어 있어, 다양한 작품을 감상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인물을 그린 작품을 장르 구분 없이 다양하게 보여줌으로써 동양의 전신사조 개념이 각 작품에 어떠한 방식으로 투영되어 표현되었는지 장르별로 작가별로 비교해 보고 감상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 전북지역의 소중한 예술자산인 작고 작가들의 작품과 삶 역시 재조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를 지역 관광문화 컨텐츠로 자리 잡는다면 이는 문화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문화유산으로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전시가 될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