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2024 OCI YOUNG CREATIVES: 박예나 Interstitium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24 OCI YOUNG CREATIVES 박예나 《Interstitium》


○ 2024 OCI Young Creatives 선정 작가 박예나(1990~)의 개인전

○ 인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탄생한 인공 사물과 물리적 신체를 가진 인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

○ 거대해지는 ‘온라인 생태계’와 ‘아티젝타’ 자체에 초점을 맞춰 선보인 《핫스팟 베이스 캠프》(2023)의 연장선

○ ‘아티젝타’의 끊임없는 증식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가상의 폭발 사건의 현장 구현

○  가상과 물질 세계의 경계를 넘나들며 두 세계의 새로운 융합 시도



OCI미술관(관장 이지현)은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2024 OCI YOUNG CREATIVES의 선정 작가인 박예나의 개인전 《Interstitium》을 5월 9일부터 6월 15일까지 OCI미술관 1층 전시장에서 선보인다. 

박예나 작가는 물리적인 신체를 가진 자신과 이러한 인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탄생한 인공 사물들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역으로 인공사물이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는 듯한 양상에 주목한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인공 생태계를 인간 중심적 목적을 가진 객체적인 세계가 아닌 주체적인 세계로 보고, 인공 문명 속 다양한 객체(사물)들을 물리적인 설치와 디지털 미디어 작업을 병행하면서 풀어가고 있다.

쾅-! 고막이 터질 듯 무시무시한 굉음과 함께 천지를 뒤흔드는 균열이 발생했다.

흩어진 파편으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물들이 전시장 한가운데 우뚝 솟아 거대한 융합체를 이루고, 그 사이로 얼기설기 얽힌 형형색색의 케이블 더미가 사방으로 뻗어 나가며 공간을 지배한다. 복잡한 기계 장치를 연상케 하는 구조물은 시공간을 초월한 미지의 세계로 안내한다. 걷잡을 수 없이 거대해지고 있는 온라인 생태계와 인공 사물 데이터(아티젝타)라는 존재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를 풀어나간 <핫스팟 베이스 캠프(2023)>의 연장선인 이번 전시는  ‘아티젝타’의 끊임없는 증식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가상의 폭발 사건의 현장을 전시장에 구현한다. 

전시명 “Interstitium”은 그물망 형태의 결합조직으로 인체 장기들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인 사이질을 칭하는 의학용어이다. 관찰하기 힘든 구조였던 “Interstitium”은 최근에 신체 내부 정보가 오가는 네트워크망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어, 기관의 일종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주장 및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항상 존재해왔지만 관찰되지 못했다는 점, 인간의 시각의 한계를 드러내 준다는 점, 경계가 불분명 하다는 점, 신체 내부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망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주제의 속성을 암시한다.


이번 전시의 출품작들은 크게 <사건의 부분>과 이에 관한 단서를 제공해주는 <자라는 구조(Growing structure)> 두 가지로 나뉜다. 전시장 중간에 우뚝 솟아 시선을 압도하는 <사건의 부분(Part of the incident) >은 여러 가지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다양한 매체의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인간이 온라인 생태계의 번영을 위한 도구로 전락해 버린 현실을 암시한다. 작가는 물질과 비물질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현재에 대한 감각을 토대로, 두 세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융합을 시도한다.




박예나 Yena Park
yenaprk105@gmail.com


박예나(1990~)는 서울대학교 동양화를 전공하고, 영국 스코들랜드 글래스고 예술대학교에서 조각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예나의 작업은 인공 사물과 물리적 신체를 가진 인간의 관계에서 출발한다. 이번 OCI미술관 개인전 《Interstitium》에서는 가상의 데이터 폭발 사건을 기반으로 인간이 온라인 생태계의 번영을 위한 도구로 전락해 버린 현실에 대한 묵시적 경고를 다양한 매체로 풀어낸다.

학력
2020  The Glasgow School of Art, Letters in Fine Art Practice, Sculpture 석사 졸업
2018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석사 수료
2013  서울대학교 동양화과 학사 졸업

주요 개인전 
2024  Interstitium, OCI미술관, 서울
2023  핫스팟 베이스 캠프, 그블루 갤러리, 서울
2021  중첩되는 세계, 한송빌딩 202호(풍무동 재개발 지역 내 상가건물), 김포
2017  이탈을 위한 움직임, 아터테인 스테이지, 서울

주요 단체전 
2023  은밀한 선택, 통의동 보안여관, 서울
윈도우 리컨스트럭션,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22  생생화화 - 사이의 언어, 김홍도미술관, 안산
칼립소, 두산갤러리, 서울
Expanse, The Pipe Factory, 글라스고, 영국
A Remix of Damage, Reid Gallery, 글라스고, 영국
2021  Party in a Box, 아트센터 나비, 온라인, 서울
지금은 과거가 될 수 있을까, 상업화랑, 서울
2018  R.I.P. - 고요한 기억, 디스위켄드룸, 서울
백(百)의 그림자, 성북예술가압장, 공간가변크기, 서울 
2017  제3의 과제전,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주요 레지던시
2024  수원아트스튜디오 푸른지대창작샘터, 수원
2023  고양예술창작공간 해움, 고양

수상 / 선정
2023  2024 OCI YOUNG CREATIVES 선정, OCI미술관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연속지원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1  창의인재 동반사업 CREATIVE + 선정, 한국콘텐츠진흥원, 아트센터 나비
2020  RSA John Kinross Scholarship 선정, Royal Scottish Academy
2017  최초예술지원 선정, 서울문화재단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