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별별익산: 겨울 빛 프로젝트

  • 전시분류

    미술제

  • 전시기간

    2019-11-01 ~ 2019-12-31

  • 전시 장소

    익산문화예술의거리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70-7578-5223

  • 홈페이지

    http://www.omae.co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익산문화예술의거리가 11월부터 별빛으로 물듭니다. 겨울빛 프로젝트, 별별익산은 겨울을 맞이하여 빛을 활용한 조형물로 거리 곳곳을 수놓는 프로젝트입니다. 12월까지 진행되는 큰 프로젝트이니, 관광객 및 시민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별별(星星)익산_겨울 빛 프로젝트


도시는 마치 유기체처럼 태어나 성장하고 쇠퇴한다. 쇠퇴한 도시를 재생시키는 일은 주로 시민의 몫이지만, 그 주체는 얼마든지 확대 가능하다. 최근 국내 여러 도시가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역사•문화적 가치와 경제 생태계, 그리고 경관을 회복하기 위해 과거에 번성했던 구도심을 다시 살리는데 열심이다. 이리(裡里)라 불리던 익산시 역시 이러한 흐름에 동참해 예전에 최고로 번화했던 ‘영정통(榮町通)’을 ‘문화예술의 거리’로 탈바꿈시켰다. 익옥수리조합, 삼산의원 등 1930년대에 지어진 붉은 벽돌 건물 몇 채가 지금까지 잘 보존되어 있고 일제강점기에 ‘긴자(銀座)’라 불릴 정도로 번성했던, 그리고 한국전쟁 이후에는 ‘작은 명동’이라 불렸던 ‘이리 영정통’은 현재 작은 규모의 카페, 식당, 주점, 세탁소, 마트, 의상실 등과 꽤 많은 수의 공방(목공, 도자, 자수, 퀼트, 가죽 등)과 갤러리, 익산아트센터가 함께 들어서 있다. ‘익산문화예술의 거리(이리영정통 거리)’는 익산 시민의 일상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풀뿌리 문화예술의 모꼬지이자 삶의 현장이다. 


삶의 현장과 분리된 미술관 전시실이 아닌 거리, 공원, 광장, 역처럼 공공(公共)의 장소에 설치된 미술을 ‘공공미술(Public Art)’이라 한다. 과거의 공공미술이 거대한 규모의 설치물에 치중됐다면, 최근에는 지역주민의 참여를 중시하는 소위 ‘새로운 장르(New Genre) 공공미술’이 부각 받고 있다. 공동체의 관계와 활동 과정을 중시하는 이러한 공공미술은 각 지역 문화재단이나 비영리단체를 중심으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지역 예술가 및 레지던스 작가들이 시민과 함께 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해 온 익산문화관광재단은 그 의욕과 열성에 비해 크게 활성화되지 못한 문화예술의 거리를 재생시키기 위해, 이번에는 참여자들만을 위한 소규모 관계 중심형 예술체험보다는 ‘장소’에 초점을 둔 미적 경험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외부 기획자 및 젊은 예술가들과의 협업이 시도되었다. 낯선 타자에 의한 무심한 ‘던져놓기’가 아닌 거주민에게 호기심 어린 ‘말걸기’를 지향하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익산 시민들이 삶의 장소에 대한 일상의 경험과 기억을 새롭게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삶의 장소’가 물리적 환경, 다양한 인간 활동과 의미로 구성된다는 장소정체성론을 토대로 한 이 프로젝트는 사실 적은 예산과 시간 외에도 될 수 있으면 기존의 설치물과 조명, 기물 등을 그대로 두고, 공공건물 및 협조 가능한 개인 소유 건물과 그 주변만을 활용하며, 새벽에 쓰레기차가 지날 수 있도록 거리 한복판은 피해야 한다는 적지 않은 물리적 제약을 안고 시작했다. 이러한 제약조차도 특정 장소의 물리적 환경과 인간 활동의 일부라 여긴 작가들은 그 시선을 거리의 위쪽과 측면에 두었고, ‘빛’을 매개로 이 거리가 지닌 장소정체성을 표현하기로 했다. 이들에게 익산은 거대하고 유일하게 존재하는 태양보다는 밤하늘에 무수히 빛나는 작고 다양한 별에 가까운 도시다. 마한과 백제의 고도(古都)였던 익산은 오래된 별이지만, 현재 보이는 별빛이 아주 오래전에 별에서 떠나온 빛인 것처럼 익산이 발하는 빛은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며 만들어내는 빛이다. 이 빛은 또한 일상과 예술,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연속적인 역사와 불연속적인 기억, 실존적 삶과 신체적 경험 등이 교차하며 확산되는 빛이다. <별별(星星)익산_겨울 빛 프로젝트>는 미술계의 신생별과도 같은 젊은 예술가들의 작업이 불쏘시개가 되어 그 빛과 열의 확산에 일조하는 흥미로운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홍장오, <구멍풍경>, 2019, 훌라후프, LED 호스등, 라이팅 프로그래밍, 스테인레스 와이어.


• 홍장오, <구멍풍경>, 2019

겨울밤 ‘익산문화예술의 거리’의 주요 도로를 화려하게 비추는 <구멍풍경>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관계지향형 혹은 장소 특정적 작품을 다수 제작한 홍장오 작가의 작품이다. 공중에 설치된 수백 개의 훌라후프는 생명의 핏줄처럼 혹은 실에 꿰인 구슬처럼 흘러가는 삶을 연상시킨다. 시간의 잔재와 현재의 생생한 삶이 마치 무수한 별들이 공존하는 은하수와도 같이 머리 위에 펼쳐진다. 이 흐름 속에서 위와 아래, 과거와 현재, 실재와 그림자, 예술과 일상, 기억과 현전의 경계가 사라진다. 작가는 사이와 주변을 아우르는 공감각적 체험을 통해 역사적 시간을 관통하는 개인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홍장오 _중앙대학교 조소학과 졸업(1999)

중앙대학교 대학원 조소학과 졸업(2002)

영국 골드스미스 대학교 순수미술 석사(2009)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2018)

개인전 <Outer Space 2018) 외 다수 Embassy>(Tenderpixel Gallery, 런던, 2016) 

개인전 <우주정경>(경기도미술관, 2018)

개인전 <우주정물, 쓸데없이 아이처럼>(이상원미술관)  


김우종, <찰나(刹那)>, 2019, PVC 끈주머니, 블랙 라이트 조명


• 김우종, <찰나(刹那)>, 2019

거리에 어둠이 깔리기 시작하면 매매로 내놓은 오래된 벽돌 건물 2, 3층이 빛을 발한다. 각 층에 공간을 구획하는 벽도, 창문도 남지 않은 텅 빈 건물을 가득 채우는 것은 인간의 온기가 아닌 (PVC 비닐로 만든) 별, 즉 낮에도 여전히 빛나지만 밤이 되어서야 존재가 확연히 드러나는 별의 무리이다. 또 사람들의 간절한 소망을 담아 사찰의 천장에 매달린 등불이기도 하다. 별의 시간에서 보면 -백제의 영광이 한순간이었던 것처럼- 인간의 세속적인 소망은 찰나에 불과하지만, 인간의 욕망은 –최근 복원된 미륵사지 석탑처럼 폐허를 재건시키는 데서 볼 수 있듯이- 영원에 대한 근원적인 동경을 내포한다. 


김우종 _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입학(2014)

<팡울팡울>전(광주 일곡 갤러리, 2018)

<Dumbos>전(서울 성수동 OMAE 갤러리, 2018)

<Over>전(광주 대인문화창작소 갤러리, 2018) 외


김예은, <빛의 길(Path of Light)>, 2019, 투명 아크릴 파이프, LED 조명


• 김예은, <빛의 길(Path of Light)>, 2019

작가는 투명한 아크릴 파이프를 다양하게 조합해 건물과 건물 사이의 빈 공간을 새롭게 채우는 방식으로 건물의 익숙한 사각형 파사드를 낯설지만 흥미로운 형태로 변형시킨다. 또 보통은 보이지 않게 설치되는 수도관을 조명까지 설치해 건물 위로 드러내어 그 낯섦을 배가시킨다. 그 안에는 공이 마치 구심력이 작동하는 중심에서 벗어난 도시의 일상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변주되듯 계속해서 움직인다. 그 움직임으로 인해 파이프 안은 추상적이고 균일한 텅 빈 공간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비균질적인 생명력이 약동하는 생성의 장(場)이 된다.


김예은 _독일 함부르크 조형예술대학(HFBK Hamburg) 입학(2016)

함부르크 필름 프로젝트 미술감독(HFBK, 2017) 

영화 <신시> 연출(2018-)

울주 서밋 프로젝트(2019)


채민수, <사이>, 2019, 회로기판, 아크릴판, 대형 비즈, 스테인레스 와이어, 아연도금 각 파이프.

• 채민수, <사이>, 2019

작가는 주요 도로가 아닌 좁고 어두운 골목길 허공에 다양한 크기의 아크릴 박스를 설치한다. 조립된 회로기판과 작은 전구가 들어있는 투명한 박스는 골목골목 연결된 도시의 축소판이다. 도시와 도시가 서로 연결되듯 아크릴 박스들도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의 조명과 밤하늘의 별빛이 겹쳐질 때마다 거리에 쌓인 기억들이 조금씩 두터워진다. 기억은 주체와 대상의 사이에서, 즉 이 둘의 고정되지 않은 거리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계속해서 변하고 새롭게 조립된다. 


채민수 _광주 대인예술시장 레지던스 입주작가(2018)

<팡울팡울>전(광주 일곡 갤러리, 2018)



이지원, <별의 향수(Nostalgia of Star)>, 2019, 고보 프로젝션.

• 이지원, <담담>, 2019

작가는 고보(작은 스테인리스 합금 원판에 그림이나 기호 형태를 뚫어서 조명기구의 조리개 부분에 장착하는 것으로, 주로 무대 연출이나 거리 광고물에 사용) 라이트를 사용해 낡은 건물 외벽을 감싸고 뻗어가는 담쟁이덩굴 이미지를 보여준다. 성장과 소멸을 반복하는 담쟁이덩굴의 생명력은 이 건물과 거리에 겹겹이 쌓인 시간의 층을 연상시키고, 빛이 만들어낸 이미지는 이 건물과 이웃 건물이 만들어내는 공간의 형태와 균열 등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건물의 측면을 새로운 시선으로 보게 만든다.


이지원 _한국예술종합학교 무대미술과 입학(2014)

영화 <귀신머리> 미술감독(2016)

연극 <발 밑에 사는 말> 연출 및 퍼포머(2017)



박병철, <최적화>, 2019, 폴리카보네이트 원판 띠, 크리스탈 비즈, LED 조명, PVC 투명줄. 

• 박병철, <최적화>, 2019

‘작은 명동’이라 불리던 이 거리는 양복점, 금은방, 미용실, 극장, 화교가 운영하는 중국집, 유흥가 등이 밀집해 말 그대로 불야성을 이룬 때가 있었다. 작가는 공간 내부를 반쯤 가릴 목적으로 입구에 줄 따위를 여러 개 나란히 늘어뜨려 만든 ‘발’에서 영감을 받아 이 거리의 화려했던 그 시절을 오갈 수 있는 상상의 통로를 만들었다. 값싼 플라스틱의 크리스털 비즈를 꿰어 만든 구조물은 아름다우면서도 야만적이고, 즐거움과 희망의 출처인 동시에 공포와 절망의 원천인 자본주의 도시가 지닌 환영-벤야민(Walter Benjamin)의 언어를 빌리면 판타스마고리아(phantasmagoria)-의 은유이기도 하다.


박병철 _가천대학교 졸업(2019)

<Your Office>(파주 북소리 축제, 2018)

<복합예술문화공간 잔울림, 개관전>(잔울림, 2018) 




[별별익산 겨울 빛 프로젝트]


전시기간:  2019년 11월 1일 ~ 12월 31일

전시장소:  익산문화예술의거리 일대

기간  2019년1월11일~12월31일

장소  익산문화예술의거리

주최  익산문화관광재단

주관  원광디지털대학교, 오매갤러리

후원  전라북도, 익산시

총괄기획 김이숙 

기획•글  박혜성

디자인   서수아


전시 오프닝

일시:  11월1일(금) 오후5시

장소:  익산근대역사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