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50년 전 젊은 화가 강광은 홀연히 제주도로 내려온다. 당시 한국미술계는 앵포르멜의 도도한 흐름이 주춤하면서 ‘추상과 창조’라는 가치를 저변에 깐 설치, 행위, 개념 등 아방가르드 미술운동이 맹위를 떨칠 때였다. 그런 중차대한 시기에 젊은 예술가가 오지 제주에서 역사적 진실탐색과 미적 욕망 충족을 동시에 추구했다는 점은 어떤 의미에서는 아이러니다. 그러나 강광 예술의 본질이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책임과 실천, 혹은 역사적 진실의 탐색을 통한 증언과 비판’이라고 볼 때 당시 집단적 미술운동이 추구했던 뜬구름잡기식의 추상과 창조는 부박한 패거리 문화의 또 다른 양상에 다름 아니었을 것이다. 반민주, 반통일 부패세력이 역사를 좌지우지하며 민초들을 옥죄이던 시기에 예술이 현실을 도외시하며 이상만을 추구한다면 그 역시 부패세력에 다름 아닐 것이다. 제주는 그런 상황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지역이었고 강광이 ‘이꼴저꼴’ 안보며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펼쳐나가기에 최적의 장소였을 것이다.
그 살벌하던 시기에 강광이 부조리한 가치에 저항했던 방법적 수단은 ‘침묵적 저항’이었다. 한국 현대사의 질곡 속에서 제주가 겪었던 저항과 살육, 그리고 그 이후에도 계속되는 은폐와 억압은 정직한 젊은 예술가가 감내하기 힘든 양상이었을 것이다. 아울러 군부에 의해 저질러진 미증유의 학살과 인권탄압은 잠재된 그의 비판과 저항정신을 촉발시키는 기폭제였다. 이를 보면 그가 신군부에 의해 5인의 ‘불온작가’ 중 한 사람으로 낙인찍힌 이유는 자명해진다. 이후 강광은 보다 적극적으로 ‘역사와 현실에 대한 성찰과 비판’에 개입하게 된다. 미묘하고 불길한 암시로부터 해학적 표현과 서술적 발언이 화면에 나타나는가 하면 ‘반민주, 반통일 세력에 대한 혐오와 비판’이 화면에 표상되기도 한다.
강광 교수의 수미일관한 작업 태도는 이러한 내용적 측면과 더불어 형식적 측면, 즉 세심하게 배려된 형태의 적용과 물질의 실험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 원로작가는 일필휘지 혹은 감각에 의지해 대상을 희롱하는 것보다는 화면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공간을 구성하고 대상을 배치한다. 아울러 재료나 매재(媒材)의 스밈과 번짐, 형태의 과학적 분석을 통한 단순화 또는 패턴화, 그리고 오브제의 사용이나 물질의 실험 등 현대회화가 이루어낸 다양한 형식적 성과들을 작품에 적용함으로써 여타의 리얼리스트들이 근접한 바 없는 실험성의 극한으로 자신의 작업을 몰아붙이기도 한다. 이 모든 가치들이 작가의 내적 사유와 외적 실천에 근거한 예술적 성취의 결과물인 것이다.
- 이경모/미술평론가(예술학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