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밤의 가장자리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밤의 가장자리
2016. 9. 1(목) ~ 2016. 10. 22(토)
2016. 9. 8(목) 오후 5시
밤의 가장자리, 가장 밝은 어둠에 관한 기록-시인이 묻고 미술가들이 답하다 
진행: 이우성 시인

2016. 9. 28(수) 오후 7시 / 10.15(토) 오후 4시 
OCI미술관 1, 2, 3층 전시실
구현모, 김기철, 김미경, 김윤수, 도윤희, 박진아, 서동욱, 이해민선 
(총 8명, 가나다 순)
화~토 10am`~6pm / 수 10 am~9pm / 일, 월, 공휴일 휴관 
드로잉, 회화 및 설치 등 30여 점 

• OCI미술관의 주제 기획전 《밤의 가장자리》개최
• 예술적 경험, 개념으로서의 밤을 주제로 여덟 명의 작가가 각자의 밤을 펼쳐 보임
• 하나의 밤이지만 모두 다른 밤, 저마다의 개성으로 ‘밤’을 접근함
• 전시장의 1, 2, 3층을 오르며, 각 장별 소주제로 구성됨
1장. 범속한 밤의 풍경 - 서동욱, 박진아
2장. 인식이 열리는 문 - 도윤희, 김기철, 김미경, 김윤수 
3장. 꿈, 부유의 흔적   - 구현모, 이해민선 


OCI미술관은 9월 1일부터 10월 22일까지, 기획전 《밤의 가장자리》를 개최한다. 미술관의 1, 2, 3층 전시실 전관에서 펼쳐지는 이번 전시에는 구현모, 김기철, 김미경, 김윤수, 박진아, 서동욱, 이해민선의 여덟 작가가 참여한다. 

프랑스의 철학자 발딘 생지롱(Baldine Saint Girons)의 저서 『밤의 가장자리(Les Marges de la Nuit)』에서 제목을 빌어온 이번 전시는, 물리적 시간으로서의 밤이 아니라 개념으로서, 그리고 예술적 경험으로서의 밤을 주제로 한다. 밤이 깊을수록 어두운 것이 다 같은 검은색이 아니라는 것을, 밤이 깊을수록 또렷해지는 형상이 있다는 것을, 심지어 ‘근거-없는-이미지들이-출현하는-순간’이 온다는 것을 예리한 작가들의 눈으로 포착하였다.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내리는 밤이지만, 다 똑같은 상황에서도 꼭 다르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작가인 만큼, 저마다의 개성으로 회화, 설치, 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밤을 표현하였다. 

전시는 각 층마다 책장을 넘기듯 독립된 장(章)으로 구성되었다. 

1 장. 범속한 밤의 풍경 
- 서동욱(회화), 박진아(회화)
해가 저문 시각, 도시의 밤, 거리로 나선 발걸음처럼 어디서 본 듯한 풍경, 나도 한 번쯤 해봤던 것 같은 밤 산책의 장면을 마치 영화의 스틸 컷처럼 담았다. 

2장. 인식이 열리는 문 
- 도윤희(회화), 김기철(설치), 김미경(회화), 김윤수(드로잉, 관람객 참여 프로젝트) 
밤에 대한 고찰, 밤으로 은유되는 사색을 보여주는 명상적이며 시(詩)적인 작품들로 구성하였다. 

3장. 꿈, 부유의 흔적 
- 구현모(설치, 영상), 이해민선(드로잉-설치) 
현실을 ‘낮’, 실제 이면의 것을 ‘밤’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꿈처럼 현실의 파편들로 구축되는, 그러나 아주 깊은 곳에서부터 끄집어낸 듯한, 사물들의 거친 풍경이 드러난다. 

하나의 밤이지만, 모두 다른 밤을 그려내는 이번 전시와 연계하여 OCI미술관은 매주 수요일 야간 개관(10 am-9 pm)을 하여, 직장인들에게도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깊어가는 가을밤을 맞이한다. 더불어 시인 이우성이 진행하는 참여 작가와의 대화 ‘밤의 가장자리, 가장 밝은 어둠에 관한 기록 - 시인이 묻고 미술가들이 답하다’ 프로그램이 두 차례(9월 28일, 10월 15일)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 개막식 

일시 2016. 9. 8(목) 오후 5시 

장소 OCI미술관 1층 


■ 작가와의 대화

주제 밤의 가장자리, 가장 밝은 어둠에 관한 기록 
- 시인이 묻고 미술가들이 답하다 

진행 시인 이우성 
일시 2016. 9. 28(수) 오후 7시 /‘문화가 있는 날’
2016. 10. 15(토) 오후 4시 /‘Museum Week’ 

장소 OCI미술관 전시장 내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