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겉장을 넘기다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 제목: 겉장을 넘기다

전시 기간: 2016년 5월 18일(수) – 7월 17일(일) (총 61일간)

오 프 닝 : 2016년 5월 27일(금) 오후 5시 

작 가 명 : 김미경, 김윤숙, 백지희,주상연, 이진원 (총 5명)   

전시 장소: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관람 시간: 월요일-금요일: 10:30am-6:30pm / 주말, 공휴일: 10:30am-7:00pm

출 품 작 : 총 85점

장    르 : 평면회화, 사진 

전시 주최: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후    원 : 경기도, 파주시 




전시 개요

아트센터 화이트블럭(관장 이수문)에서 2016년 5월 18일(수)부터 7월17일(일)까지 역량 있는 유망 신진작가들의 작품을 모은 <겉장을 넘기다 展>을 개최한다.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기획전 

□ 경기도 파주시 공사립박물관미술관 지원사업의 일환

□ 5인의 회화. 사진전전으로 총 85점 전시

□ 전시연계교육체험 진행_ 경기도민 50% 교육참가비 할인

□ 시간과 관계의 겹침이 회화속에서 중첩의 효과로 발현.

□ 표면/마찰/관계에서 받은 외부로부터의 영감에서 내부에서 체화된 작가의 이미지로 재탄생




전시 내용


누구에게나 마음의 결, 시간의 켜, 세월의 겹이 존재한다. 작가들마다 켜켜이 쌓아둔 기억의 낱낱은 그들의 고유한 감성에 언어로 순화되고, 내면 깊숙이 시의 갈래처럼 문학적인 정서로 자리한다. ‘겉장을 넘기다’전시는 이러한 결, 켜, 겹이 함께 공존하며 문학적인 사유로 사색하고 탐구할 수 있는 작가들(백지희, 이진원, 주상연, 김미경, 김윤숙)을 모은 장이다. 이들은 외부로부터 받은 영감을 의식 밑으로 은폐된 무의식의 흐름에서 자신의 피사체를 끌어 올려, 그것이 곧 자신의 정서를 반영하는 작품으로 전환된다. 외부로 드러난 모양새는 추상과 형상 모두를 아우르며, 내면과 외연의 관계 속에서 발생한 일종의 우연성까지도 내포한다. 마치 사진의 겉장, 회화의 겉장을 넘기면 내 마음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이 영혼의 결정체들로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전시 서문 중 발췌)




주요작가 소개 


김미경 Mikyung Kim

뉴욕 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 그래픽디자인을 전공하였다. <Time is standing quietly>(2015 Gallery b’ONE, 서울), <Life is unbearably thin>(2014 Gallery White Birch, 서울), <The path: Walking in the sorrow>(2014 Alter Ego, 서울) 등을 포함해 다수의 개인전을 열었다. 이 외에도 <Mind-scape>(2015닻 미술관, 광주) <Artist, Portrait of the Aesthetic Soul> (2014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등 다수의 단체전에도 참여하였다. Silvermine Guild Center, Connecticut에서 주관하는 The Mary Vann Hughes Award(2000)를 수상했으며, Haje Creative Community 레지던시 작가(2010)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뉴욕에서 활동하다 2007이후부터 서울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김윤숙 Yoonsuk Kim

충청북도 옥천에서 태어나 자란 작가는 자연스럽게 자연과 함께하는 생활이 소박하고 순순한 감수성을 형성하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고 말한다. 취미로 시작한 사진이 이제는 순수한 자연을 바라보며 단순히 사진을 찍는 것만이 아니라, 그 행위 안에서 스스로를 찾아가는 과정이 되었다. 개인전으로는 <느린날> (2012 갤러리 류가헌, 서울)을 열었었고, 2015년에 <mind-scape> (닻미술관, 경기도 광주)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백지희 Jeehee Paik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뒤, California State University에서 순수미술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개인전으로는 <Pulse>(2015 갤러리오핸즈, 양평), <Pit-a-Pat>(2011 KDB대우증권 갤러리 초대전, 서울), <as in>(2010 Gallery Chosun, 서울)등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서울을 보다전>(2014 서울시청 갤러리, 서울), <Phyomai전>(2011 Bridge 갤러리 개관기념전, 서울), <말없는 바람전_개관기념전>(2010 G-being 갤러리, 서울)등 의 다수의 단체전에도 참여하였다. 미국에 있는 The McDowell Colony Inc. 와 The Ragdale Foundation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도 했었다. Milton & Avery Fellowship(1998, NY)이 외에도 다수의 수상경력을 가지고 있는 작가이다.


이진원 Yi, Jinwon

홍익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였다. <All things shining>(2014 Gallery Dam), <Forest>(2012 Gallery Oms, NY), <Blooming>(2008 목인갤러리)등을 포함해 6회의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자연을 바라보는 시선>(2016 Gallery nook, 서울), <mind-scape>(2015 닻미술관, 경기도 광주), <예술, 영원한 빛>(2013 예술의 전당, 서울)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경기도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에 작가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주상연 Sangyon Joo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한 후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을 전공하였다. 후에 미국의 San Francisco Art Institute에서 사진전공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지상의 빛: Light on Ground>(2013 지상소 onground, 서울), <Wonder on Parnassus>(2006 Diego Rivera Gallery, San Francisco)등 5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단체전으로는 <침묵의 시>(2015 닻미술관, 경기도 광주), <Contemporary Landscape Photography>(2013 Cavallo Point, 소살리토), <말없는 언어> (2012 스페이스몸 미술관, 청주) 등 다수의 전시회에 참여하였다. 닻미술관, 성곡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등 여러 곳에 작가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중력과 은총>(2015 닻프레스), <Sangyon Joo>(2008 Cavallopoint) 등 다수의 출판 서적도 출간하였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