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표영실 서양화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개요
작  가 : 표영실
기  간: 2016년 6월 8일(수) - 7월 1일(금)
장  소: 이목갤러리 (YEEMOCK GALLERY),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94(가회동 1-71)
시  간: 화-금 11:00am – 6:00pm, 토-일 11:00am-5:00pm, 월요일 휴관
오프닝: 6월 8일(수), 6pm

■ 전시 취지, 작가 및 작품소개

검은 밤 
김자영/이목화랑 디렉터

깊은 밤 자다가 소스라치게 놀라며 깰 때가 있다. 꿈을 꾼 건지 가위에 눌린 건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다만 어디선가 희미하게 무언가를 본 듯하고 그걸 잡으려고 손을 뻗었지만 잡질 못한 체 깊은 곳으로 떨어진 것 같다.

표영실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언젠가 있었던 그 밤이 떠올랐다.
육면체나 신체의 일부가 형상화 되어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모호함으로 그 형태를 숨긴다. 손을 뻗어 잡으면 잡힐 것 같은 작가의 작품 속 사물들은 여전히 우리 주위를 맴돌기만 할뿐 명백한 답을 주진 않는다. 강렬한 원색들 속에서 이미지들은 오히려 그 모호함 만을 극대화 시켰을 뿐이다. 분명해 보이는 첫인상과 달리 비웃듯이 반전을 선사한다. 때론 추상적 형상이 구체성을 탐구하기도 한다. 작가는 그런 이미지들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하려 한다. 지극히 일상적인 


시간들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는 우리의 생활 안에서 원하는 그 무엇을 얼마나 갈망하고 있는지. 하지만 그 원하는 답을 찾아가기까지의 고단함과 불안감을 작가는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작가는 끊임없이 고민한다. 켜켜이 쌓아올린 색채들은 작가가 주변의 일들과 사물에 대해 얼마나 고민하고 있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작가는 우리가 늘 당연하게 생각하고 받아들였던 삶의 세계를 계속해서 의심하고 탐구하면서 잡힐 듯 잡히지 않는 그것을 찾는 중이다.


작가약력
표 영 실

b.1974

1997 덕성여대 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99 동대학원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개인전
2016 검은 잠. 이목갤러리. 서울
2015 반투명. 스페이스 비엠. 서울
2013 중간. 담 갤러리. 서울
2011 반영(反影) : 입방체-집-달-인물. 대우증권 역삼역 갤러리. 서울
마찰 없는 마찰. 미고 갤러리. 부산
2010 난처한 모양. 담 갤러리. 서울
2009 얼룩. 가 갤러리. 서울
2007 말랑한 밤. 담 갤러리. 서울
2006 사소한 일. 가일 미술관. 청평
2004 소리 없는 방. 대안공간 풀. 서울
1999 즐거운 각성제. 관훈 갤러리. 서울

단체전

2015 Shall we dance?. 담 갤러리. 서울 
보이는 보이지 않는. 박원주 표영실 2인전. 누크갤러리
2014 gift art fair. 갤러리3. 서울 
갤러리 화이트블럭 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 결과보고전-The end is near. 
갤러리 화이트블럭. 파주
2013 gift art fair. 갤러리3. 서울 
2012 갤러리 화이트블럭 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 중간보고전-共生共樂. 
갤러리 화이트블럭. 파주
판타스틱 미술백서. 꿈의숲 아트센터 드림갤러리. 서울 
YMCA+YWCA 갤러리 이마주. 서울
아트 쇼 부산. 벡스코. 부산
High Times, Hard Times - 객관화하기. 인터알리아. 서울 
2009 운현궁愛. 관훈 갤러리. 서울
2008 2008 SICAF. coex. 서울 
pop eye. 아트갤러리 유. 부산
2007 夜動. 갤러리 룩스. 서울
잉여의 시간. 더 갤러리. 서울
2006 다색다감. 갤러리 잔다리. 서울
광주비엔날레 열린아트마켓.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
송은미술대상전. 인사아트센타. 서울
표류일기.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2005 Second Wind. 창 갤러리. 서울/ 롯데아트갤러리. 일산
서울 청년 미술제-포트폴리오 2005.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2005 KCAF.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04 광주비엔날레 Site4-해우소프로젝트. 금남로5가역
ks표 문방구. 쌤쌤쌈지회관. 서울
2003 작은판화 50인전. 정글북 아트 갤러리. 일산
2000 새 천년 324.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1998 틈.사이. 관훈 갤러리. 서울
1997 틈.사이. 관훈 갤러리. 서울 

움직이는 소리. 관훈 갤러리. 서울 

레지던시
2012-2014 스튜디오 화이트 블록. 파주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Pyo, youngsil

b.1974

Education
1997 B.F.A. in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99 M.F.A. in Painting, graduate school,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Solo exhibition
2016 Dark night. YEEMOCK GALLERY. Seoul Korea
2015 Translucence. Gallery bm. Seoul Korea
2013 Intermediate. Dam Gallery. Seoul Korea
2011 Reflection: Cube-House-Moon-Person. Yeoksamyeok Gallery/ 
Daewoo Securities. Seoul Korea
2011 frictionless friction. Gallery Migo. Busan Korea
2010 Awkward One. Dam Gallery. Seoul Korea
2009 Stain. Ga Gallery. Seoul Korea
2007 Tender Night. Dam Gallery. Seoul Korea
2006 Trivial matters. Gail Art Museum. Chungpyoung Gyeonggi Korea
2004 Soundless Room. Alternative Space Pool. Seoul Korea
1999 The Pleasing Stimulant.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Group exhibition
2015 Visible, yet Invisible. Nook Gallery
2014 The end is near. Gallery White block. Paju
2012 Conviviality. Gallery White block. Paju

Fantastic Devil's Dictionary about Art. Dream Forest Arts Center_Dream Gallery. Seoul Korea
YMCA+YWCA. Gallery imazoo. Seoul Korea
Art Show Busan. BEXCO. Busan Korea
High Times, Hard Times - objectify. interalia art company. Seoul korea 
2009 Unhyungung Ae. Kwanhoon Galley. Seoul Korea
2008 2008 Seoul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estival. coex. Seoul Korea
POPEYE. Art Gallery U. Pusan Korea
2007 Night.Moving. Gallery LUX. Seoul Korea
Surplus Time. The Galley. Seoul Korea
2006 Varied Colors, Abundant Sentiment. Gallery Zandari Seoul Korea
Gwangju Biennale Sector3-Open Art Market. Gawngju folkMuseum, Gwagnju Korea
Song Eun Art Awards. Insa Art Center. Seoul Korea
Diary: a Record of drifting. Dongduk Art Gallery. Seoul Korea
2005 Second Wind. Chang Gallery. Seoul / Lotte Art Gallery. Illsan Korea
Seoul Exhibition of Young Artists.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5th Korea Contemporary Festival. 
Hangaram Design Museum of Seoul Art Center. Seoul Korea
2004 Gwangju Biennale Site4-Toilet Project. Kuemnam-ro 5ga Station. Gwangju Korea
K.S.pyo Toy store. SsamSsam Ssamzie Center. Seoul Korea
2003 Little Print 50 People. Junggle Book Art Gallery. Ilsan Korea
2000 New Millennium 324.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1998 Crack.Crack. Kwanhoon Galley. Seoul Korea 1997 Crack.Crack. Kwanhoon Galley. Seoul Korea
Moving Sounds. Kwanhoon Galley. Seoul Korea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