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덕기 회화전 : 오(五)계절, 꽃 찾으러 왔단다...왔단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행복을 그리는 화가 – 마음의 풍경  
한국의 색채 마술사


갤러리조은은 오는 4월 8일(금)부터 5월 18일(수)까지 『오(五)계절, 꽃 찾으러 왔단다...왔단다』김덕기 작가 초대전(展)을 개최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색채화가인 김덕기 작가는 '가족애'와 '행복'을 모티브로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로 기자들이 뽑는 올해의 추천 작가 등에 선정되는 등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고, 대중들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이번 전시에선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을 배경'으로 김 작가 특유의 강렬한 원색이 잘 드러난 '가족-함께하는 시간', 'Sweet Home', '포도밭이 보이는 풍경', ‘양귀비 꽃밭이 보이는 토스카나’등 20여점의 신작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의 작품엔 아름다운 정원과 작은집, 예쁜 꽃들을 배경으로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얼굴로 마주하는 부부, 그리고 천진난만하게 뛰어노는 아이들이 있는 풍경 등 누구나 한번쯤, 살아가면서 행복이란 이런 것이 아닐까 하고 꿈꿔보는 마치 어른들을 위한 한편의 동화가 담겨있다. 

 소위 ‘가족이 있는 풍경’은 김덕기 작가의 중요한 모티브다. 일상적인 풍경을 몽환적이면서도 초현실적으로 비쳐질 만큼 아름답게 구현하는 것. 그것이 바로 김덕기 작가의 작품세계를 주목하게 하는 이유다. 김 작가는 인간 삶의 근원적인 출발점을 '가족'이라고 본다. 그는 '가족이야말로 삶을 지탱해주는 에너지의 원천'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아름답게 그려낸 작품 속의 집들이 곧 '우리 모두의 집'이길 바란다'면서 '소소한 일상을 즐기는 작품 속 우리 모습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는 분 모두가 행복해졌으면 한다 '고 말한다.
 
 이번 전시 타이틀인 '오(五)계절‘은 행복이라는 이상(理想)을 상징하는 단어다. 봄·여름·가을·겨울 변화무쌍한 4계절의 끝에 마지막 계절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행복의 계절'이 되길 바란다는 김덕기 작가의 작품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꽃찾으러 왔단다 왔단다' 역시 꽃피는 봄, 작품을 접하는 사람들 모두가 행복이라는 꽃을 피우고, 찾아가길 바라는 마음을 상징화한 것이다. 

  김덕기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 철철이 행복한 가족의 모습을 강렬한 색채로 뿜어낸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현실에 있을 것 같으면서도 없는, 없을 것 같으면서도 있는 김덕기만의 행복세계인 셈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행복세계는 계절의 틈바구니에 존재하거나 마지막 계절 '제 오(五)계절'이라고 본 것이다.

갤러리조은의 조은주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장을 압도하는 다채로운 색채로 구현된 김덕기 작가의 오(五)계절에서 삶의 에너지, 진정한 행복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작가소개 
김덕기 작가는 서울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주상하이한국총영사관, 한국민속촌미술관, 송은문화재단, 한국은행 등에 소장되어 있다. 삼성 리움미술관 아트상품 런칭, 한국-캐나다 수교50주년 예술파트너, 대한적십자 등과 콜레보레이션 협업 활동을 하며 많은 기업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2011년에는 언론사 기자들이 추천하는 올해의 추천작가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대한민국 국민 미술대전, 중앙미술대전 등 공모전에서 자신의 작품세계를 인정받으며 왕성한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다. 

 
▣ 가족 – 함께하는 시간 (기법 중심으로)
  
 김덕기 작가의 대표적인 기법은 원색의 아크릴 물감덩어리를 원형의 점으로 수없이 촘촘히 찍어나가는 기법으로 마치 수묵으로 이루어진 미점을 쌓아나가는 변관식과 같은 산수화와 유사하게 닮아있다. 

 그가 찍어나가는 점들은 원근을 구분하거나 밝고 어두운 부분의 구별과 동시에 화면의 평면성을 효과적으로 강조해주면서 사실적 풍경과 가상적인 이미지를 동시에 색과 질감으로 구성된 조형체계를 완성시킨다. 마치 행복의 폭죽이 터지 듯 원형모양의 ‘점’들은 행복을 갈망하는 사람들의 염원과 같이 화면 안에 끊임없이 이어지며 그려지고 있다. 강렬한 이미지의 점묘법으로 완성해 낸 원색의 그림은 실증이 나지 않는 묘한 매력에 빠져들게 하며 그림의 몰입도를 극대화 시키고 있다.

음영도 그림자도 없다. 그래서 더 순수한 색채 그 이상의 ‘색’을 만들어내는 그가 이번전시에서는 모두가 꿈꾸는 오(五)계절의 마지막, 계절 ‘행복’을 담아내고 있다.



김 덕 기
 
199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15     아말피 해안으로 가는길,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즐거운 우리집, 울산 북구 문화예술회관, 울산
2014     감귤나무 사이로,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3     아름다운 풍경, 다음커뮤니케이션 스페이스 닷 원, 제주
          작은 꿈 명품 100선, 노화랑, 서울 
          행복한 마을로 가는 길,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2   태양 아래서, 노화랑, 서울
2011 차가운 겨울 너머로, 롯데갤러리 본점, 서울
         On Paper,  어반아트,  서울
         하늘 속 웃음소리,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0 우리 집, 갤러리현대 강남, 서울
2008 즐거운 우리 집, 갤러리현대 강남, 서울
2007 즐거운 나의 집, 갤러리 H, 서울
김덕기 & 세라믹 도자기로 만든 집, 한향림갤러리, 파주
2006 무지개,  이화익갤러리, 서울
2005 나들이, 경인미술관, 서울
 행복한 나날들, 인천국제공항 아시아나라운지, 인천
2004  윈도우 갤러리, 갤러리현대, 서울
2003  My Favorites!,  포스코미술관, 포항
2002  세 그루의 나무,  포스코미술관, 서울
2001 가족일기 믿음과 사랑, 갤러리사비나, 서울
2000  내 안에 아트사이드갤러리 카페, 서울
1999 가족–MANIF5!99 서울국제아트페어, 예술의전당, 서울
1998 시간, 세월, 인생, 나이, 덕원미술관, 서울

단체전
  
2015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걷다, 서울미술관, 서울
         독도-오감도전,  고려대학교 박물관, 서울
         2015 KIAF>COEX, 소울아트스페이스, 서울
         작은 그림 큰 마음전, 노화랑, 서울
         추상,구상,사이, 우리옛돌 박물관, 서울
2014     5人의 젊은 Power,  노화랑, 서울  
          아트쇼 부산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작은 그림 큰 마음전, 노화랑, 서울
          Hommage ᾶ WhankiⅡ, 환기미술관, 서울
          오마주-현대미술 41인전, 박수근미술관, 양구
          측은지예-심, 한전아트센터, 서울
2013     Peace & Piano Festival, 경기도문화의전당, 수원
         Sweet Spring, 이화익갤러리, 서울 
         작은 그림 큰 마음전, 노화랑, 서울
         아트쇼 부산,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아부다비 아트페어, 이화익갤러리,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문학그림전 서울도서관, 서울, 용인문화재단 포은아트홀, 용인
2012     ArT-Shirts, 롯데갤러리 본점, 서울 
         작은 그림 큰 마음전, 노화랑, 서울
          POP-UP Pianos, 경기도 문화의 전당, 수원   
         아트쇼 부산,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1     화랑미술제, 갤러리현대, 서울
         벗이 있어 즐겁지 아니한가, 포스코미술관, 서울 
         Enjoying Golf A hundred Times Better, 블랙스톤갤러리, 이천
         문학그림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교보문고, 서울
          Hope Starts Here,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0     한-알제리 수교 20주년 기념전, 알제문화궁전, 알제, 알제리
         Happy Smile, 신세계갤러리 본점, 서울
         아시아 탑 갤러리-호텔아트페어, 갤러리현대, 서울
2009     한국국제아트페어, 갤러리현대, 서울
         미래의작가13: 일상을 넘다, 노화랑, 서울
         Love is Rainbow, 롯데 에비뉴엘, 서울
  Wonderful Pictures, 일민미술관, 서울
2008 화랑미술제 부산, 갤러리현대, 부산
북경국제아트비엔날레, 북경, 중국
2007 가족 보듬기,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신소장품전 2006,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아트싱가포르 2007 이화익갤러리, 싱가포르, 싱가포르
2006 고요의 숲,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간이역,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05 신소장품 2004,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국제아트페어, 갤러리현대, 서울
My Private Gallery, 가나아트센터, 서울
연춘문-建春門, 금호미술관, 서울
전통과 시대정신–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전, 뮌헨, 독일
2005 프랑크푸르트 북페어, 프랑크푸르트, 독일
2004 A WINDOW TO KOREA, 주 상하이 한국 총영사관, 상하이, 중국
Red Rose & POSCO, 포스코미술관, 서울
정물예찬, 일민미술관, 서울 
찾아가는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일상의 미술,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03 한국현대수묵화 러시아 특별전, 한국국제교류재단, 상트-페테르부르그, 러시아
한국미술의 거장 30인 현대미술 명품전, 가나아트갤러리, 서울
한국화 번지점프, 아트스페이스 휴, 서울
2002 제1육갑문 열린미술관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서울
3인의 수묵 3인의 표정, 공평아트센터, 서울
2001 동화 속의 우리가족, 현대중공업 현대예술관갤러리, 울산
2000 그림으로 보는 세시풍속, 갤러리사비나, 서울
유망작가 11인전-색면전, 가나옥션하우스, 서울 
1999 세계 한민족 작가 100인, 세종문화회관, 서울
1998    신진 유망작가, 가나아트센터, 서울
화화전-畵畵展, 덕원미술관, 서울
화랑미술제, 가나화랑, 서울

주요 수상경력

1999   MBC 미술대전 특선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1998   제7회 대한민국 기독미술대전 입선, 이화여대미술관, 서울
       중앙미술대전 입선, 호암 갤러리, 서울 
       동아미술대전 한국화 입선, 과천국립 현대미술관, 서울 
       제2회 서울미술전람회 특선, 세종문화회관, 서울 
       대한민국 국민미술대전 입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7   경기도 미술대전 입선, 경기도문화 예술회관, 수원
        춘추미술대전 입선,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서울국민미술대전 특선, 세종문화회관, 서울 
        MBC미술대전 입선, 예술의 전당, 서울 
1996   춘추미술대전, 덕원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진경공모 대상전 입선, 세종문화회관, 서울 
        중앙미술대전 입선,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작품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과천), 서울시립미술관(서울), 주상하이한국총영사관(상하이, 중국), 한국민속촌미술관(용인), 송은문화재단(서울), 현대예술관갤러리-현대중공업(울산), 삼성노블 카운티(인천), 동양엘리베이터(서울), 경주교원나라호텔(경주), POSCO(광양, 서울), LG엘리시안 C.C(제주), 블랙스톤C.C(제주), Lawrence Schiller Collection(미국), Dieter Holtz Collection (독일), Jeff Kahng Collection(홍콩), 국립현대미술관-아트뱅크(과천), 한국 짐보리(서울), 하나은행(서울), 한국동서발전주식회사(울산), 교보문고/대산문화재단(서울), 녹십자(서울), 한국은행(서울), Salama Bint Hamdan AI Nahyan Foundation(아부다비) 등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