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AK 60년의 역사 : ART FOR BEAUTIFUL LIFE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14-05-30 ~ 2014-06-22

  • 참여작가

    신미경, 홍정표

  • 전시 장소

    AK갤러리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31.240.1925~7

  • 홈페이지

    http://www.akplaza.com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AK 60년 역사

ART FOR BEAUTIFUL LIFE

2014.5.30(금)~6.22(일)




AK갤러리 수원점은 <AK 60년 역사 : ART FOR BEAUTIFUL LIFE>展을 오는 5월 30일부터 6월 22일까지 한 달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애경그룹 창립 60주년을 기념하며 변화하는 삶의 방식을 제안해온 라이프 스타일리스트로서의 애경 제품을 중심으로 기획되었습니다.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Karim Rashid)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진행된 콜라보레이션 제품부터 현대미술 작가 신미경, 홍정표의 실험적인 작품까지 AK 60년의 역사를 비추는 작품이 전시됩니다. <AK 60년 역사 : ART FOR BEAUTIFUL LIFE>전시는 고객에 대한 사랑과 존경의 마음을 담아 아름다운 삶의 모습을 선사하고, 애경의 역사를 조망하고자 합니다. 




[전시 소개]

AK갤러리는 애경그룹 창립 60주년을 기념하며 특별 기획전 <AK 60년 역사 : ART FOR BEAUTIFUL LIFE>展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애경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생활공간과 함께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예술적 면면들을 소개합니다.  


애경은 1954년 창립 이후 ‘삶의 가치를 높이는 라이프 스타일리스트’라는 비전을 가지고 풍요로운 생활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해왔습니다. 전시는 우리의 일상이 머무는 곳에 아름다움과 건강함, 깨끗함과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애경그룹의 마음을 담은 제품을 선보이는 자리입니다. 


특별히 이번 전시에서는 애경 60년의 역사와 함께 오랜 시간 고객들의 사랑을 받아온 대표적인 생활제품 디자인 역사를 소개합니다. 세계적인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 일러스트레이터 옐레나 제임스를 비롯한 여러 예술가들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애경의 ‘생활명품’도 선보입니다. 현대미술가에게 있어 새로운 작업의 소재이자 표현기법을 실험하는 재료로 활용된 작품들을 함께 전시에 구성하였습니다. 애경 생활용품 비누를 사용하여 제작한 신미경 작가의 작품과 애경유지공업의 투명 폴리와 페인트를 사용한 홍정표 작가의 작품은 무심코 스쳐 지나간 일상생활의 한 조각에서 예술적 가치를 찾게 합니다. 동시대 크리에이터들의 작업을 통해 산업과 예술이라는 벽을 허무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것이 갖는 예술적 가치와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될 것입니다.


AK갤러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과 보다 가까이 소통하고자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매일 60번째 관람객에게 깜짝 선물을 증정하고, SNS와 연계하여 제품 패키지 디자인에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이벤트도 준비하였습니다.


고객이자 관람객들과 소통하는 자리로서 <AK 60년 역사 : ART FOR BEAUTIFUL LIFE>전시는 생활문화의 역사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해온 애경의 역사를 조망합니다. 




[전시 개요]

전시 제목: <AK 60년 역사 : ART FOR BEAUTIFUL LIFE>

전시 기간: 2014.5.30(금)~6.22(일) [24일간]

참여 작가: 신미경, 홍정표

장소: AK갤러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924 AK플라자 수원점 6층)

주최: AK갤러리

장르: 조각, 설치, 디자인

문의: 임국화, 김나형 큐레이터 (031-240-1925-6/nhkim@aekyung.kr)



[AK갤러리 소개]

AK갤러리는 2012년 6월 AK플라자 수원점에 지역민들을 위한 문화 예술공간으로 개관하였습니다. 문화 예술공간이 부족했던 수원 지역에서 문화와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지역 문화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차별화된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청춘만세>, <LIGHT IS ART>, <업사이클링 아트>전시는 한 달이라는 전시 기간 동안 1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동원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창조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전시를 기획하여 지역의 문화향유자들의 기대에 부응해왔습니다.


앞으로도 AK갤러리는 장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통해 남녀노소가 모두 즐길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이 되고자 합니다. 더불어 관람객들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다채로운 전시 연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보다 친근한 문화 예술의 장으로서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작가 소개]


작가 신미경

2009 런던대학 슬래이드 미술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예정]

2005 런던대학 슬래이드 미술대학 대학원, 연구과정

1998 런던대학 슬래이드 미술 대학 대학원 M.A. 조소 전공 [석사]

199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 M.A. 조소전공 [석사]

199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B.A. 조소 전공 [학사]


개인전 

2009 트랜스레이션, 국제 갤러리, 서울 

2009 트랜스레이션, 르페브레 갤러리, 파리

2008 트랜스레이션,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07 트랜스레이션, 몽인아트센터, 서울 (사무소 기획) 

2002 트랜스레이션, 도쿄 휴마니테 갤러리, 동경

2002 트랜스레이션, 성곡미술관, 서울

1995 신미경 개인전, 나무화랑, 서울

1994 신미경 개인전, 서경 갤러리, 서울


프로젝트 

2007 트랜스레이션: 달항아리, 한국관, 대영박물관, 런던

2004 트랜스레이션: 퍼포먼스, 대영박물관, 런던 (제임스 퍼트냄 기획) 

2008~ 화장실 프로젝트; 50여점의 비누 불상이 영국 곳곳에서 쓰여지고 있는 중

2008~ 좌대 프로젝트; 런던의 중심 카벤디쉬 광장의 빈 석좌대에 비누 기마상 세우는 프로젝트 

2009~풍화 프로젝트; 비누 고전 조각상을 야외에 놓고 비바람 속에 세월을 기록


단체전

2009 프리즈 아트페어, 런던

2009 아트페어, 마스트리츠

2009 아모리쇼, 뉴욕

2009 신오감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8 아시안 아트인 런던, 아란자크 갤러리, 런던

2008 마이애미 바젤 아트페어, 마이애미

2008 난징 트리엔날레, 난징미술관, 난징 


수상 및 레지던시

2009 경기문화창작 센터 파일럿 프로그램, 안산

2004 웨스트딘 컬리지, 웨스트 서섹스, 영국

2002-3 쌈지 거주 작가, 쌈지아트 스페이스, 서울 

2002 내일의 작가, 성곡미술관, 서울

2001 신진 작가전, 박영덕 화랑, 서울

1998 ACAVA 퍼스트 베이스 어워드, 아카바, 런던

1995 나무아카데미 공모전 

1994 서울조각 공모전, 서울 신문사, 서울

1993 대한민국 미술대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



작가 홍정표

2009 홍익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졸업

2003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개인전 

2008 Boundary, Gallery Skape, 서울

2006 홍정표 개인전, 표갤러리, 서울


단체전

2012 Lost & Found Gallery, Hanmi Gallery, London, UK

2012 Symbolic exchange & death, the gallery, London, UK

2012 백자은갤러리 개관 전시, 백자은갤러리, 서울

2012 동상이몽, MOA, 서울

2012 16 Stafford Terrace, 16 Stafford Terrace, London, UK

2012 sasapari : Map the Korea, Bargehouse, London, UK

2010 future’s future’s future, kcc(주영한국문화원>, London, UK

2010 Aqtuarium, Demado project, Kyoto, Japan

2009 Super-duper Suveillance System, Corner window gallery, 서울

2009 2009경남 만화,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김해문화의 전당, 김해

2009 18 Materpieces, 삼성동 Nefspace, 서울

2009 경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09 오로라-Aurora, 자하미술관, 서울

2008 intro, 고양미술스튜디오, 고양

2008 contextual listening, 몽인아트센터, 서울

2008 사과따러가자, 박여숙화랑, 서울

2006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6 chemical art III, 몽인아트스페이스, 서울 


수상 및 레지던시

2014 SEMA 난지창작스튜디오, 8기입주작가

2010~2011 파리 국제예술공동체-Cite Internationale des Arts, 삼성문화재단

2008~2009 국립미술창작스튜디오-고양, 5기 입주 작가

2007~2008 몽인아트스페이스, 1기 입주 작가

2008 경기문화재단 기금

2006 문예진흥기금

2004 대상, 제26회 중앙미술대전, 중앙일보사, 서울

2004 우수상, 제10회 신진작가발언전, 미술세계, 서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