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권부문 : 성좌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부제: 성좌. 직관적이며 철학적인 여정을 사진의 단상으로 담아낸 사진과 영상작업 66점.




사진에 대한 단상으로 이루어진 직관적이며 철학적인 여정

대구미술관 권부문 <성좌>전


- 파리, 도쿄 등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대구출신작가 권부문

- 15여년에 걸친 구상을 처음으로 펼쳐보는 대규모 미술관 전시(사진, 영상 66점)

- 10월 24일(화)부터 2014년 1월 26일(일)까지 대구미술관 2층 전관에서 선보여


대구미술관은 10월 24일(목)부터 2014년 1월 26일(일)까지 권부문 <성좌>전을 2층 전관에서 선보인다. 권부문(대구 출생, 1955~)은 <블링크 : 100사진가, 10큐레이터, 10평론가>(런던 파이든 출판사, 2002)와 현대예술사진을 총 정리한 <현대미술로의 사진>(런던테임즈 앤드 허드슨 출판사, 2004)에 소개되어 세계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은 사진작가다.


대구 출신으로 서울, 부산, 동경, 파리 등 국내외 무대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보이고 있는 권부문은 70년대에는 도시와 시골풍경 그리고 그 안의 사람들을 담담하게 찍어냈고, 80년대 말부터는 인간을 배제한 광활한 자연의 모습을 담아내며 사진작가로서의 확고한 세계를 구축했다. 근래에는 고유의 엄격하고 냉정한 시선을 바탕으로 대자연의 풍경을 대형 화면에 담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권부문은“1997년 파리 살페트리에르 생루이 예배당의 전시를 하면서 전시장소의 건축적 공간과 사진이미지가 만나 또 하나의 장소와 시간을 만들어 내는 경험을 했다. 이를 토대로 대구미술관 전시에‘성좌’라는 제목을 구상하게 되었고 대표작을 선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서로 다른 장소의 이미지들을 대구미술관 8개 전시실에 유기적으로 연결해 하나의“성좌”로 표현하는 권부문 <성좌>전은 작가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인식의 문제’와‘이미지적 특성’을 총체적으로 조명해 볼 수 기회가 될 것이다.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풍경 연작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장소와 시간에 대한 세밀한 기록들을 담고 있는 <별보기>, <숲에서>, <산수>, <구름 위에서>, <낙산>, <병산>, <북풍경>, <돌에게> 등으로 사진, 영상 작품 66점이 유기적으로 설치된다.


<숲에서>는 덩굴식물들이 뒤엉켜 땅 위와 나무를 기어오르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설악과 홍천, 평창 등 강원도 산야의 설경을 담은 <산수>는 역사적, 문화적 함의가 깊은‘산수’의 개념을 오늘날의 풍경에 불러들인 작품을 보여준다. <구름 위에서>는 비행기 안에서 바라본 하늘 풍경으로, 전시장 공간에서 재구성해 기존의 하늘과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1999년 말부터 시베리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여행을 한 작가는 유빙과 빙산들이 만들어내는 풍경을 <북풍경>에 담아냈고, <돌에게>는 장소의 내력을 비밀처럼 품고 있는 이름 없는 돌들의 초상들을 담고 있다. 특히 <별보기>는 별의 움직임을 촬영한 사진들을 동영상화 한 작업으로, 작가가 재구성한 별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3세계 32곳에서 촬영한 별의 움직임을 32개의 대형 모니터로 담아내어, 자연의 에너지와 잃어버린 저 너머의 세계를 장엄하게 표현한다.  


현재 속초를 근거지로 두고 있는 그의 작업 방식은 대자연의 모습을 정밀하게 표현해 내는 것이지만 대상과의 거리 두기를 통해 사진 본질에 다가서고자 한다. 대상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 익숙한 것을 낯설게 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미학적인 태도는 결국 자기 성찰로 귀결되고 작품들은 자연과 대상의 외형을 재현한 결과물이 아니라 우리로 하여금‘어떻게 인식하느냐’를 보여주는 거대한 인식의 틀로 작용하게 한다. 작가가 보여주는 모든 풍경의 이미지는 자연의 영역을 넘어 정신적인 장소로써 우리를 둘러싼 모든 관계하는 것으로 그 의미를 넓혀 생각할 수 있다.


대구미술관 변수정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에 대해“대구미술관이라는 건축적인 공간에서 재구성되는 권부문의 작품들은 관람객에게 새로운 미적 경험을 제공하고, 사진작가로서의 권부문의 진면목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고 밝혔다. 부대행사로는 11월 30일(토) 작가와 관람객들이 만나 전시와 작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아티스트 토크가 예정되어 있다.


□ 전시개요

1) 전시명 : 권부문 <성좌>전 

2) 전시기간 : 2013년 10월 24일(목) ~ 2014년 1월 26일(일)

3) 전시장소 : 대구미술관 2, 3, 4, 5 전시실(2층 전관)

             ※ 2전시실 오픈: 10월 24일 / 3, 4, 5전시실: 오픈 11월 16일

4) 전시부문/출품작수 : 사진, 영상/총 66점

5) 개막식 : 2013년 11월 25일(월) 17:00

6) 부대행사 : 

   - 아티스트 토크 : 2013. 11. 30(토)

7) 진행 중 전시

   - KUSAMA YAYOI, A Dream I Dreamed 展 : 7월 16일 ~ 11월 3일

   - 이혜인, 완벽한 날들 展 : 10월 15일 ~ 2014년 2월 9일

            


권부문 프로필


1955   대구 출생 

        현재 서울과 속초에 거주 및 작업 


학력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학사


개인전

2012   숲에서, 리안갤러리, 대구, 한국 

2011   산수, 요코하마시민갤러리-아자미노, 요코하마, 일본

        산수와 낙산, 학고재, 서울, 한국

2010   프레즌스, 갤러리 신라, 대구, 한국

2009   프레즌스, 조현 갤러리, 서울, 한국

        북풍경, 조현 갤러리, 부산, 한국

2008   가까이서 멀리서, 갤러리 신라, 대구, 한국

        구름 위에서, 박영덕 갤러리, 서울, 한국

        북풍경, 박여숙 갤러리, 서울, 한국

2007   돌에게, C-Fine Art, 서울, 한국

        권부문, 사진 2000-2007, 아르코 미술관, 서울, 한국

2006   권부문, 조현갤러리, 부산, 한국

        구름 위에서, 갤러리 신라, 대구, 한국

2002   별보기, 시공 갤러리, 대구, 한국

2000   권부문, 갤러리 신라, 대구, 한국

1999   권부문, 갤러리 사이드 2, 도쿄, 일본

        권부문-안동 하회마을 1976-1990, 갤러리 아티누스, 서울, 한국

1997   권부문: 태도, 쌀페트리에르 쌩루이 성당, 파리, 프랑스

        권부문 근작전, 전 갤러리, 서울, 한국

1996   권부문, 전 갤러리, 서울, 한국

1994   권부문, 인공 화랑, 서울, 한국

1993   권부문, 수 화랑, 서울, 한국

1989   권부문_사진, 인공 화랑, 서울, 한국

1983   시골, 맥향 화랑, 대구, 한국 

1975   포토 포엠, 신문회관, 서울; 대백화랑, 대구, 한국



그룹전

2012   소장품 특별기획전: 침묵의 이미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2007   한국미술_여백의 발견,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한국

        물의 정경 - 모네와 다이칸에서 현재까지, 요코하마 미술관, 요코하마, 일본

2004   오피치나 아시아, 볼로냐 시립현대미술관, 볼로냐, 이탈리아

2001   수평과 지평: 바다와 하늘, 베르니리 갤러리, 바르셀로나, 스페인

2000   반기억: 현대사진 기획전 2부 , 요코하마 미술관, 요코하마, 일본

        내츄럴 블루, 아르테 콘템포라네아 제로 갤러리, 피아첸자, 이탈리아

1998   개인적 비전: 사진, 드림 컬렉션 4부, 마이애미 미술관, 마이애미, 미국 



사진집

<낙산>, 나즈라엘리 프레스, 포트랜드, 2010

<돌에게>, 나비장, 파주, 한국, 2007

<낙산>, 나비장, 파주, 한국, 2007

<Boomoon On the Clouds>, 나비장, 파주, 한국, 2006

<속초에서 별보기>, 나즈라엘리 프레스, 투스콘, 미국, 2006

<On the Clouds>, One Picture Book 시리즈, 나즈라엘리 프레스, 투스콘, 미국, 2004

<Boo Moon>, 나즈라엘리 프레스, 투스콘, 미국, 1999

<하회마을>, 아티누스, 서울, 1999



공공 컬렉션

JGS 재단, 뉴욕, 미국

요코하마 미술관, 요코하마, 일본

하나은행, 서울, 한국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