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시간이 연결을 주고받다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시간이 연결을 주고받다

전시작가 김아영, 박유정, 이은영, 최보영, 백 진, 김지혜
전시기간 2013. 08. 31- 2013. 09. 15
초대일시 2013. 08. 31. 6pm
전 시 장 포네티브 스페이스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1652-345 예술마을 헤이리길 34, T. 031. 949. 8056, ww.ponetive.co.kr

전시 서문, 평론, 작가노트

자칫 식상하게 와 닿을 수 있는 '교류와 타협', 그것을 재미있게 풀어나가고자 카멜레온이 앉은 곳에 따라 색을 달리하듯, 여섯 작가들도 원래 머물던 곳에서 내려와 색깔을 바꿨다. 선정된 세 명의 작가들은 그들이 선택한 세 명의 멘토 작가들과 팀을 이루어 각자의 색에 맞는 프로젝트 를 진행했다.

김아영과 최보영은 작업에서의 공통분모를 찾아 가상의 캐릭터를 컨셉으로 잡았고, 포네티브 스페이스의 두 층에 걸쳐 서있는 가로 3m, 세로 6m에 달하는 거대한 콘크리트 벽을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세웠다. 그러던 중 가상의 캐릭터의 진화에 생각이 미쳤고, 가상의 세상인 영화 속에 등장하는 ‘진화와 관련된 어떤 물체’를 전시공간에 재현하기로 했다.
 monolith

최보영_무중_455X455mm_도자, 거울_2013 외 4작
박유정과 백진은 서로의 작업에서 '한 개체의 다량 축적'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다른 물질(재료)이지만 작품에서는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개체를 하나씩 맞바꿨다. 평소의 작업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변화를 볼 수 있는 지극히 평화적인 교환, 그 자연스러운 파장이 서로에게 일어가는 것을 관조한다. 
interchange
  
이은영과 김지혜는 자유롭게 뻗어나가는 사고의 큰 뿌리줄기를 벗어나지 않는 하에 서로의 작업방식을 납득시키는 과정에서 이론적인 접점을 찾았다. 물성에 기반을 두고 즉흥적으로 작업했던 이은영은 의미를 부여하려는 노력을, 개념적으로 작업을 진행했던 김지혜는 비구상적인 작업 방식을 차용했다. 
rhizome
 
[시간이 연결을 주고받다]의 전시제목은 김아영, 박유정, 이은영 세 작가가 자신들의 팀 작업과 관련이 있는 단어를 서로가 모르게 하나씩 정한 후, 단어들을 주어, 목적어, 동사로 삼아 한 문장을 완성하는 놀이로부터 만들어졌다. 
다양한 재료와 아이디어로 꾸며진 공간에서, 카멜레온들은 또 새로운 색을 발견하고 그에 물든다.
글| 김아영


경력사항

김아영 - 컨셉추얼 이매지너리 아티스트 [니닉]

컨셉추얼 니닉 Vol.3 「다큐-수직적이고 병렬적인 세계」 KCDF갤러리 기획초대 2012 
컨셉추얼 니닉 Vol.2 「예고편-서사우주」 인사 갤러리 2010 
컨셉추얼 니닉 Vol.1 「이야기는 나무에서 자란다」 갤러리 이즈 2009 
컨셉추얼 니닉 Vol.0 「The Artisan Fair」 University of Adelaide 2007 
[이상동몽 展] 헤이리 갤러리 써니 2012
 [Mix up-遊幸 展] 이천 세계도자센터 2010 
Asia Contemporary Art Show Grand Hyatt Hong Kong (리뷰전, 갤러리 두루) 2012
동강 현대 작가 초대전 영월 문화예술회관 2012 
Fountain Art Fair & Verge Art NYC 69th Regiment Armory 2012 
공예 트렌드 페어 COEX 2011 
Art Sydney Royal Hall of Industries 2010 
New York Art Expo Pier 94 2010 
Aberystwyth International Ceramics Festival Aberystwyth Arts Centre, UK 2009 

박유정

현재 문화공간 마칭버즈 운영 

박유정 초대 기획전 [갤러리다르, 곤지암]  2013
제 34회 도림전 ‘가화만사성’[이화아트센터]  2013
If you cut through the present the future leaks out [The shed, Ireland]  2013 
이상동몽전 [(구)Sunny Gallery (현)Gallery Ahsh, 헤이리]  2012
레지 레지던시 작가 작품전 [Red Hot Center for Clay, Louisiana]  2011
Playground In-Between [Glassell Gallery, Louisiana]  2010

이은영

2006 Design associate MODISE 2회 전시- 탄생 스스로 탯줄을 자르다.
8.15~21 서울 상원미술관 제1,2 전시실
디자인 대학 박람회 특별전시 - 디자인 상상 프로젝트 초대전
11.16~11.20 COEX 신관 3층 컨벤션 홀 한국디자인 진흥원 주최 
2007 김옥길 기념관 초대전- 길*십자가
8.27~9.1 김옥길 기념관
현대도예전 - 분청기법의 재현
2008 ‘토기의 문양과 형태를 응용한’ 현대도예전 
8.18~8.25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문화관 로비
2009 한국도자협회 창립전
IMAGOES 1회 전시
6.18~6.24 갤러리 VOW VIEW 
International ceramics festival in Aberystwyth UK - 스터디 그룹전


최보영

선화아티스트전, 설악문화센터, 속초 2013
서울국제캐릭터콘텐츠작가전, 디오갤러리, 부산  2012~2013
상원미술관 초대-2011서울국제캐릭터콘텐츠초대작가전, 상원미술관, 서울 2011  
제3회 SHA-SHA서울전, 서울아트센터공평갤러리, 서울
도림전 <여왕의 식탁>, 이화아트센터, 서울
제5회 SICACA, COEX 컨벤션홀, 서울  2009
제1회 개인전, Enjoy Space Daimyo, 일본 후쿠오카  2008 
국제 문화교류 초대작가전, Enjoy Space Daimyo, 일본 후쿠오카
제4회 SICACA, BEXCO, 부산
제1~3회 SICACA, COEX, 서울  2005~2007
제1~3회 사단법인 캐릭터 디자이너 협회전, 단원전시관, 안산  2002~2004

백진

개인전 5회(갤러리빔, DOS 갤러리, 충무갤러리...)

그룹전
2013. 건축도자_테크놀로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경상남도)
2013.The Land of the morning calm (l’Atelier, Paris FRANCE)
2011.TENT LONDON (Old Truman Brewery, London UK)
2011. AHAF 2011 –아시아 탑 호텔 아트페어 (Grand HYATT Hotel, 서울)
2011. SHOP BMM #2 라이프스타일 멀티샾 展 (부띠끄 모나코 미술관, 서울)
2010.Tokyo Designers week 2010 (Meijijingu Gaien, Tokyo Japan)
2010. project Xian (restaurant 시안, 서울)
2010. Mix up-遊幸 Art and Crafts Collaboration (이천 세계도자센터, 경기도)
2009. 제5회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 ‘국제도자워크샾’ 작가
외 다수

작품소장
IFC(International Finance Centre) Seoul (서울), ㈜우리기술 사옥(상암동 DMC, 서울), 한국도자재단 (경기도), ㈜한국도자기 청주본사(충청북도)

김지혜

개인전 11회(서울, 미국, 캐나다)
2013 아시아현대도예전(가나자와21세기 미술관, 아이치현도자미술관, 일본)
2012 손으로 빚다(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1 청주국제공예 비엔날레 본전시(옛 연초 제조창, 청주)
2011 집을 생각하다(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김해)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