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태중

하계훈

김태중의 작품은 형식상으로 서양미술사 속의 팝아트 계열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졸업 후 2001년부터 의욕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작가는 최근 작품에서 캔버스나 오브제에 형광색의 밝은 아크릴 물감을 가지고 재미있는 이미지들을 화면 가득히 그려 넣고 있다. 작품의 속성상 김태중의 작품은 젊은 관객층으로부터 폭넓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호평을 받았는데, 평면이나 입체 뿐 아니라 운동화와 티셔츠 같은 생활용품에도 그의 이미지들이 적용되기도 하였다.

그런 그가 한때는 붓을 내려놓고 여행과 자동차 조립에 빠져 지내기도 하였으며 친구가 준비하는 카페의 인테리어 작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예술창작 작업으로부터의 이러한 일탈은 작가로서의 예술적 역량을 재충전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작가에게 여행은 창작의 영감을 충전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권고되어야 하는 활동이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제 캔버스 앞으로 다시 돌아온 김태중은 한 차원 더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하여 파주의 박영 스튜디오에서 지난 한 해 동안 작업에 몰두하여왔다.김태중의 작품에는 기본적으로 즐겁고 밝은 무드를 바탕에 깔고 있으며 그 위에 작가가 이미지들을 구축해나가면서 환상적이면서 의미 있는 내러티브를 구성해나가는 형식으로 작품이 전개된다. 그렇지만 김태중은 관람객들이 자신의 작품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심오한 해석과 의미부여를 하는 것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다. 그는 예술을 통해 추구하는 목표 가운데 하나를 즐거움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자신의 작품 속에서 주제를 형성하는 사변적 요소들을 전적으로 배제시키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작가는 회화의 근원이나 종교의 의미 등에 대한 숙고의 과정을 거쳐 자신의 예술관과 인생관을 화면에 정리하는 셈이지만 불필요하게 거창한 철학적 의미나 예술적 담론을 작품 속에 직설적으로 담아내고 싶지는 않은 것이다.

김태중의 작품을 처음 마주하면 서양의 낙서화나 그래피티가 떠오르기도 한다. 실제로 그래피티의 속성 가운데 몇몇 요소들이 그의 작품에서 발견되지만 김태중의 작품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화려한 화면 속에 그래피티보다 조직적으로 작품을 구성하고 있으며 절제되고 숙성된 사고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고, 작가가 예술과 삶에 있어서 밝고 긍정적인 면을 바라보려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태중은 작품 속에 담긴 이러한 내용을 서양적 표현형식을 빌어 동양적인 주제로 번안하여 개성적으로 잘 소화해내고 있다.김태중이 관심을 갖는 주제 가운데 하나는 원시성이다. 여기서의 원시성이란 미성숙이나 미발달의 의미가 아니라 원초적이고 근본적이라는 의미에서의 원시성을 말한다. 예술에 대한 그의 생각도 결국 모든 변화와 변증법적 진화에도 불구하고 예술은 원시적 근원으로 회귀하고 만다는 것이다. 우리 삶에서 찾을 수 있는 근본적인 것으로서 김태중이 선택하는 화두로는 종교와 사랑을 꼽는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는 그의 작품 속에서 밝은 색의 선묘와 구체적인 이미지나 문자로 드러난다. 화면 속에 등장하는 동물과 사람이 결합된 형식의 이미지와 마음 심(心)자, 그리고 쌍커플이 짙게 파인 부릅뜬 눈에서 눈물인 듯한 형상이 뚝뚝 떨어지는 표현 등에는 작가가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의 종교를 두루 거치면서 이끌어낸 일원론적인 사고와 불교의 윤회적 사상이 담겨있다.

누군가가 언급했듯이 김태중이라는 작가에 대해서는 단순한 비쥬얼 아티스트라는 명칭 이외에 멀티플아티스트, 가구 디자이너, 클럽 DJ 등 다양한 이름이 주어진다. 그만큼 작가 김태중은 다양한 방면에 관심과 재능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관심의 다양성이 시각예술 분야에서의 작가의 활동에 도움이 될 지, 아니면 집중력을 흐트러지게 만들지에 대해서는 양립되는 의견이 있을 수 있다. 문제는 작가 자신이 창작행위에 대해 어떠한 태도와 각오로 임하는가에 달린 것이다. 앞으로 김태중이 전개할 예술적 행보를 지켜보면 그 해답이 나올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