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를 위한 제언

윤진섭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를 위한 제언


윤진섭 | 국제미술평론가협회 부회장/호남대 교수
신문보도에 의하면 인천시가 주최하는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가 차기 행사의 개최를 앞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고 한다. 행사의 지속적인 개최를 주장하는 측과 폐지를 주장하는 측이 서로의 입장을 반복하면서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가운데 행사의 원활한 진행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이다. 폐지를 주장하는 측은 미흡한 평가 결과와 조직의 투명성 등을 문제로 삼고 있으며, 지속적인 개최를 주장하는 측은 동 행사가 그동안 축적해 온 문화예술 인프라와 국내외적으로 형성된 인천의 브랜드 가치에 주목하자고 호소한다. 그러니 영문을 잘 모르는 시민들은 어느 편을 들어야 할지 어리둥절할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그동안 이 행사를 죽 지켜봐 온 필자는 행사를 지속하는 것이 인천시에 보탬이 된다고 생각한다. 물론 폐지를 주장하는 측의 입장에도 전혀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나, 문제는 과연 그 후에 무엇이 인천에 남는가 하는 결과에 대해 성찰할 것을 권유하고 싶다. 무릇 문화행사는 3회가 고비라고 하는 속설이 있는데, 동 행사는 마(摩)의 3회를 넘어 4회째로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도 이 행사의 지속적인 개최를 지지하는 필자의 이유 가운데 하나다. 그 이유는 필자의 현장 경험에서 유래한다. 필자는 5년 전에 경기도의 P시가 주최하는 국제전의 조직위원장 겸 예술총감독 직에 위촉돼 행사를 치룬 적이 있는데, 이 행사는 그 후에 비엔날레로 전환하여 성공적으로 유지되는 듯 했다. 그러나 이 행사는 단 2회에 그치고 말았다. 약 3억 5천만 원 정도의 저예산으로 18개국 180여 명의 작가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행사였지만 견해를 달리하는 지역민들의 반대 때문에 좌초하고 만 것이다. 두 차례의 행사에 투입된 7억 원의 세금을 날리고 거기다 시의 대외적 이미지마저 흐리는 국제적 망신거리를 자초한 것이다.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의 경우, 작년 행사 기준으로 6억 원의 예산은 결코 많은 액수가 아니다. [광주비엔날레]나 [부산비엔날레]의 예산에 비하면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적은 예산이다. 이 예산이 얼마나 부족한 액수인지는 국제전을 치러본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은 모두 공감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제3회 비엔날레의 큐레이터를 비롯한 관계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해 이 행사는 성공적으로 끝났다. 그 예산으로 41개국 297명의 참가는 말이 쉽지 그렇게 만만한 일이 아니다. 작품 운송을 비롯하여 해외 작가 초청, 보험, 도록 출판, 인력조달, 숙박 등등 비용이 지불되는 항목은 부지기수다. 이는 비엔날레의 전시 관계자는 물론 참여작가들의 희생과 협조가 없으면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물론 항간에 들리는 것처럼 왜 하필 ‘여성미술비엔날레’여야 하느냐고 명칭과 정체성에 대한 시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점이 바로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가 지닌 장점이기도 하다. 남성 위주의 문화 구조에서 불리하게 형성된 여성의 권리를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거기에 합당한 담론의 장이 필요한데, 운영만 잘하면 이 행사가 세계 미술계의 주목을 끄는 문화 이벤트로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그러기 위해선 운영진의 보다 합리적이며 진취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혹시 구태의연한 관행이나 불합리한 요소가 있다면 거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보여줘 신뢰감을 얻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체제의 전환도 필요한 시점이다. 가령, ‘총감독제’도 검토해 볼 의제다. 전시기획에 관한 현장 경험이 풍부하고 리더십과 국제적 네트워크를 갖춘 유능한 여성 총감독을 기용하여 일사분란한 행정과 함께 전시를 통한 문화적 비전을 보여줘야 할 때인 것이다. 공동 큐레이터 제도는 관점의 다원화를 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사령탑의 부재로 인해 행사의 선명성이 희석될 위험이 있다. 주최 측은 반대하는 측의 반대 이유를 잘 살펴 이를 보약으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 인천시는 주최자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소신있는 행정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며,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협조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인천신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